최근 수정 시각 : 2025-08-27 23:03:43

Five Nights at Freddy's: Security Breach/애니매트로닉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Five Nights at Freddy's: Security Breach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FNAF 제목.png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애니매트로닉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개인 제작
시리즈
Five Nights at Freddy's
(프레디, 보니, 치카, 폭시, 미스터 컵케이크)
Five Nights at Freddy's 2
(퍼펫, 토이 프레디, 토이 보니, 토이 치카, 맹글, 벌룬보이)
Five Nights at Freddy's 3
(스프링트랩)
Five Nights at Freddy's 4
(프레드베어, 스프링 보니, 나이트메어, 나이트마리오네)
Five Nights at Freddy's: Sister Location
(서커스 베이비, 발로라, 펀타임 프레디, 펀타임 폭시, 에너드)
Freddy Fazbear's Pizzeria Simulator
(스크랩 베이비, 몰튼 프레디, 스크랩트랩, 레프티, 헬피)
Ultimate Custom Night
공동 제작
시리즈
Five Nights at Freddy's: Help Wanted
(드레드베어)
Five Nights at Freddy's AR: Special Delivery
Five Nights at Freddy's: Security Breach
(글램록 프레디, 글램록 치카, 몽고메리 게이터, 록산느 울프, 보육 도우미, 미믹)
Five Nights at Freddy's: Secret of the Mimic
(미믹, 재키, 빅 탑, 간호사 돌리)
스핀오프 FNaF World
Freddy in Space 2
Five Nights at Freddy's: Into The Pit
(스프링 보니(ITP))
소설판 Fazbear Frights 시리즈
(스프링 보니, 엘레노어)
Tales from the Pizzaplex 시리즈
미분류 환각
(골든 프레디, 섀도우 프레디, RWQFSFASXC, 팬텀 애니매트로닉스)
혹스 애니매트로닉스
(퍼플 가이 애니매트로닉)
기울임체: 공개 예정 작품 }}}}}}}}}

1. 개요2. 메인 애니매트로닉스3. 서브 애니매트로닉스4. RUIN (DLC)
4.1. The Entity (엔티티)4.2. The Mimic (미믹)4.3. Animal Mascots (동물 마스코트들)4.4. Helpi (헬피)4.5. Candy Cadet (캔디 커뎃)
5. 그 외 애니매트로닉스
5.1. Glamrock Mr. Hippo (글램록 미스터 히포)5.2. Glamrock Helpy (글램록 헬피)5.3. Glamrock Bonnie (글램록 보니)

1. 개요

Five Nights at Freddy's: Security Breach의 애니매트로닉스를 정리한 문서.

개발자의 블로그 포스트에 의하면 여태까지의 영혼이 깃들어 공격적이게 된 전작들의 애니매트로닉스들[1]과는 달리 글램록 프레디를 제외한 다른 애니매트로닉스들은 밤에는 침입자 경계 모드가 되어서 그레고리에게 적대적이라고 한다.[2] 뮤직맨 정도를 제외하면 모두 목소리가 있다.[3] 또한, 전작과는 다르게 기술이 엄청나게 발달해서 행동방식이 사람과 거의 다름없는 모습을 보여준다. 악기를 스스로 연주하는 것은 물론이고, 글램록 프레디는 바네사와 전혀 위화감없이 대화하고, 글램록 치카는 인게임 내 메시지에서도 알 수 있듯이 피자나 캔디를 주구장창 먹고, 록산느 울프의 자뻑+유리멘탈 기질이나 숨쉬는 것처럼 잠자는 DJ 뮤직맨만 봐도 알 수 있다.

프레디와 주요 애니매트로닉스 셋은 시간이 지날수록 몸체가 더러워진다.[4]

2. 메인 애니매트로닉스

파손된 모습의 메인 애니메트로닉스들은 모델링을 한 Jonathan Gonzalez의 Artstation 게시글에서 2편의 구형 애니메트로닉스들[5]과 마찬가지로 '파손된 ~(Withered ~)'같은 식으로 불리는데[6] 이를 보면 파손된 파손된 주요 애니메트로닉스들의 공식 명칭이 이것으로 보인다.

