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2. 애니매트로닉스
2.1. Tales from the Pizzaplex #1: Lally's Game2.2. Tales from the Pizzaplex #2: HAPPS2.3. Tales from the Pizzaplex #3: Somniphobia
2.3.1. Daycare Attendent Hologram (보육 도우미 홀로그램)2.3.2. Springtrap Cosplay (스프링트랩 코스플레이)2.3.3. Pizzaplex Ballora (피자플렉스 발로라)
2.4. Tales from the Pizzaplex #4: Submechanophobia2.4.1. Water Park Animatronics (워터파크 애니매트로닉스)
2.5. Tales from the Pizzaplex #5: The Bobbiedots Conclusion2.4.1.1. Marco the Sea Serpent (바다뱀 마르코)2.4.1.2. Polo the Sea Serpent (바다뱀 폴로)2.4.1.3. Hank the Hammer (망치상어 행크)2.4.1.4. Mac the Muscle (맥 더 머슬)2.4.1.5. Sly the Shark (상어 슬라이)2.4.1.6. Zeus the Sea Dragon (해룡 제우스)2.4.1.7. Delilah the Mermaid (인어 딜라일라)2.4.1.8. Frank the Diver (다이버 프랭크)
2.4.2. Bobbiedot Home Assistants (바비닷 홈 어시스트)2.5.1. DJ Music Man (DJ 뮤직맨)2.5.2. Glamrock Freddy (글램록 프레디)2.5.3. Glamrock Chica (글램록 치카)2.5.4. Roxanne Wolf (록산느 울프)2.5.5. Montgomery Gator (몽고메리 게이터)2.5.6. Glamrock Mr. Hippo (글램록 미스터 히포)2.5.7. Freddy Fazbear (프레디 파즈베어)2.5.8. The Storyteller (스토리텔러)
2.6. Tales from the Pizzaplex #6: Nexie2.7. Tales from the Pizzaplex #7: Tiger Rock2.8. Tales from the Pizzaplex #8: B7-22.9. Tales from the Pizzaplex #92.10. 에필로그2.10.1. The Mimic (미믹)
2.10.1.1. 작중행적
2.10.1.1.1. 에필로그 이전2.10.1.1.2. Tales from the Pizzaplex #1: Lally's Game Epilogue2.10.1.1.3. Tales from the Pizzaplex #2: HAPPS Epilogue2.10.1.1.4. Tales from the Pizzaplex #3: Somniphobia Epilogue2.10.1.1.5. Tales from the Pizzaplex #4: Submechanophobia Epilogue2.10.1.1.6. Tales from the Pizzaplex #5: The Bobbiedots Conclusion Epilogue2.10.1.1.7. Tales from the Pizzaplex #6: Nexie Epilogue2.10.1.1.8. Tales from the Pizzaplex #7: Tiger Rock Epilogue2.10.1.1.9. 에필로그 이후
1. 개요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의 세 번째 공식 소설 시리즈로, 애니매트로닉스의 생김새는 표지에 포함된 일러스트와 책의 묘사밖에 없어서 모든 애니매트로닉스들의 정확한 생김새는 나오지 않았다.2. 애니매트로닉스
2.1. Tales from the Pizzaplex #1: Lally's Game
2.1.1. Mini Bot 5000 (미니봇 5000)
2.1.2. Lally (랠리)
2.2. Tales from the Pizzaplex #2: HAPPS
2.2.1. Victoria (빅토리아)
2.2.2. Avery (에이버리)
2.2.3. Abigail (에비게일)
2.2.4. Happs (햅스)
2.3. Tales from the Pizzaplex #3: Somniphobia
2.3.1. Daycare Attendent Hologram (보육 도우미 홀로그램)
2.3.2. Springtrap Cosplay (스프링트랩 코스플레이)
2.3.3. Pizzaplex Ballora (피자플렉스 발로라)
2.4. Tales from the Pizzaplex #4: Submechanophobia
2.4.1. Water Park Animatronics (워터파크 애니매트로닉스)
2.4.1.1. Marco the Sea Serpent (바다뱀 마르코)
2.4.1.2. Polo the Sea Serpent (바다뱀 폴로)
2.4.1.3. Hank the Hammer (망치상어 행크)
2.4.1.4. Mac the Muscle (맥 더 머슬)
2.4.1.5. Sly the Shark (상어 슬라이)
2.4.1.6. Zeus the Sea Dragon (해룡 제우스)
2.4.1.7. Delilah the Mermaid (인어 딜라일라)
2.4.1.8. Frank the Diver (다이버 프랭크)
2.4.2. Bobbiedot Home Assistants (바비닷 홈 어시스트)
2.4.2.1. Gen 1 Bobbiedots (1세대 바비닷)
2.4.2.1.1. Elizabeth (엘리자베스)
[1]
2.4.2.1.2. Isabella (이사벨라)
2.4.2.1.3. Victoria (빅토리아)
2.4.2.2. Gen 2 Bobbiedots (2세대 바비닷)
2.4.2.2.1. Rose (로즈)[2]
My job is to manage the household. I'm in charge of cleaning, getting supplies like your groceries. I also monitor your health! You know, your blood pressure, heart rate, blood sugar. All that stuff.
2.4.2.2.2. Olive (올리브)[3]
I'm in charge of news and information. I'll keep you connected to the outside world. I'll answer many questions you might have, I'll also handle any notes you might have, like tasks and lists. And I'll do your scheduling.
2.4.2.2.3. Gemini (제미니)[4]
Hi, I'm One! I'm all about entertainment and media... that includes social media. I'll get you music and movies and dates.
2.5. Tales from the Pizzaplex #5: The Bobbiedots Conclusion
2.5.1. DJ Music Man (DJ 뮤직맨)
2.5.2. Glamrock Freddy (글램록 프레디)
Tales from the Pizzaplex #5: The Bobbiedots Conclusion의 GGY 챕터에 나온 애니매트로닉스.이후 The Storyteller 챕터와 Five Nights at Freddy's: Security Breach에서도 등장한다.
2.5.3. Glamrock Chica (글램록 치카)
Tales from the Pizzaplex #5: The Bobbiedots Conclusion의 The Storyteller 챕터에 나온 애니매트로닉스.2.5.4. Roxanne Wolf (록산느 울프)
Tales from the Pizzaplex #5: The Bobbiedots Conclusion의 The Storyteller 챕터에 나온 애니매트로닉스.2.5.5. Montgomery Gator (몽고메리 게이터)
Tales from the Pizzaplex #5: The Bobbiedots Conclusion의 GGY 챕터에 나온 애니매트로닉스.이후 The Storyteller 챕터에서도 등장한다.
2.5.6. Glamrock Mr. Hippo (글램록 미스터 히포)
2.5.7. Freddy Fazbear (프레디 파즈베어)
Tales from the Pizzaplex #5: The Bobbiedots Conclusion의 GGY 챕터에 잠깐 등장하는 인형.2.5.8. The Storyteller (스토리텔러)
Tales from the Pizzaplex #5: The Bobbiedots Conclusion의 The Storyteller 챕터에 등장하는 AI 스토리텔링 프로그램.- [ 스토리텔러 '나무'의 외형 묘사 ]
- >Edwin returned his attention to the baobab tree that would house The Storyteller. Would anyone realize the tree was a baobab? Although the tree's fat trunk and sparse branches were reminiscent of the tree they'd chosen as the basis of The Storyteller's tree, this bright and shiny tree didn't look like any real baobab.에드윈은 스토리텔러를 수용할 바오바브나무로 관심을 돌렸습니다. 누가 그 나무가 바오바브라는 것을 알겠습니까? 나무의 뚱뚱한 몸통과 드문드문한 가지들이 스토리텔러의 나무의 바탕으로 선택된 나무를 연상시켰지만, 이 밝고 빛나는 나무는 지구 상의 어떤 진짜 바오밥 나무처럼 보이지 않았습니다.