2.1. Glamrock Freddy (글램록 프레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글램록 프레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글램록 프레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글램록 프레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Glamrock Chica (글램록 치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글램록 치카}}}에 대한 내용은 [[글램록 치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글램록 치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글램록 치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글램록 치카: }}}[[글램록 치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글램록 치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글램록 치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2.3. Montgomery Gator (몽고메리 게이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몽고메리 게이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몽고메리 게이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몽고메리 게이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Roxanne Wolf (록산느 울프)[7]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록산느 울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록산느 울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록산느 울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Daycare Attendant (보육 도우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보육 도우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육 도우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육 도우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서브 애니매트로닉스

3.1. DJ Music Man (DJ 뮤직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뮤직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뮤직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뮤직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Wind-Up Music Man (와인드 업 뮤직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뮤직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뮤직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뮤직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Glamrock Endo (글램록 엔도)

파일:Endo-Glam.png[8]
Glamrock Endo
글램록 엔도
점프스케어

글램록 애니매트로닉스들의 내골격인 애니매트로닉스. 극초반 프레디와 그레고리가 지하 터널로 내려가는 중에 벽을 타고 내려가는 모습으로 잠깐 등장한다.[9] 이후 부품과 서비스실에 본격적으로 등장하며 우는 천사처럼 시야에 두지 않으면 그레고리를 추격한다.[10][11] 그리고 파즈 카메라로 플래시를 터뜨리면 모든 엔도 스켈레톤들이 작동을 잠깐 중지한다. 프레디 안에 숨어도 인지하지 못해서 공격하지 않는다. 또한 보니의 볼링장에서 볼링 레인들을 보고있으면 볼링핀들이 있어야할 자리에서 엔도 스켈레톤들이 갑자기 나온다.

여러모로 팬게임 TJoC 시리즈에 나오는 엔도B라는 내골격 애니매트로닉스를 연상시키는 점들이 있다. 어쩌면 의도한 점일 수도.[12] 재미있는 사실은 TJoC는 스콧 코슨이 자기 사비로 팬게임 개발자들을 지원해주는 "파즈베어 팬버스"에 선정된 5개의 팬게임 중 하나라는 사실이다.
I have never been allowed in here before. This must be where I was born. Look at all the endos. There are all the same... Have I always been a Freddy? Am I Monty with a different shell? What if I am not the first Glamrock Freddy? Are there more of me at other pizzerias? Do we all feel the same? Am I special? If I am mass produced, am I still art?
지금까지 난 여기에 들어올 수 없었어. 분명 여기가 내가 탄생한 장소일 거야. 이 엔도들을 봐. 전부 똑같잖아... 내가 항상 프레디였나? 껍데기만 다른 몬티가 아닐까? 만약 내가 첫 글램록 프레디가 아니라면? 이 피자가게에 또다른 내가 더 있을까? 우리 전부 똑같은 생각을 하는 건가? 내가 특별하긴 한 거야? 만약 내가 양산품이어도 난 여전히 예술 작품일까?
글램록 엔도가 잔뜩 있는 방에 들어갔을 때 글램록 프레디의 대사
한편 프레디는 자신이 만들어진 이 엔도들이 가득한 놀이방에 진입하면 스스로의 정체성에 대해 크게 혼란스러워한다.# 이에 그레고리는 자신은 어려서 그런 거 잘 모른다고 하면서도 프레디를 걱정하며 프로그램에 좋지 않은 것 같으니 나가자고 한다.
파일:Grunge_20230824_082433_469.png
RUIN에선 보육원 주변에 여러 대가 사방에 깔려 있는 채로 등장한다. 오래 방치해둔 탓인지 몸 주변이 전보다 더 녹슬었다. 캐시가 다가가는 순간 작동이 되지만 보안 마스크를 쓰면 캐시가 사라진 줄 알고 작동이 정지되거나 주변을 돌아다닌다. 하지만 엔티티가 나타나면 플레이어를 발견하게 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여담으론 게임에서 사용되지 않은 동결 버전의 글램록 엔도 모델이 존재하고 사용되지 않은 관련 대사들도 몆개 있다.
파일:Glam_endo_blueprints.png
또한 정비실에 엔도스켈레톤의 청사진이 있다.[13]
파일:EndoStaticCrawlOPRender_20230825_210317_189.png
일부 맵에서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글램록 엔도들의 모델링은 이렇다.
파일:OP-GiantCinemaEndoRUIN.png
RUIN에서는 보안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거대한 글램록 엔도가 등장하기도 한다.[14]입속에 들어갈수 있다
파일:TEX_Endo_Poster_01.png 파일:TEX_Endo_Poster_02.png 파일:TEX_Endo_Poster_03.png 파일:TEX_Endo_Poster_04.png 파일:TEX_Endo_Poster_05.png 파일:TEX_EndoPoster_06.png
정황상 잉여 내골격들이기에 고객들에게 보여서는 안되는 것들로 보이나, 어째서인지 부품과 서비스실의 벽에는 마치 엔도들이 고객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해야 하는지 설명하는 듯한 그림이 그려져있다.[15][16][17]