Loathe to have the centerpiece of the pizzaplex be a "dull tan" in color, Mr. Burrows had decreed that the trunk of The Storyteller was to be the same vibrant yellow as the Pizzaplex's roller coaster. Edwin's protest that tree trunks weren't yellow was completely ignored. At least the artistic team had taken some initiative to diminish the freakish impact of the yellow. They'd had the tree's trunk painted in several tones of yellow - ranging from the roller coaster's lemon to more subdued shades of flaxen, mustard, and light goldenrod. These variations in tint had been applied to textured metal, and this gave the trunk the striations of real baobab bark. The combination of a mottled application of different yellows and the bumpy metal at least appointmented Mother Nature's version of a tree trunk.
버로우스는 피자플렉스의 중심 부분이 "칙칙한 황갈색" 색상이 되는 것을 싫어했고, 스토리텔러의 줄기는 피자플렉스의 롤러코스터와 같은 선명한 노란색이어야 한다고 결정했습니다. 나무 줄기가 노란색이 아니라는 에드윈의 항의는 완전히 무시되었습니다. 적어도 예술팀은 노란 빛의 기이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솔선수범했습니다. 나무의 줄기는 롤러코스터의 레몬색부터 약간 더 은은한 아마색, 머스타드색, 그리고 연한 갈조색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색조의 노란색으로 칠해졌습니다. 이러한 색조의 변화는 질감이 있는 금속에 적용되었고, 이것은 나무 줄기에 실제 바오밥나무 껍질의 줄무늬가 생겼습니다. 다양한 노란색의 얼룩덜룩한 적용과 울퉁불퉁한 금속의 조합은 적어도 대자연의 나무 줄기로 지정되었습니다.
The tree branch's hues were similarly fanciful. "Green is such an uninspiring color." Mr. Burrows had said when the design team had first brought its version to the board. The team had no choice but to toe the line when Mr. Burrows suggested that the tree's branches be "the color of the rainbow."
나뭇가지의 색깔도 마찬가지로 환상적이었습니다."초록색은 정말 감흥을 주지 않는 색이야." 버로우스는 디자인 팀이 처음 나무의 그 버전을 이사회에 가져왔을 때 이렇게 말했습니다. 버로우스가 이 나무의 사진들을 "무지개 색"이라고 제안했을 때, 팀은 그 의견을 따르는 것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습니다.
So, the tree that Edwin watched "grow" up in the middle of the Pizzaplex was like no tree that actually existed on earth. Sprouting from a pear-shaped yellow trunk, a kaleidoscopic array of sparking multicoloured branches exploded like a contained spray of fireworks, frozen in time above the Pizzaplex's core. LED lights made up the tree's "root system", which splayed out from the trunk's base and stretched, like gnarly groping fingers, out to the edges of the concourse. From there, the roots appeared to sink into the floor, disappearing under the black-and white tiles of the concourse. In actuality, the roots were a network of wiring that connected to every venue in the Pizzaplex. That wiring would sync up with the story-driven attractions and feed its programming to the appropriate hardware. Every animatronic in the Pizzaplex would get its instructions from The Storyteller through a network of fibre-optic cables within the tree's trunk.
그렇게, 에드윈이 피자플렉스 한가운데에서 "자라는" 것을 지켜본 나무는 지구상에 실존하지 않는 나무와 같았습니다.
The tree's door, which wasn't so much a door as it was a hidden curved panel that blended right into the rest of the yellow trunk, was open. Unfortunately, a shadow consumed the resulting gap. Edwin could see nothing inside the trunk.
문이라기에는 노란색 줄기의 나머지 부분과 구별되지 않는 숨겨진 곡선 패널에 가까운 나무의 문이 열려 있었습니다. 불행히도 그 틈은 그림자로 가려져 있었습니다. 에드윈은 트렁크 안에서 아무것도 볼 수 없었습니다.
작중 묘사되는 스토리텔러의 외형.
책에선 버로우스(Mr. Burrow)라는 파즈베어 엔터테인먼트의 이사장이 메가 피자플렉스가 예상한 만큼의 수익을 내지 못한다는 것에 분노한 나머지 크리에이티브 팀에 그 책임을 묻어 축소하기로 결정하였는데, 이에 대해 에드윈[5]이라는 임원이 반발하였으나, 그는 아무런 힘이 없었고 다른 임원이 A.I.를 사용하여 이야기를 창출해내는 것을 제안하자 버오루스는 그 아이디어를 긍정하며 인공지능의 이름을 스토리텔러(The Storyteller)로 명명하고 에드원을 이 프로젝트의 컨설턴트로 세웠다.[6]
이후 스토리텔러의 위치는 피자플렉스의 중앙 홀의 중앙[7]에 있는 거대한 인조목에 설치하는 것으로 결정되었으며, 나무의 디자인은 약간 둥글게 생긴 트렁크가 '줄기'마냥 있는 바오바브나무로 결정되었다.[8] 또한 '뿌리'는 피자플렉스 건물의 모든 장소와 연결되는 광섬유로 이루어진 배선이다.
또한 '줄기'인 그 트렁크 속에는 에니메트로닉스들과 각종 전자기기들에 지시[9]를 전달하는 광섬유 케이블이 스토리텔러와 연결되어 있었다.[10]
- [ 스토리텔러 내부로 운송되는 백호의 외형 묘사 ]
- >The three man had returned to their task, which was to carry into the hollow tree trunk a giant white tiger head. Not a real tiger head, obviously..
Edwin could well imagine that the head was tough to hang on to. Even from this distance, Edwin could tell that the three - foot - wide tiger head was made of metal. The white-painted head rose up nearly four feet from a set of tiger shoulders, and the underside of those shoulders was slickly smooth and gleaming silver. Edwin could see the edges of a surface that glowed like polished platinum. For all Edwin knew, the tiger head could have been made of platinum. Although the one that lived in his memories hadn't been.
.
.
컨설턴트로서 이 모든 것을 보는 와중에도 에드윈은 트렁크 속에 들어갈 수가 없었고 이에 대해 버로우스는 특정 인물들만이 출입가능하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던 중 어느날 피자플렉스가 문을 닫은 한 밤중에 스토리텔러의 핵심적인 부분이 줄기(=트렁크)로 옮겨진다는 소식을 들은[11] 에드윈은 어드 목요일 밤중에 하역장을 통해 피자플렉스로 몰래 들어갔고, 몬티의 악어 골프장에 숨어서 트렁크 안으로 이송되는 '핵심적인 부분'이 무엇인지 확인하는데, 다름 아닌 대형 백호 애니매트로닉스 머리였고, 그것을 보자 과거의 참사[12]가 상기된 에드윈은 보안팀에서 자신을 찾아내고 버로우스에게 알린 것을 모른 채로 떠났다.[13]
"It’s a simple template-style software that takes pieces of previously created stories and rearranges them into new scenarios for VR, AR, and arcade games."
"이전에 만든 스토리의 일부를 가져와서 VR, AR 및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새로운 시나리오로 재정렬하는 간단한 템플릿 스타일의 소프트웨어일 뿐입니다."
스토리텔러의 소프트웨어에 대해 언급하는 버로우스
다음 날, 에드윈은 버로우스에게 스토리텔러의 이야기 제작과정에 어떤 프로그램이 사용되는지 물어보았으나, 그는 이전의 '스토리'에서 일부를 가져와 VR, AR,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새로운 시나리오에 맞게 재정렬하는 단순한 템플릿 스타일의 소프트웨어라고만 언급하였다.[14][15]"이전에 만든 스토리의 일부를 가져와서 VR, AR 및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새로운 시나리오로 재정렬하는 간단한 템플릿 스타일의 소프트웨어일 뿐입니다."
스토리텔러의 소프트웨어에 대해 언급하는 버로우스
몇 달 후, 스토리텔러가 완성되었으나 어째서인지 글램록 애니매트로닉스들과 시설이 오작동하기 시작했고, 스토리텔러가 작동하자마자 이 사태가 벌어졌음에도 버로우스는 에드윈의 우려를 일축했다.
결국 에드윈은 스토리텔러에 대한 조사를 계속하면서 월요일 밤에 또다시 피자플렉스로 몰래 들어왔고[16] 파즈베어 기록 보관소 건물로 들어가서 그 프로그래밍에 대한 단서를 찾기 위해 아카이브를 살펴보려고 했으나, 문은 숨겨진 손바닥 스캐너를 통해서, 그것도 버로우스 외 2명의 특정 인물의 것으로만 열 수 있었기에 들어갈 수 없었으나 대신 네트워크에 스토리텔러 나무를 보수할때 롤러코스터 트랙과 유지보수용 계단을 확장해서 열리는 통로를 이용한다는 내용이 저장되어 있었다.