3.4. S.T.A.F.F. Bots (스태프 봇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T.A.F.F bots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T.A.F.F bot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T.A.F.F bot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Wet Floor Bots (미끄럼 방지 봇들)

파일:미끄럼방지봇.png
Wet Floor Bots
미끄럼 방지 봇들
맵 곳곳마다 등장하는 로봇들이다. 가까이 다가가도 쳐다보기만 할 뿐[18] 다른 애니매트로닉스처럼 공격하진 않는다. 귀엽다는 평이 많으며 적지 않은 2차 창작이 이루어지고 있다. 파저 블래스터로 쏘면 5초 정도 빙빙 돈다.[19][20]

RUIN에서도 등장하는데, 여기서는 보안 마스크를 쓰고 비활성화할 수 있으며, 맵에 있는 28개의 모든 미끄럼 방지 봇들을 작동 정지시키면 파손된 글램록 보니를 볼 수 있는 숨겨진 입구가 열린다.

또한 RUIN에서는 근처에 가면 마치 어린아이가 비명을 지르는 듯한 희미한 소리가 들리는데, 디버그 모드 메뉴에서도 미끄럼 방지 봇들을 주의 봇 영혼(Caution Bot Souls)이라고 기술하는데, 전술한 소리와도 연관지으면 의미심장하다.

여담으로 Steel Wool Studios의 2022년 밸런타인 데이 기념#의 파일명에서는 주의 봇(Caution Bot)이라고 부른다.

일부 팬들은 patpat이라고 부른다.

3.6. Burntrap (번트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번트랩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번트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번트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7. The Blob (블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블롭(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롭(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롭(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RUIN (DLC)

4.1. The Entity (엔티티)

파일:M.X.E.S-The_Entity.png
The Entity
엔티티

가면을 너무 오래 착용할 시 굉음과 함께 등장하는 토끼 형상의 애니매트로닉스 프로그램. 가면 착용 시에만 나타나며, 근처 애니매트로닉스에 조난 신호를 보내 애니매트로닉스를 끌어들이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엔티티와 가까워질 시 화면의 노이즈가 점점 심해지며, 너무 오래 지속되면 엔티티의 얼굴이 클로즈업되다가 가면이 강제 해제되어 근처 애니매트로닉스의 점프스케어가 나온다.[21]

그 정체는 누군가가 메가 피자플렉스 지하에 M.X.E.S. 메인 프레임 주변으로 미믹이 장치 주변에만 있도록 경계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도록 설계된 M.X.E.S. 보안 프로그램[22]이 증강 현실에서 현현한 모습이다. M.X.E.S.(엔티티)가 계속해서 캐시를 방해하는 이유 역시 캐시가 보안 노드들을 정지시키면서 자기도 모르게 그레고리를 모방한 미믹을 탈출시키고 있었기 때문이다.
파일:FNaF_MXESMachineRender.webp
M.X.E.S. 메인 프레임

M.X.E.S.(엔티티)를 만든 쪽은 F10-N4인 것이 확인되었으며, 제작자가 확인이 되기 전까지는 토끼 형태의 외형[23], 보안 마스크의 형태를 고려하면 한때 바니로 활동하였던 바네사로 추측했었다.

또한 스태프 봇들처럼 점프스케어는 있지만 게임 오버시키지는 않으며, 대신 간접적인 피해를 주는 애니매트로닉스이다.