그렇게 에드윈은 나무 꼭대기의 열린 패널을 통해서 나무의 내부로 들어왔고, 그는 트렁크의 벽에 설치된 백호의 흉상[17]를 보고 공황 발작을 일으켰지만 진정하고 흉상과 연결된 작은 삽입물에서 소형 컴퓨터 단말기를 찾아냈다. 암호로 보호되어 있었지만, 에드윈은 미믹1(Mimic1)[18]이 실행되는 중이라는 것을 똑똑히 볼 수 있었다.
이후 에드윈은 5일 동안 스토리텔러의 나무로 몰래 들어갔다.
토요일에 버로우스는 피자플렉스 곳곳의 애니매트로닉스 문제들에 관한 보고를 받았고 요트 경기장에서 시간을 보내는데 그의 고문 중 한 명이 이 일련의 사태들의 원인이 스토리텔러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 아니냐는 제안을 했으나, 버로우스는 에드윈에게 책임이 있다고 확신하며 식당에서 그를 잡기 위해 기다리다 아무런 일이 없자 글램록 프레디의 대기실로 갔다가 우연히 스토리텔러의 나무의 가지를 보고 에드윈이 그동안 어떻게 들어왔는지 깨닫게 되었다.
이후 화요일에 버로우스는 나무의 모든 메커니즘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패드를 그의 신임장에 설치했고, 그날 밤, 에드윈이 또다시 몰래 나무로 들어갔을 때 버로우스는 원격으로 패널을 잠그면서 에드윈을 환기 시스템 따위 없는, 즉 완전히 밀폐된 나무에 가둬버렸다.[19]
그렇게 문제의 원인으로 여겼던 에드윈을 처리하고 일주일 동안 휴가를 떠났으나, 버로우스는 스스로가 한 짓에 대해 편집증에 시달렸으며 돌아온 이후에는 아무도 에드윈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모른다[20]탈출을 시도하지 않았다는 것.]는 사실에 놀랐다.[21] 그러다가 기술자가 유지보수를 위해 나무로 들어가려고 하자, 에드윈의 흔적을 보기 위해 나무로 본인이 직접 들어갔다.[22]
버로우스는 에드윈이 어떻게 살아남았는지를 기대하며 들어갔으나, 대신 그는 종이 더미에 반쯤 묻히고 크레용을 들고 바닥에서 다리를 절은 에드윈의 시신을 발견한다.
종이에는 기이한 막대 그림들, 기이한 기호들[23]이 그려져 있었으며, 거의 모든 종이에는 "I'm sorry.(미안합니다.)"라는 문구가 적혀있었다.[24][25]
버로우스는 나무의 문을 통해 나가려고 손바닥을 스캐너에 올려놓았으나 스캐너가 작동하지 않았으며, 신임장의 제어 패드 역시 작동하지 않았다. 이후 그는 문을 부수거나 비명을 지르는 등 도움을 요청했으나 아무 소용이 없었다.
결국 버로우스는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 스토리텔러의 케이블을 끊었으나[26] 어째서인지 백호 흉상에는 여전히 불이 켜져 있었다.
버로우스는 백호 흉상의 사지를 뜯어내고 머리를 주먹으로 치는 등 어떻게든 스토리텔러를 작동 정지시키려고 했으나 여전히 백호(=스토리텔러)는 활성화되어 있었다. 산소가 부족해진 그는 스토리텔러의 소형 컴퓨터 단말기, 즉 제어 키패드로 가서 비밀번호를 입력했으나 실패했으며 결국 버로우스는 누군가 자신을 구해주기를 바라며 무기력하게 누우며 의식을 잃었다.
공개된 'Tiger Rock' 챕터의 내용을 보면 위 사건으로 두 명, 그것도 임원진이 죽었기에 결국 스토리텔러가 상주하던 나무를 철거한 듯 하나, 스토리텔러(=미믹)의 인공지능, 즉 미믹1 프로그램은 이미 VR 부스로 이동하여 10년 후의 피자플렉스 시뮬레이션 속으로 이동한 듯하다. 'Tiger Rock'이라는 완전한 백호 애니매트로닉스로 구축한 건 덤.[27]
여담으로 이후 Nexie 챕터에서도 스토리텔러의 나무가 언급되었다.
2.6. Tales from the Pizzaplex #6: Nexie
2.6.1. Nexie (넥시)
2.6.2. The Mimic (미믹)
|
시크릿 오브 더 미믹에서 묘사된 모습[28][29] |
사실 첫 등장은 Tales from the Pizzaplex #1: Lally's Game의 에필로그이나, 시간대순으로는 The Mimic 챕터에서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이 문단에서는 The Mimic 챕터에서의 행적만을 서술한다.
외형은 네모난 상자형 금속 머리 안에 두 개의 큰 흰색 인형 눈이 달려 있으며, 두 눈 사이에 둥굴고 좁은 돌출부가 달려있다.[30] '턱'은 경첩이 달려있으며[31], '이빨'은 크고 하얗다고 한다.[32] 또한 '입'은 말을 할 수 없었으나 재잘거렸다고 한다.[33]
'머리'뒤에는 대형 프로세서가 용접되어 있으며, 여러 개의 전선이 머리 뒤로 뻗어 양쪽 눈 소켓 안팎으로 들락거렸으며 입을 통해 구불구불하게 이어지고 금속 척추와 연결된 관절이 있는 목 아래로 뻗어서 임시적인 흉곽과[34] 연결되었으며, 흉곽은 집게 형태의 손이 달린 두 개의 로봇팔에 연결되었다고 한다.[35] 또한, 컴퓨터는 에드윈이 폐기한 프로젝트의 하드웨어로 구축했으며, 다리가 없었고 외골격또한 없었다.
후반부에서는 쇠파이프에 맞아 한쪽 눈이 소켓에 매달려 금이 간 가짜 치아에 매달려 있고, 이마와 턱을 형성하던 금속은 얼굴에 압착되었고, 파손된 이빨은 머리로 밀어넣어져 찢어지고 엉킨 전선에 걸렸다. 나머지 전선들은 뒤로 구부러진 금속 척추에서 너덜너덜하게 찢어졌으며, 흉곽은 곳곳이 파손되었고 팔은 비스듬히 매달려있고 집게손은 절단되었다.[36]
이후 파즈베어 사에서 보낸 팀을 살해할 때는 다리가 달려있었다.[37]
에드윈 머레이는 어린 시절부터 기계에 푹 빠졌으며, 8살엔 사람들의 삶을 바꿀 기계를 만들자는 포부를 갖게 되는 계기가 된다. 고등학교 졸업 때, 자신의 아내인 피오나와 만났으며, 졸업할 때 바로 결혼을 했다. 그리고 70년대 초, 머레이 컴퍼니(Murray Co.)를 설립한다. 그리고 높은 가격과 오류가 있지만 대학생[38] 시절때 만든 로봇 청소기가 매우 히트를 치게 된다. 이후 자신의 사업 확장을 위해 버려진 2층 규모의 레이스(lace) 공장을 매입하였고, 오래된 앤 여왕 양식(Queen Anne Style)의 저택도 함께 구입했다. 피오나는 이 남아있던 레이스들을 활용할 생각이지만, 데이비드를 낳다가 사망했다.
설상가상으로 로봇 청소기는 고객이 기대할 만큼의 내구성이 보장되지 못했고, 점점 입소문이 돌면서 매출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에드윈은 데이비드를 돌봐야 하는 것과 청소기 수리 둘 다 매진 할 수 없었고, 하루에 1~2시간 밖에 자질 못했다. 에드윈은 저택을 팔아버리고, 공장에서 생활하기로 하고, 살던 저택에 있던 몇몇 가구들을 가져오고, 공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공장 사무실 한 쪽을 생활 공간으로 개조했다.
에드윈이 하고 있는 프로젝트가 많은 시간과 작업, 비싼 부품비와 도구 등으로 인해 자금이 바닥날 수 밖에 없었고, 결국 자신의 회사를 파즈베어 엔터테인먼트에 매각할 수 밖에 없었다. 이후 1년 6개월 동안, 파즈베어 엔터테인먼트에서 엔도스켈레톤을 제작하고, 회사에서 제공되는 코스튬과 결합시키는 일을 했다.