[ 미사용된 엔티티의 모델링 ]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OP-Unused_Entity_-_RUIN.png ||
<colcolor=#fff> 미사용된 엔티티의 디자인
여담으로 DLC Rabbit, 또는 블랙 래빗(Black Rabbit)이라는 이름으로 엔티티의 구버전 모델이 존재한다. 순간이동으로 이동하는 본편의 엔티티와는 달리 이 버전의 엔티티는 직접 걷거나 기어가는 모션이 존재하는데, 아마도 지금과는 달리 직접적으로 활동할 예정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4.2. The Mimic (미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믹(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믹(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믹(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Animal Mascots (동물 마스코트들)[가칭]

파일:KaijuElephantMascotRender.png 파일:KaijuLionMascotRender.png 파일:KaijuDuckMascotRender.png
코끼리 마스코트 사자 마스코트 오리 마스코트
미믹이 갇혀있던 방에 있었던 애니매트로닉스 코스튬들로 3번째 엔딩인 스쿠퍼 루트에서는 미믹이 이중 사자 마스코트 인형옷[25]을 입고 캐시를 쫓아온다.

SOTM에서 이들의 기원을 알 수 있는데 그건 바로 본작이 미믹이 M2였던 시절에 아놀드를 포함해 머레이 사에 파견된 파즈베어 사의 직원들을 살해할 때 사용한 코스튬들이다.

4.4. Helpi (헬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헬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헬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헬피#Helpi (헬피)|Helpi (헬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Candy Cadet (캔디 커뎃)[26]

파일:OP_Candy_Cadet_Activated_RUIN.png 파일:OP_Candy_Cadet_Deactivated_RUIN.png
Candy Cadet
캔디 커뎃
I am a Candy Cadet. Come get your candy here.
I have candy all day. Everyday. Candy. Candy.

Now I will tell you a story...about a mother and a little boy who lived alon in the dark woods.

There was a monster in the woods,
but the mother caught it and kept it locked in the basement.
The monster always made scary noises at night,
but the mother would tell the boy not to worry because it could never get out.
Then she would sing the boy a lullaby to sleep.

One day, the monster sttoped growling and instead, listened the lullaby.

The next day when the mother went out to find food, the monster sang the lullaby from the basement.
The little boy heard the lullaby and opened the door.



나는 캔디 커뎃. 여기로 사탕을 받으러와.
나에게는 매일매일 하루종일 사탕이 있어. 사탕. 사탕.

이야기를 하나 들려줄게... 어두운 숲속 외딴 오두막에 살던 엄마와 소년의 이야기야.

숲에는 괴물이 있었어. 하지만 엄마가 괴물을 잡아 지하에 괴물을 가두었지.
괴물은 매일 밤마다 무서운 소리들을 내었지만,
엄마는 소년에게 괴물이 탈출하는 일은 없으니 걱정하지 말라고 말했어.
그러고는 소년에게 자장가를 불러주곤 했어.

어느날부터는 괴물도 소리를 지르는 것을 멈추고 똑같이 자장가를 부르기 시작했지.

그러던 어느날, 엄마가 음식을 찾으러 외출을 할 때였어.
괴물은 지하실에서 자장가를 불렀지.
소년은 그 소리를 듣고 그만 지하실 문을 열고 말았어.
게임 플레이중 캔디커뎃이 하는말.
이야기를 해석하자면, 괴물은 미믹을 의미한다. 즉, 자장가를 따라 부른 것은 미믹의 따라하는 기능 때문이었고 미믹은 자장가로 아이를 유인해 지하실 문을 열게 만든 것이다.[27]

FFPS의 그 캔디커뎃, 오랜 세월이 흘러 목소리가 심하게 갈라지고, 모습도 너덜너덜해졌다.

구형 파즈코인을 차례로 넣으면 위의 대사를 끊어서 말하다가 대사를 다 말하면 기계음[28]을 내며 완전히 작동을 정지한다.
파일:CandyCadet.png
여담으로 모델링이 FFPS때보다 세부적인 부분들에서 차이가 난다.

5. 그 외 애니매트로닉스

게임에선 직접적으로 등장하지는 않으나 언급이나 배경 등으로 등장하는 캐릭터들만 서술한다.

5.1. Glamrock Mr. Hippo (글램록 미스터 히포)

파일:GlamrockMrHippo.png

그레고리가 프레디를 꺼내주기 위해 카드를 찾을 때 대신 미스터 히포의 얼굴이 그려진 냉장고 자석 형태로 첫 등장한다.[29]

본모습은 프레디와 함께 탈출 엔딩의 신문기사에만 나오며 프레디 대신 보컬이 된 몽고메리 게이터의 자리를 대신하는 듯.