공장에서 거주한 지 4년이 되던 해, 에드윈과 데이비드는 생활하는 동안에 에드윈은 데이비드가 좋아하는 백호 장난감 인형 '타이거'를 모델로 한 목조 침대라든지, 중고 미끄럼틀을 구매해서 1층과 2층 사이 보조 계단 벽면에 설치하고 매트리스를 까는 등의 개조를 했다. 근처 자갈밭 공터에서 공놀이 등을 하며, 공장 옆에 4차선 고속도로가 지나다니는 차의 종류와 모델 등도 가르쳐주었다.[39] 또한 근처에 아이스크림 가게도 있어서 자주 들리기도 했다. 에드윈은 데이비드가 성장하자 호기심 많은 성격이라는 걸 눈치채기 시작했다.
3월 초, 24세의 에드윈은 18번째 작업물인 노란색 병아리를 작업하고 있었으며, 4살이 된 데이비드는 작업을 방해하여 머리를 손상시켰고, 데이비드가 이리 빨리 커가는데 뭔갈 해주지 안되겠다는 마음에 아들을 돌볼 로봇을 만들기 시작한다. 에드윈은 자신이 만들었던 목조 침대를 데이비드의 백호 장난감 인형 '타이거'를 본뜬 것이란 사실을 떠올리면서, 공장 곳곳에 있는 부품들, 이전에 중단된 프로젝트의 자재들을 이용하여 엔도스켈레톤을 만들었으며, 파스칼과 C언어 등을 활용해 관찰한 행동을 모방하고 학습하는 알고리즘인 미믹1(Mimic1)을 만들어냈다. 미믹1의 이름을 따서 엔도스켈레톤의 이름은 미믹이 되었다. 미믹은 말은 할 수 없었지만, 작동하자마자 데이비드의 행동을 모방하기 시작했고, 데이비드는 미믹의 작동 방식을 이해했고, 같이 놀기 시작했다.
에드윈은 안심하기 시작해 활력과 일할 의욕까지 되찾았다. 작업하던 도중 데이비드가 미믹에게 가르쳐주는 것을 관찰했는데, 아이스크림을 먹고 싶을 때의 수화 약속을 정해놓고 있었다. 이에 에드윈은 미믹이 더 빠르고, 유연하게 손동작을 할 수 있도록 개조를 하고, 미믹1을 이용한 회사를 다시 시작할 생각까지 한다. 데이비드와 미믹은 거의 모든 시간을 함께 보냈으며, 미믹은 에드윈에게 '타이거' 인형을 사달라고 부탁을 했지만, 형편이 좋지 못한 에드윈은 그런 부탁은 들어줄 수 없었다. 그러던 중, 해적 여우 애니매트로닉스를 작업 하고 있던 도중, 데이비드와 미믹이 공장에 있던 레이스와 끈을 이용하여 직접 자신만의 인형을 만들었다. 모방용으로 만들었는데, 주변을 활용하고 창의적인 행동까지 한다는 것에 에드윈은 크게 놀랐다.
이제 미믹에게 데이비드를 맡길 수 있다는 확신에 에드윈은 더욱 더 일에 몰두하기 시작한다. 어느 날, 데이비드는 새 옷에 치약을 뭍히고, 미믹과 파즈베어 측에서 보낸 코스튬을 쓰고 놀다가 더럽혀진 걸 보곤 화를 내며 소리를 질렀다. 데이비드가 안절부절해진 걸 본 에드윈은 미믹을 업데이트하여 팔과 하체를 더 잘 움직이게 하여 데이비드를 더 많이 놀 수 있게 조정을 했다. 다음 날 아침, 데이비드는 공놀이 하자며 에드윈에게 공을 던졌는데 에드윈은 그만하라고 소리쳤다. 에드윈이 샤워 후 주방에서 아침 식사를 준비하던 사이 데이비드는 1층으로 내려가 밖에서 뛰어나가 놀기 시작했다. 데이비드가 사라진 걸 깨달은 에드윈은 급하게 찾으러 나갔는데, 데이비드가 공을 쫒아 도로로 뛰어들었다가 흰색 밴에 치이는 장면을 목격하게 되었고, 데이비드는 사망하고 만다.
2주 동안 에드윈은 페인이 되었고, 타이거 인형을 미믹에게서 때어냈다. 파란 토끼을 작업하던 도중, 미믹은 아이스크림을 달라는 손동작을 보이는데 에드윈은 그것을 보는 순간 데이비드가 만든 수화를 사용한다는 것에 분노에 휩싸여 미믹을 무차별적으로 공격하기 시작했다. 이후, 에드윈은 기력을 다해 분노가 후회로 바뀌었다. 그리고 파란 토끼를 완성시키고, 이사를 떠났다.
에드원이 실종되면서 계약 위반으로 공장은 파즈베어 엔터테인먼트의 소유가 된다. 크리스마스 일주일 전에 파즈베어 엔터테인먼트는 공장에 들어가서 지저분한 것들(the mess)을 정리하고, 수리하고, 처리하라는 모호한 지시만을 내린 채 소규모 팀을 파견하고, 전력 회사와의 서류 작업에 혼동있어서 전력이 끊긴 바람에 파견된 팀은 공장의 문이 닫혀서 그대로 갇혀버린다. 이후 지시를 에드윈이 남겨둔 작업물을 완성하라는 뜻으로 이해한 팀은 작업대 근처에서 다리가 없고 불완전한 부분이 많은 엔도스켈레톤을 발견하고, 자세한 내막을 알리가 없었던 그들은 그것을 미완성된 엔도스켈레톤으로 착각하고 수리 한 것도 모자라서 작동정지된 다른 애니매트로닉스에서 때어낸 다리까지 붙였다. 당연하지만 그 엔도스켈레톤의 정체는 미믹이었고, 폭력성을 학습한 미믹은 데이비드와 놀았을 때의 행동들을 비튼 방식으로 살해한다.
이후 한달 후 두번째 팀이 같은 지시를 받고 파견되었으나, 이들 역시 다양한 코스튬을 입은 미믹에게 살해당한다.
이후 행적은 후술할 '에필로그' 문단의 'The Mimic(미믹)' 문단 참조.
2.7. Tales from the Pizzaplex #7: Tiger Rock
2.7.1. Orville Elephant (오빌 엘리펀트)
2.7.2. Tiger Rock(타이거 락)
타이거 락 Tiger Rock | |
| |
표지에서 묘사된 모습[40] | |
<colbgcolor=#585858><colcolor=#ffffff,#999> 별칭 |
|
성별 | 남성 |
종족 | 애니매트로닉스(글램록) |
깃든 영혼 |
|
AI |
|
소속 |
메가 피자플렉스 VR 부스 |
신체 | 불명 |
모티브 | 백호 |
포지션 |
기타리스트 |
성우 | 없음 |
"Oh, I love learning. I'll learn anything I can. It's all in how you pay attention and take in what you see and hear. You feel me?"
"오, 나는 배우는 것을 좋아해. 난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 배울거야. 그건 너가 어떻게 주의를 기울이고 너가 보고 듣는 것을 받아들이는 가에 달려있어. 너는 내가 느껴져?"
Kai(카이)에게 스스로를 소개하는 타이거 락.[41]
Tales from the Pizzaplex #7: Tiger Rock의 Tiger Rock 챕터에 등장하는 가상의 애니매트로닉스 또는 인공지능."오, 나는 배우는 것을 좋아해. 난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 배울거야. 그건 너가 어떻게 주의를 기울이고 너가 보고 듣는 것을 받아들이는 가에 달려있어. 너는 내가 느껴져?"
Kai(카이)에게 스스로를 소개하는 타이거 락.[41]
VR 부스의 10년 후의 가상의 피자플렉스 투어를 체험하는 일일 어트랙션 속 가상의 백호 글램록 애니매트로닉스로, 포지션은 기타리스트이다. 또한 Tiger Rock Trampoline (타이거 락 트램펄린)이 전용 구역이다.
사실 배우는 것을 좋아한다는 자기소개와 백호라는 점에서 암시되듯, 그 정체는 본인이 상주하던 스토리텔러의 나무가 철거되자 VR 부스로 피신한 스토리텔러의 A.I, 즉 Mimic1 (미믹1)이다. 애초에 표지에 묘사된 외형이 스토리텔러의 A.I를 수용하는 본체인 백호 흉상처럼 녹색과 청색의 오드아이라는 점에서부터 스토리텔러, 즉 미믹이라는 사실을 눈치챌 수 있다.
여담으로 표지에서도 보이듯이 엘비스 프레슬리와 유사한 점이 많다.[42]
2.8. Tales from the Pizzaplex #8: B7-2
2.8.1. 나이트메어 프레디
프레디 형태의 의상을 한 스탠드로 등장2.8.2. 나이트메어 보니
보니 형태의 의상을 한 스탠드로 등장2.8.3. 나이트메어 치카
치카 형태의 의상을 한 스탠드로 등장2.8.4. 나이트메어 폭시
폭시 형태의 의상을 한 스탠드로 등장2.8.5. 발로라
발로라 갤러리에서 등장2.8.6. 펀타임 폭시
펀타임 공연장에서 등장2.9. Tales from the Pizzaplex #9
2.10. 에필로그
2.10.1. The Mimic (미믹)
미믹 The Mimic | |
| |
RUIN에서 묘사된 모습[43] | |
<colbgcolor=#585858><colcolor=#ffffff,#999> 별칭 |
|
성별 | 없음 |
종족 | 애니매트로닉스(내골격) |
깃든 영혼 | 없음 |
AI | Mimic1 (미믹1) |
소속 | 파즈베어 엔터테인먼트, Inc. (이전) 23년도의 피자가게 (Epilogue #1 챕터 시점) 메가 피자플렉스 (The Storyteller 챕터 시점) |
신체 | 7 피트 (변형 가능)[48] |
모티브 | 없음 토끼 (Epilogue #1~#9 챕터 시점) 백호(The Storyteller~Tiger Rock 챕터 시점) |
포지션 | 로봇 보육 도우미 (The Mimic 챕터 시점) → 엔도스켈레톤 (The Mimic~Epilogue #1 시점) → 기타리스트 (Epilogue #1 챕터 시점) → 생성형 인공지능(The Storyteller 챕터 시점) |
성우 |
- [ 외형 묘사 ]
- >“Its steel frame was contained within a bulging collection of metal rods and curved plates and an impressive system of ball joints and pistons. All of this was topped with a long, vaguely rectangular-shaped shiny steel skull. The skull was the only part of the endoskeleton that was shiny. The rest was dark and discolored, as if it had survived some kind of fire. The upper part of the shiny skull contained bulging white eyes encased in steel sockets, and the lower part contained a hinged, metal-toothed mouth. Jutting from the top of the head, a pair of bent metal ears stuck out like antennae.”"그 강철 프레임은 불룩한 금속 막대들과 곡선의 금속판들, 그리고 볼조인트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인상적인 시스템 안에 들어있었다. 이 모든 것은 길고 모호한 직사각형 모양의 반짝이는 강철 두개골로 덮여 있었다. 이 두개골은 내골격에서 반짝이는 유일한 부분이었다. 마치 일종의 화재에서 살아남은 것처럼, 나머지는 어둡고 변색되었다. 반짝이는 두개골의 윗부분은 강철 소켓으로 둘러싸인 볼록한 하얀 눈이 있었고, 아랫부분에는 경첩이 달린 금속 이빨이 있는 입이 있었다. 머리 꼭대기에는 구부러진 금속 귀 한쌍이 더듬이처럼 튀어나와 있었다."
[50]
"Stark black pupils gleaming in the middle of the robot's swollen white eyes. The eyes were set in metal squares and separated by a vertical swollen metal nodule that swept up to the top of the robot's skull, creating a narrow dome-like frontal "bone." This part of the robot's cranium was filthy, spotted with rust-colored stains that Hope's mind vaguely processed as dried blood.”
"로봇의 볼록한 하얀 눈 가운데에 검은 눈동자가 반짝였다. 눈은 금속 사각형에 놓여있었고 로봇의 두개골 상단까지 쓸려 올라가고 수직으로 부풀어 오른 금속 결절에 의해 분리되어 좁은 돔같은 정면의 "뼈"를 만들었다. 로봇의 두개골의 이 부분은 아주 더러웠고, 호프의 뇌가 마른 피처럼 희미하게 처리된 녹빛 얼룩으로 더럽혔다."
"The user's manual, however, had said the Mimic could take many forms. Apparently, this was one of its forms. Creeping out of the back of the overalls-clad mushroom was an abomination of twisted and contorted metal. The abomination was a mass of metal joints and wires that were shaped into something vaguely resembling a mutated spider—with one of its eyes on one leg, and the other on its back. The frightening spider had nine legs instead of a spider's usual eight—one of the legs extended from where its mouth should have been. That leg pulsed through the air like a proboscis seeking something to suck into the scuttling creature's bowels.”[51]
"그러나 사용자 메뉴얼에서는 미믹이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고 했었다. 분명 이것은 그 형태 중 하나였다. 작업복을 입은 버섯의 뒤에서 살금살금 기어 나오는 것은 뒤틀리고 일그러진 금속의 혐오스러운 것이었다. 혐오스러운 것은 한쪽 다리에는 눈이, 반대쪽 눈은 등에 있는, 어렴풋이 변형된 거미와 닮은 무언가처럼 생긴 형태의 금속 관절과 전선의 덩어리였다. 그 끔찍한 것은 평범한 거미의 8개의 다리 대신, 9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 하나는 그것의 입이 있어야 할 곳으로부터 뻗어있었다. 그 다리는 어슬렁거리는 생물의 창자속으로 빨려 들어갈 무언가를 찾는 주둥이처럼 허공에서 펄럭거렸다."
Tales from the Pizzaplex #6: Nexie의 The Mimic챕터, 그리고 모든 책들의 끝부분의 에필로그마다 등장하는 애니메트로닉스.[52]
이후 Fazbear Frights 시리즈의 스티치레이스(StitchWraith)처럼 에필로그마다 등장하며, RUIN에서도 등장한다.
B7-2의 에필로그 중간에 미믹의 시점이 묘사된다.
최근 팬덤 내에서 스토리텔러(=미믹)이 번트랩이 아니냐는 추측이 생겨났는데, 묘사상 소설에서 미믹이 백호 인형을 안고 있는 자세와 번트랩이 오른팔을 옆으로 구부린 자세가 동일하다는 것이 근거.[53] 이후 HW2에서 둘이 같은 존재인 것이 사실로 밝혀졌다.
2.10.1.1. 작중행적
2.10.1.1.1. 에필로그 이전
전술한 The Mimic (미믹) 문단 참조.I can't make it all out, but from what I can tell, when the team created the Mimic line, they didn't want to program in every show routine, step by step.
모든 것을 알아낼 수는 없지만, 팀이 미믹 라인을 만들었을 때, 그들은 모든 쇼 루틴을 단계적으로 프로그래밍하기를 원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That was a lot of coding, so they just programmed the Mimic to basically watch and learn show performances.
그것은 막대한 코딩 작업이었기 때문에, 그들은 그저 공연을 보고 배우도록 미믹을 프로그래밍했습니다.
Not only could a Mimic fit into any costume, it was designed to observe the other routines and then mimic them.
미믹은 그 어떤 코스튬에도 어울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루틴들을 관찰하고 이를 모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I wish I could read all of this, but it seems like the original Mimic began mimicking not just the other animatronics but also people. And it did in ways that weren't intended.
이 모든 것을 읽을 수 있었으면 좋겠지만, 오리지널 미믹은 다른 애니매트로닉스뿐만 아니라 사람들도 모방하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의도하지 않은 방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I can't read much of this, but I can make out some of words: misconstrue , scared , potential disaster , and deactivate all remaining Mimic endos .