이미 매장 내에 해당 애니마트로닉스의 자석 형태의 굿즈가 존재하고 있었던 점으로 미루어보아 프레디가 사라지기 이전에도 이미 존재하고 있었거나, 원래부터 제작될 예정이었을 애니매트로닉스였던 듯하다. 어쩌면 엔도 스켈레톤들 중 하나는 히포의 내골격이 될 예정이였을지도.

사용하는 악기는 트라이앵글로 보인다. 덤으로 그레고리에 의해 심하게 망가진 다른 애니매트로닉스들도 멀쩡하게 나온 걸 보면, 수리를 잘 끝낸 모양이다.

만약 탈출 엔딩이 정사 엔딩이라면 후에 출시될 수도 있는 DLC에서 등장할 것이라고 보는 사람들도 있다.

5.2. Glamrock Helpy (글램록 헬피)[가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헬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헬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헬피#Glamrock Helpy (글램록 헬피)|Glamrock Helpy (글램록 헬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Glamrock Bonnie (글램록 보니)

파일:글램록보니가칭.png
볼링장 간판에 그려진 글램록 보니
파일:글램록 보니 낙서.png
가게 내부에 볼 수 있는 글램록 보니 낙서
게임에서는 볼링장 간판 캐릭터로만 등장한다. 다만 게임 중 글램록 프레디의 대사를 들어보면 게임 스토리 이전에는 밴드 멤버에 속해있었으며 베이시스트로 활동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폐쇠된 글램록 보니 코너.png
I do not come up here anymore. I miss him.
난 더 이상 여길 안 오고 있어. 그가 그리워.
폐쇄된 글램록 보니의 스테이지를 본 프레디의 반응.
바니 첫 등장 후, 프레디가 피자플렉스에 토끼는 더 이상 없다는 말을 하며, 그가 그립다는 대사를 하기도 한다. 참고

매니지먼트 리포트에서 한 스태프가 보니의 그림이나 간판이 피자플렉스에서 대부분 제거되었지만 보니의 볼링장에 방문하는 어린아이 손님들이 보니가 어디 있냐고 물어보기에 테마를 바꿔야 되는 것 아니냐고 의견을 낸 메시지도 있다.

DLC 출시 이전에는 번트랩이 글램록 보니의 몸을 가졌다는 이야기도 있었지만 DLC가 출시되며 사실이 아닌것이 밝혀졌다.

직원들은 글램록 보니에 대한 언급을 금지시키는 걸 보면 아마 어떤 사고로 인해 사라진 것 같다. 하지만 분장실이 있는 곳에 공사구역이 있는 것을 보면 추후에 DLC에 나올 가능성이 있다. 팬들 사이에서는 몬티가 보니를 부쉈다는 의견이 돌고 있다.[31][32] 또다른 가설로 보니가 사라진 건 흑막이나 바니가 저질렀다는 설도 있다.[33][34]

DLC 트레일러에서 글램록 보니로 추정되는 애니매트로닉스가 마지막 장면에 나왔기에 DLC에서 등장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이후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파일:MontyRide_Cutout_Bonnie_Flat.png
글램록 보니가 그려진 간판
RUIN에서 글램록 보니의 진 코스튬이 담긴 간판이 공개됐다.[35] 또한 플레이 도중 몬티의 관람차를 타고 몬티의 골프장을 한바퀴 순회하는데 이때 글램록 보니가 록산느, 치카, 프레디와 함께 공연 중이고 그걸 경외의 눈빛으로 보는 데뷔 전의 몬티, 그리고 몬티에게 베이스를 넘기고 이를 받은 뒤 록산느에게 데뷔를 위한 몸단장을 받는 몬티의 모습이 담긴 간판을 볼 수 있다. 이를 보아 기존의 팬들이 추측하던 것과 다르게 원래는 글램록 보니가 몬티보다 먼저 데뷔했다가 모종의 사정으로 몬티에게 자리를 넘겨준 모양.[36][37] 시큐리티 브리치 그림 디자인과 RUIN에서 공개된 디자인이 다르다.
파일:KaijuGlamrockBonnieRender.png
파손된 글램록 보니
파일:프레디가 보면 오열할 사진.jpg
미끄럼 방지 봇들에게 둘러싸인 채 작동 정지된 글램록 보니
그리고 특정 조건을[38] 달성하고 볼링장으로 가면, 우측 레인 끝부분의 장막이 걷히고 숨겨진 입구가 드러난다. 그리고 길을 따라가면 크게 부서져 미끄럼 방지 봇들에게 둘러싸인 글램록 보니를 볼 수 있다.#