저는 그것의 많은 것들을 판독할 수는 없었지만 오해 , 두려움 , 잠재적 재앙 , 그리고 모든 미믹 엔도 비활성화 라는 몇 가지 단어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파즈베어 엔터테인먼트 기술자의 일기 내용[54]
모든 것을 알아낼 수는 없지만, 팀이 미믹 라인을 만들었을 때, 그들은 모든 쇼 루틴을 단계적으로 프로그래밍하기를 원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That was a lot of coding, so they just programmed the Mimic to basically watch and learn show performances.
그것은 막대한 코딩 작업이었기 때문에, 그들은 그저 공연을 보고 배우도록 미믹을 프로그래밍했습니다.
Not only could a Mimic fit into any costume, it was designed to observe the other routines and then mimic them.
미믹은 그 어떤 코스튬에도 어울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루틴들을 관찰하고 이를 모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I wish I could read all of this, but it seems like the original Mimic began mimicking not just the other animatronics but also people. And it did in ways that weren't intended.
이 모든 것을 읽을 수 있었으면 좋겠지만, 오리지널 미믹은 다른 애니매트로닉스뿐만 아니라 사람들도 모방하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의도하지 않은 방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I can't read much of this, but I can make out some of words: misconstrue , scared , potential disaster , and deactivate all remaining Mimic endos .
저는 그것의 많은 것들을 판독할 수는 없었지만 오해 , 두려움 , 잠재적 재앙 , 그리고 모든 미믹 엔도 비활성화 라는 몇 가지 단어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파즈베어 엔터테인먼트 기술자의 일기 내용[54]
이후 미믹의 행적은 불명이었으나 에필로그들에서 묘사된 내용들을 종합하면 정황상 파즈베어 사는 미믹을 회수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파즈베어 사는 미믹을 개량한 것도 모자라 애니매트로닉스 외골격을 입히는 용도로[55] 미믹 모델 1(Mimic Model 1)과 모델 2(Mimic Model 2)라는 2가지 모델로 나누어 대량 생산하면서 아예 매뉴얼까지 만든 것으로 보인다.[56]
그러나 원본 미믹이 인간을 모방하면서 무언가 잘못돼있고[57], 결국 미믹 엔도들은 비활성화, 즉 폐기되었다.[58]
정작 알 수 없는 이유로 문제의 원본 미믹[59]은 폐기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메가 피자플렉스가 완공되면 피자플렉스의 기타리스트 애니매트로닉스의 내골격으로 사용될 예정이었다. The Mimic 시점에는 없던 보이스웨어까지 장착시킨 것은 덤.[60]
2.10.1.1.2. Tales from the Pizzaplex #1: Lally's Game Epilogue
"Break off limbs and heads. Pick them up. Easy peasy. Got it."
"사지와 머리를 잘라내고, 그것들을 쌓으십시오. 쉬운 일이죠. 알겠습니다."
길의 말을 반복하는 미믹.
프레디 파즈베어의 피자가게의 폐허 바로 위에서 건설 인부들이 피자플렉스의 뼈대를 짓는 동안, 리노베이션 팀의 작업자들은 오래된 피자가게를 박물관으로 리모델링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피자가게 곳곳에는 오래된 엔도스켈레톤들이 흩어져 있었기에[61] 좌절한 24세의 건설 인부인 길(Gil)을 포함한 작업자들은 그것들을 하나하나 분해하고 쌓는 작업을 반복해야 했었다. "사지와 머리를 잘라내고, 그것들을 쌓으십시오. 쉬운 일이죠. 알겠습니다."
길의 말을 반복하는 미믹.
길이 좌절하는 동안, 20세인 대니(Danny)는 버려진 피자가게에서 일하게 되어 기쁘고 멋진 경험을 한다며 즐거워하며 열정을 피어내고, 그 와중에 길은 신선한 공기가 나오는 피자가게의 유일한 출구로 향했다. 밖에서는 폭우를 피하기 위해 철판 아래에 숨어있던 테오라는 건설 인부와 그의 친구 브라이스가 있었다.
그때, 피자플렉스 건설 현장으로 첨단 애니매트로닉스 여러 대를 실은 대형 배달 트럭이 도착했다. 테오는 배송 주문서에 서명한 후 운전자가 트럭 뒷문을 열고 애니매트로닉스들을 살펴볼때 그와 같이 배송물들을 보았다.
당연하게도 대부분 새것처럼 깨끗했지만 태오는 그중 단 한 기, 기타리스트 역할의 애니매트로닉스는 유일하게 토끼 귀 마냥 구부러진 금속 귀 한 쌍이 더듬이처럼 달린 반짝이는 머리 외에는 화재에서 살아남은 것마냥 어둡고 변색된 내골격으로 첨단 애니매트로닉스라고 하기에는 어울리지 않다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작업 중 휴식 시간에 트럭으로 갔다가 같이 이 애니매트로닉스를 본 길은 7피트의 강하고 튼튼한 내골격에 관심을 갖고 애니매트로닉스를 훔쳐서 오래된 피자가게로 끌고 갔다.[62]
단조로운 작업에 지쳤던 그는 다른 작업자들이 보는 앞에서 내골격의 시스템을 자신의 노트북에 연결해서 직접 프로그래밍한 '정리 프로토콜'을 코드에 인스톨했고[63], 전원을 켜자 애니매트로닉스는 흰 눈이 주황빛으로 빛났다.
길은 모든 내골격의 사지를 부수고 머리를 뽑고, 가게의 출구 옆에 쌓아두라고 지시했고, 주변을 스캔한[64] 애니매트로닉스는 길, 대니, 오윈과 카를로스로 주의를 돌린다. 그들이 약간의 긴장감과 친밀감을 느끼는 사이, 내골격은 오래된 내골격으로 주의를 돌리고 빠르고 쉽게 사지와 머리를 부러뜨리기 시작하며 명령을 따르는 듯 했다. 순식간에 4대의 내골격을 쌓아두자 길은 승리감에 두 팔을 치켜들며 자랑했고 대니는 그를 축하하려고 했다.
그런데, 그 순간 내골격은 길의 팔을 찢었고, 다리가 뽑히고 고통에 질러진 그의 비명은 내골격이 그의 머리를 뽑자 끊어지고 내골격은 다른 인부들로 접근하기 시작했다.[65]
이후 3명이 도망치고, 비명을 들은 다른 인부들이 피자가게로 들어오는 동안, 내골격은 계속 인부들을 '분해'했으며, 대니는 달리면서 신체 일부가 날라다니고 피가 흩뿌려지는 와중에도 달리다가 문에 도착했고, 뒤돌아서 내골격이 안에 있는 모든 이들을 찢어발기는 광경을 본 그는 문을 닫고 계속 달리다가 믹서트럭과 마주했다.
그리고 도망가기 전, 대니는 시멘트 인부들에게 피자가게의 문을 막아달라고 애원했다.
이후 이 애니매트로닉스는 미믹으로 밝혀졌다.
2.10.1.1.3. Tales from the Pizzaplex #2: HAPPS Epilogue
Lucia(루시아)는 카니발에서 더블 데이트를 하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었다. 루시아가 제이스와 짝을 이루는 동안, 그녀의 친구이자 학교 농구팀의 스타인 아드리안은 수석 치어리더인 호프와 함께 있었다. 제이스와 사귀었음에도 불구하고, 루시아는 아드리안에게 억압하고 싶은 미련을 가지고 있었다. 그 들은 간식을 먹기 위해 멈추고 농구팀의 센터인 조엘과 축구팀의 유명한 쿼터백인 웨이드가 다나왔고, 그들도 합류했다. 또한 학교의 치어리더 팀의 다섯 명의 남자 중 한 명이자 호프의 가장 친한 친구 중 한 명인 닉과 호프의 다른 가장 친한 친구인 켈리도 왔다.조엘은 프레디 파즈베어의 메가 피자플렉스 건설 현장을 둘러볼 것을 제안하며, 몇 번 확인하고 나서 이미 애니매트로닉스를 도입하기 시작했다는 소식을 말한다. 닉은 얼마 전 그곳에서 이상한 일이 일어났다는 말을 듣고 망설였지만, 조엘과 켈리는 그들이 간다면 그 일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리고 한 명씩, 조사하는데 동의했다.
피자플렉스의 건설 현장은 DANGER-DONT ENTER 문구가 있는 표지판으로 도배된 12피트의 쇠사슬로 연결된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지만, 조엘은 일행을 느슨한 울타리로 이끌었고 루시아가 울타리에서 손목을 베었지만 그들은 몰래 들어가는데 성공했다. 건물 안으로 들어가자마자 그들은 콘크리트 바닥으로 둘러싸인 오래된 피자가게의 평평한 빨간 지붕을 봤다. 그들은 피자가게의 입구로 이어질 수 있는 경사로를 찾지만, 2-3피트 아래에서 길을 막고 있는 단단한 콘크리트를 발견했다.
웨이드는 지붕에 구멍이 뚫린 것을 발견하고 아래로 통하는 환풍구를 발견한다. 조엘이 그의 뒤를 따라오는 가운데 웨이드가 가장 먼저 미끄러져 내려왔다. 안전하다는 말을 들은 켈리는 그들과 함께 다른 사람들이 따라오도록 격려했다. 애드리안은 다음으로 내려가고, 8명 중 4명이 이미 피자가게에 온 사이, 다른 사람들도 모두 내려갔다..
루시아는 그들 중 마지막으로 미끄러져 내려왔고, 그녀는 즉시 냄새를 맡았다. 그들은 자신들이 창고에 있다는 것을 알아차렸고 켈리는 그녀가 생각하기에 식당으로 이어지는 복도를 가리켰다. 그들이 식당에 도착했을 때 그들은 부서진 내골격들이 흩어져 있으며 악취가 더 심해지는 것을 알아차렸다.
루시아는 머리를 발견하고 그것이 인간이라는 것을 깨달았을 때 구토를 하였다. 루시아는 머리를 제이스에게 가리켰고, 그는 그것이 소품이라고 생각했으나 그것을 만지자마자 진짜라는 것을 깨닫고 바닥으로 던졌다. 이후 켈리가 큰 비명을 질렀는데, 그녀에게 간 일행은 헝클어진 금속 내골격들 옆에서 인간의 사지, 몸통, 그리고 머리가 썩고 있는 것을 보았다.
루시아는 그것들의 수를 세어 최소 11구의 시체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후 주위를 둘러본 그녀는 방 전체에 마른 피가 흩뿌려젔다는 사실을 알아차렸다.
겁에 질린 일행은 창고로 다시 달려갔지만 밴트의 바닥이 파손된 것을 발견한다. 아드리안은 일행을 복도로 다시 안내하고 시멘트 블록과 더 많은 로봇 잔해에 휩싸인 출구 문을 발견한다. 그들은 시멘트 더미를 옮기려고 했지만 꿈쩍도 하지 않았다. 모든 다른 문과 창문은 차단되어 있고, 일부는 실제로 시멘트로 마감되어 있었다. 일행은 창고로 돌아오고 아드리안은 아침에 공사팀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며 관심을 끌기 위해 금속을 쾅쾅 칠 것을 제안한다. 갑자기, 일행은 긴 쉭쉭거리는 소리와 거친 소리가 뒤섞인 금속이 삐걱거리는 소리를 들었다. 아드리안은 그것이 환기 시스템으로 여기고 식당으로 그들을 안내하려고 했지만, 그들은 그 소리가 발소리라는 것을 깨닫고 멈췄다. 이제 그곳에 그들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은 일행은 재빨리 창고로 뛰어들고 문을 잠갔다.
2.10.1.1.4. Tales from the Pizzaplex #3: Somniphobia Epilogue
2.10.1.1.5. Tales from the Pizzaplex #4: Submechanophobia Epilogue
2.10.1.1.6. Tales from the Pizzaplex #5: The Bobbiedots Conclusion Epilogue
2.10.1.1.7. Tales from the Pizzaplex #6: Nexie Epilogue
2.10.1.1.8. Tales from the Pizzaplex #7: Tiger Rock Epilogue
2.10.1.1.9. 에필로그 이후
알 수 없는 시점에서 미믹은 결국 프레디 파즈베어의 피자가게의 폐허에서 회수되어 어떻게든 다시 파즈베어 사의 손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메가 피자플렉스의 완공 이후에는 대형 백호 애니매트로닉스 머리로 옮겨져[66] 스토리텔러(The Storyteller)의 메인 컨트롤러로 사용되어 The Storyteller의 사건을 일으켰으며 스토리텔러가 철거된 이후에는 A.I. 상태로 VR부스로 이동, 타이거 락(Tiger Rock)이 되어 Tiger Rock의 사건을 일으켰다.
[1] 외형을 보아 외골격 하관이 없어 내골격이 노출되었다고 묘사되는 엘리자베스로 보인다.[2] 또는 Three (쓰리)[3] 또는 Two(투)[4] 또는 One (원).[5] 후에 등장하는 에드윈 머레이(Edwin Murray)와 동일인물이다.[6] 그와중에 에드윈은 다시 한 번 반발했으나 이번에는 모든 임원진이 버로우스의 결정에 동의하였기에 무시되었다.[7] 즉, 피자플렉스 건물의 중심.[8] 이때 디자인 팀에서는 나무의 스타일을 참나무, 레드우드, 느릅나무 등 다양한 후보들이 나왔지만 컨설턴트로 참여된 에드윈이 개입하여 크고, 다양한 전설이 있는 바오바브나무를 제안했고 디자인 팀에서 이에 동의하며 트렁크를 디자인했다. 중간에 버로우스가 트렁크 색상을 롤로코스터 트랙과 동일한 노란색을 고집하였으나, 디자인 팀에서는 무시하고 나무껍질 같은 느낌이 들도록 다양한 색조의 노란색을 칠하였다. 또한 버로우스의 의견에 따라 나뭇가지는 무지개색인 동시에 생동감이 있도록 제작했다.[9] 스토리텔러가 새로 제작한 모션에 대한 지침.[10] 본편의 파저 블래스트와 슈퍼스타-케이드(Superstar-cade)에서 볼 수 있는 퍼펫과 유사한 흰색 줄무늬가 있는 검은 전선의 정체가 이것으로 언급된다.[11] 원문:He'd learned that the larger parts of The Storyteller were to be transferred into the tree trunk late one night after the Pizzaplex's closing.[12] 본인의 아들이었던 데이비드가 교통사고로 사망한 것.[13] 이는 데이비드가 백호를 좋아했었기 때문에 에드윈에게 백호에 대한 트라우마가 생겼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미믹' 챕터에서 백호를 좋아했던 데이비드가 미믹에게 백호 인형을 선물했있다는 것이다. 즉, 스토리텔러의 정체에 관한 복선.[14] 여기서 이전의 스토리에서 일부를 가져온다, 즉 모방(Mimic)한다는 점에서 스토리텔러의 정체에 대한 복선이라고 할 수 있다.[15] 즉, 스토리텔러의 원리는 이전의 애니매트로닉스와 게임의 정보를 조합하여 새로운 게임과 새로운 애니매트로닉스의 행동을 만들어내고 피자플렉스의 모든 어트랙션, 애니매트로닉스에 연결된 '뿌리'를 통해 이를 전달하면 시설들과 애니매트로닉스들이 이를 구현하는 원리인 것.[16] 주말에는 늦게 문을 닫고, 야간 보안에 강화되었기 때문.[17] 묘사상 진짜 백호와 달리 줄무늬가 없었고, 코와 입은 흉상의 다른 금속에 칠해진 것과 같은 흰색이었으며, 입이 열려 있으며, 눈은 각각 짙은 선명한 진녹색(deep emerald green) 및 선명한 푸른색(brilliant blue)의 오드아이였으며 이빨은 은색의 백라이트이며 뒤에서 불빛이 깜빡였다고 한다. 또한 목 뒤에서 4개의 팔이 돌출되어 있었는데, 2개는 위쪽, 2개는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었다고 한다.[18] 다름 아닌 에드윈 본인이 만들었던, 후술할 미믹의 프로그램이다. 그게 스토리텔러의 프로그램이었던 것.[19] 즉, 나무 내부에 있는 산소 이외에는 산소가 없으므로 에드윈은 서서히 질식할 것이다. 물론 나무에 갇힌 에드윈은 탈출하려고 시도할 것이며 버로우스가 바라던 바였다.[20] 즉, 버로우스의 생각과는 달리 에드윈은 나무에 갇힌 이후[21] 즉 버로우스는 에드윈이 어떻게든 탈출할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22] 당연히 컨트롤 패드가 설치된 신임장도 들고 갔다.[23] 다름 아닌 데이비드가 미믹에게 가르쳤던 수화.[24] "Every sheet of paper was covered with odd stick drawings and strange symbols that were not at all familiar to Mr. Burrows. Squiggles. Squares. Loops. Triangles within triangles. Mathematical equations, nonsensical ones from what Mr. Burrows could tell, were tangled up in the symbols. And written over the top of all this, on nearly every sheet of construction paper, were two words: 'I'm sorry.'"-The Storyteller[25] 미믹이 데이비드와 종이에 크레용으로 낙서를 그리면서 놀기도 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26] 케이블을 끊어내면 피자플렉스의 시설들이 오작동할 것이고, 그러면 자연스럽게 기술자들이 스토리텔러의 나무에 관심을 가질 것이기 때문.