다리가 파손되어 있고 가슴에는 구멍이 뚫려있는 등 심각하게 파손되어 있다. 다만 눈에는 아직 불이 들어와 있다.[39] 또한, 몬티의 골프장에 들어갔다고 언급되었으나 정작 파손된 보니는 몬티의 골프장이 아닌, 볼링장 어딘가에 숨겨져 있었다.[40] 그뿐만 아니라 가슴의 구멍을 자세히 보면 흐릿하지만 녹색 페인트로 보이는 것이 묻어 있다.[41]

[1] 아직 영혼이 깃든 것이 확실하지 않은 토이 애니매트로닉스들과 에너드 제외. 물론 에너드, 즉 펀타임 개체들에게는 영혼이 깃들었다고 보는 시각이 많다.[2] 다만 작중 글램록 프레디가 애니매트로닉스는 손님을 다치게 할 수는 없다는 대사를 보아, 평소에는 제압하거나 경보를 울리는 선에서 끝나는 것으로 보이는데(실제 경계 모드가 없는 '썬'은 경보만 울린다) 모종의 사건 때문인지 그레고리를 죽이려 드는 것을 알 수 있다. 글램록 프레디는 오프닝의 사고로 안전 모드로 되어있어, 다른 애니매트로닉스들과 달리 그레고리를 지켜주나 이런 프레디도 경계 모드가 되면 얄짤없이 그레고리를 죽이려 든다.[3] 스태프 로봇의 경우 보이스웨어로 추정.[4] 특히 프레디는 중반에 그레고리를 그냥 기다리기만 했을 뿐임에도 엄청 더러워져있다. 이에 대해 번트랩이 애니매트로닉스들을 낡게 만들고 있는게 아니냐는 가설이 있다.[5] Withered Animatronics[6] 파손된 록시(Shattered Roxy, 파손된 몬티(Shattered Monty), 파손된 치카(Shattered Chica) 등.[7] 영어 발음상으로는 록산느 보다 럭샌에 가깝다.[8] 사진의 머리쪽을보면 귀로 보이는 뼈대가 보이기 때문에 해당 사진의 내골격은 프레디의 내골격으로 추정된다.[9] 다만 배경이 어둡고 계단만 보고 내려가는 플레이어들이 많아서인지 이걸 보는 플레이어들은 많지 않다.[10] 그레고리가 숨어있는 상태라면 맵을 왔다갔다한다.[11] 이미 시야에 들어와 움직임을 멈춘 상태라면 파즈워치를 사용해도 움직이지 않는다. 하지만 파즈워치 사용중에 시야 밖에서 돌아다니던 엔도가 그레고리를 발견하면 바로 달려든다.[12] 벽화나 그림 중 TJoC에 출연했던 연소된 프레디랑 연소된 보니의 이미지가 나왔기에 사실상 의도한 것이 맞는 것으로 보인다.[13] 청사진에 있는 NGT는 "New Generation(신세대)"의 약자로 추정된다.[14] DJ 뮤지맨 같은 초대형 애니매트로닉스 전용인 듯 하다.[15] 이 때문에 현재 스태프 봇들이 담당하는 시설 관리 작업들을 본래는 글램록 엔도들이 담당했던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HW2에서 드래드 유닛이 헤드셋을 착용한 엔도를 STAFF Bot (스태프 봇)이라고 부르는 것을 보면 더더욱.[16] 또는 글램록 엔도의 기원이 미믹이다보니, 무언가를 보고 학습하는 미믹처럼 인공지능을 학습시키기 위하여 저런 그림들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HW2에서도 글램록 엔도를 학습시키는 미니게임은 손님들과 원활한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목적인데, 이 목적이 다른 글램록 애니매트로닉스를 만드는 게 아니냐는 말. 실제로 게임 내에서 글램록 애니매트로닉스들은 공연 외에도 다른 구역에서 손님에게 교류하거나 프레디의 경우엔 생일 축하도 해준다는 것이 언급된다.[17] 여담으로 벽화들 중에는 보라색 페인트로 덧칠된 것들도 있으며, 특히 5번째에서는 아이들이 엔도를 친근하게 대하는 것을 묘사하고 있는데, 이 벽화의 경우 엔도에 토끼 귀가 그려져 있고 뒤에 글리치트랩이 그려져 있다.[18] 계속해서 플레이어가 있는 방향으로 몸을 돌리는데 최선을 다해 미끄럼 주의를 경고하는 것일수도 있다.[19] 파즈 카메라로는 반응이 없다.[20] 여담으로 글램록 애니매트로닉스와 관련된 곳에서 파저 블래스터로 쏘면 글램록 애니매트로닉스들이 달려오니 주의하자.[21] 또한 엔티티가 나타난 이후, 가면을 오래 착용할수록 엔티티의 입꼬리가 천천히 올라간다.[22] Mechanical X-form Experimental Storage(기계식 X-형태 실험 저장소) Security Program[23] 이 때문에 글리치트랩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기도 했다.[가칭] [25] 자세히 보면 마치 이어붙인 듯 다른 코스튬 일부분이 섞여있다. 주둥이가 날아가고 귀가 뜯겨진 사자 코스튬을 기반으로 코끼리 코스튬의 왼쪽 팔과 오른발, 오리의 오른팔과 왼쪽 발이 달려있다.[26] FFPS때에 있던 개체와 동일한 개체로, 블롭처럼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었다.[27] 미믹이 자신의 목소리를 그레고리의 목소리로 변조해 캐시를 유인한후, 탈출을 시도하는 본게임의 스토리와 은근히 맞아떨어진다.[28] 자세히 들으면 UCN의 헬피가 갑툭튀 할때 에어혼 소리를 변조한 것이다.[29] 그레고리는 자석을 보고 맘에 안 든다고 대차게 깠다.[가칭] [31] 증거는 작중 수집할 수 있는 메시지 중 보니가 몬티의 골프장에 들어간 뒤 어떤 끔찍한 사건이 일어나서 영구적으로 오프라인 상태가 되었다는 메시지가 있는데, 여기서 몬티가 보니를 망가트렸다는 것. 몬티는 자기중심적이고 자기애까지 심한 성격이기에 자신이 보니의 베이시스트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보니를 부순 것이라는 것.[32] 혹은 몬티의 잘못이 아니라 단순히 보니가 물에 빠져 파손된 것이라는 가설도 있다. 몬티의 골프장에는 폭포라든지 열대 우림을 생각나게 하는 구조물들이 많다. 보니가 실수로 물에 빠져 오류로 망가졌다면 안전상으로 이미지가 나빠질 확률이 높으므로 직원들이 말하는 것을 금지시킨 것도 설명이 된다.[33] 실제로 바니는 새드 엔딩에서 자길 방해하는 글램록 프레디를 스태프 봇들을 이용하여 해체시켰다. 보니도 글램록 프레디처럼 바니의 타겟을 도와주거나 바니의 존재를 알아채버려 바니에게 해체당해버렸다고 해도 이상하지 않은 셈이다.[34] 아니면 애니매트로닉스 해킹에 이용당하고 해체당한 것일 수 도있다. 바네사가 경비원이 된 이유가 회사에서 지시한 것이였던 것처럼 상부가 이에 관련이 있거나 의도적으로 묵인하는 것일 수도 있다.[35] 보니의 볼링장 간판은 록시의 레이스웨이 간판처럼 사복 간판이다.[36] 몬티에게 베이스를 넘겨주는 글램록 보니의 모습을 보면 무대 뒷편에 가려진 채 머리가 없는 모습이다. 이를 보아 몬티와 관계 없이 뭔가 사고를 당해 파손되었고 그로 인해 몬티에게 자기 자리를 물려주게 된듯.[37] 다만 이 어트랙션 자체를 파즈베어 엔터테인먼트에서 만들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파즈베어 사에서 보니의 교체를 포장하기 위해 지어낸 이야기일 가능성이 높다.[38] 보니가 있는 방을 제외한 모든 맵의, 즉 총 28개의 미끄럼 방지 봇들을 전부 작동 정지시키는 것.[39] 보안 마스크를 쓰고 미끄럼 방지 봇들을 작동 정지시키면 눈에 들어와 있던 불이 꺼지게 된다.[40] 보니를 망가뜨린 누군가가 보니가 직원들에게 발견되어 수리되는 것을 막기위해서 의도적으로 숨겼을 가능성이 높다.[41] 다만 정황상 글램록 보니가 현역이었을 시점에는 몬티가 손톱이 없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몬티가 직접 보니의 가슴에 구멍을 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물론 손톱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파손시켰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