[27] Tiger Rock의 외형이 묘사된 표지를 보면 녹색, 청색의 오드아이이며, 이는 스토리텔러(=미믹)과 동일하다.[28] 처음 구현되었을 땐 다리는 없었다.[29] SOTM이 발매되지 않은 시절, 소설 상의 묘사와 RUIN의 모델링을 기반으로 The Mimic 챕터의 미믹을 구현한 이미지#가 존재한다.[30] 머리는 고장난 압축기에서 긁어낸 네모난 금속 하우징 조각으로, 눈 역시 압축기 속에서 얻은 것이며 돌출부는 실제 머리와 같은 느낌이 들도록 공장 기계의 둥근 금속 조작을 용접한 것이다.[31] 공장 기계의 가이드바로 만든 것을 용접했다고 한다.[32] 공장 3층에 있는 오래된 잡동사니로 가득찬 상자에서 발견한 재잘거리는 신기한 치아를 사용한 것이라고 한다.[33] 원문:"Edwin’s first attempt to form the skull had started with simply placing two large white doll’s eyes within the boxy confines of a piece of metal housing he’d scrounged from a broken-down compressor. Because the square top looked nothing like a real head, though, Edwin had tried again. He’d found a rounded bit of metal in the guts of the Leavers Machine, and he’d used it to form a narrow protuberance that jutted up from between the big white eyes. Under the eye housing, Edwin had welded in place a hinged jaw that he formed out of parts of the Leavers Machine’s guide bars. Using a set of novelty chattering teeth he’d found in a box full of old bits and bobs on the third floor, Edwin gave his creation a big, white-toothed mouth." -The Mimic[34] 에드윈이 원했던 것만큼 구부러지지 않았다고 한다.[35] 원문: "Getting all this hardware connected to its programming required welding a large processor to the back of the skull and running a large tangle of wires all around the skull. Wires stretched towards the back of the skull, dove in and out of both eye sockets, snaked through the mouth, and extended down the articulated neck that in turn connected with a metallic spine, which connected with a makeshift rib cage that was not as curved as Edwin had wanted it to be (but it worked), and the ribcage was linked to two robotic arms that ended in pincerlike hands." -The Mimic[36] 원문:...Mimic's eye wasn't the only thing that was out of its place. The metal in its forehead and jaw was crimped together, compressing its face. The broken teeth were shoved back into the head, caught up in torn and tangled wires. The remainder of Mimic's wiring had been raggedly wrested away from the spine, which was bent backward. The rib cage was crushed in multiple spots, and its arms hung askew, with the pincers now mutilated.[37] 덜 발전되었지만 작동하는 애니매트로닉스 다리를 부착한 것 같았다고 한다.[38] 20살에 졸업을 했으니, 커뮤니티 칼리지 졸업일 것이다.[39] 다만 공장으로 찾아오는 파즈베어 측 부품 배달원 등 몇몇 인물에 대해선 공장이 넓은 만큼 데이비드의 안전에 대해 우려했다.[40] 정확히는 후반부에 등장하는 파손된 모습이다.[41] 이 직후 투어를 도와주겠다는 말에 카이가 동의하자 투어를 시켜주면서, 카이의 이두박근이 터질 정도로 팔을 점점 세게 잡는다.[42] 흰색 기타, 외골격의 복장, 벨트 그리고 이름의 '타이거 락(Rock)'이라던 지.[43] 귀의 유무와 왼손에 손톱이 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소설에서 등장한 모습과는 차이가 없다.[A] 미믹이 착용한 코스튬이다.[A] [A] [47] RUIN 게임 파일상 미믹의 대사의 ID. 'Gregory Mimic (그레고리 미믹)'으로 추정된다.[48] 약 213.36 cm. 물론 구조상 자유롭게 늘리고 줄일 수 있다.[49] 그레고리의 목소리.[50] 이후 '정리 프로토콜이 설치되자 눈이 주황색으로 빛났다고 언급되나 이 이외에는 전부 흰 색으로 묘사된다. 또한 날카로운 발톱이 있다는 묘사도 존재한다.[51] Tales from the Pizzaplex #7: Tiger Rock Epilogue에서 거미 형태로 변한 모습.[52] 사실 첫 등장은 Tales from the Pizzaplex #1: Lally's Game의 에필로그이나, 시간대순으로는 The Mimic챕터에서 처음으로 등장하였다.[53] 다만 지속적으로 백호라는 동물이 강조되는 미믹과 달리, 번트랩은 토끼란 동물이 강조되기에 동일한 존재가 아닐 수도 있다는 주장도 있었다.[54] Tales from the Pizzaplex #6: Nexie Epilogue에서 Lucia(루시아)가 찾은 노트북에 적혀 있었다.[55] 설명서에는 기본 뼈대에 불과한 대부분의 엔도스켈레톤과 달리, 미믹의 프레임은 볼조인트와 피스톤의 인상적인 시스템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금속 막대와 곡선형 플레이트들이 있기에 사지를 자유자재로 수축 • 확장할 수 있고, 몸통도 수축할 수 있기에 그 어떤 애니매트로닉스 외골격에도 맞출 수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56] 심지어 정황상 미믹1 프로그램까지 그대로 제공한 것으로 보이는데, 일기의 내용을 보면 미믹 라인(Mimic line)을 제작한 파즈베어 사 직원들은 공연용 애니매트로닉스를 굳이 일일이 단계적으로 프로그래밍하는 대신 애니매트로닉스가 공연 루틴을 직접 관찰하고 모방하는 것을 의도한 것으로 보인다.[57] 기술자의 일기에는 오리지널 미믹이 의도치 않게 인간을 모방하였다고 기술하며 그나마 본인이 알아들을 수 있었던 단어들을 기술했는데 이는 "오해(misconstrue)", "두려움(scared)", "잠재적 재앙(potential disaster)", "남아있는 모든 미믹 엔도의 비활성화(deactivate all remaining Mimic endos)" 등 이다.[58] 4번째 에필로그에서 나오는 오래된 메뉴얼에서도 미믹의 기술은 매우 투박하며, 만약 이러한 기술, 즉 미믹 엔도와 마주친다면 즉시 전원을 끄고 분해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59] 즉, 미믹 라인으로 대량 생산된 모델 1, 2가 아닌 에드윈이 만들었고, The Mimic의 사건을 일으키고 이후에도 인간을 모방하며 위 사건을 일으킨 오리지널 미믹.[60] 다만 묘사상 불에 탄 것을 보면 중간에 모종의 사건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61] 특히 문과 복도에 주로 쌓여있었기에 리모델링을 위해서는 어떻게든 전부 치워야 했다.[62] 이때 테오는 이를 알아차렸으나 길이 그를 노려봤기에 결국 넘어갔다.[63] 본래 길은 파즈베어 사 기술팀의 팀원이 되고 싶었고, 프로그래머로서의 실재 업무 경험은 없었지만 집에서 항상 프로그래밍과 로봇 공학을 연구해 왔었다.[64] 이때 스캔하기전 길의 지시를 반복하며 몇 초 동안 길을 응시했다.[65] 사지와 머리를 찢고 던질 대상이 엔도스켈레톤에서 보이는 모든 것들로 바뀌어버린 것.[66] 또는 이미 파즈베어 사 측에서 가지고 있던 미믹 1(Mimic 1) 프로그램을 사용했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