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0 15:09:40

윌리엄 버킨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 버킨 일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버킨 일가
아버지
윌리엄 버킨
어머니
아네트 버킨
외동딸
셰리 버킨
}}}}}} ||
파일:WilliamBirkinRE2Remake.jpg
<colbgcolor=#411a1b><colcolor=#fff> 1998년 당시 모습
Dr. William Birkin
본명 윌리엄 버킨(William Birkin)
(ウィリアム・バーキン)
이명 버킨 박사(Dr. Birkin)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인종 백인
성별 남성
혈액형 O형(Rh+)
출생 1962년
사망 1998년 9월 30일 (향년 36세),
지하 연구소 NEST, 라쿤 시티, 미국 중서부
178cm (2 시점, 1998년)
몸무게 66.7kg (2 시점, 1998년)
머리카락 탁한 금발(dirty blond) (2 시점, 1998년)
파란색 (2 시점, 1998년)
학력 대학교 바이러스학 박사
(1 이전, 15세)
소속 엄브렐러 미국 지부 아크레이 연구소 (1 이전, 15세 ~ 29세, 1977년 ~ 1991년)
엄브렐러 지하 연구소 NEST (1 이전 ~ 2 시점, 29세 ~ 36세, 1991년 ~ 1998년)
직업 엄브렐러 지하 연구소 NEST 연구소장 (~1998)
가족 아내 아네트 버킨
셰리 버킨
이미지 컬러 진홍색[1]
성우 디에고 마타모로스(2편)
불명(0편)
T.J.로톨로(다크사이드 크로니클즈, 엄브렐러 크로니클즈, 오퍼레이션 라쿤 시티, 2편 리메이크)[2][3], 세키 토시히코(게임 출연작 일본어 더빙)
아리모토 킨류(레지던트 이블 1 일본어 소프트판 더빙)
타니 아츠키(레지던트 이블 1 일본어 후지 TV판 더빙)

1. 개요2. 상세
2.1. 외모2.2. 가족 관계
3. 작중 행적4. 평가5. 다른 매체에서의 등장
5.1. 실사 영화 시리즈
6. 여담

1. 개요

파일:BH_logo 7, RE2, RE3.png 시리즈 최종 보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바이오하자드 바이오하자드 2 바이오하자드 3 바이오하자드
코드: 베로니카
타이런트 (T-002) 윌리엄 버킨
슈퍼 타이런트
네메시스 알렉시아 애쉬포드
바이오하자드 제로 바이오하자드 4 바이오하자드 5 바이오하자드
레벌레이션스
제임스 마커스 오스문드 새들러 알버트 웨스커 잭 노먼
바이오하자드 6 바이오하자드
레벌레이션스 2
바이오하자드 7 바이오하자드 빌리지
데렉 C. 시몬스
우스타나크
하오스
알렉스 웨스커 이블린 마더 미란다
}}}}}}}}} ||

William Birkin

캡콤의 '서바이벌 호러' 게임 바이오하자드 시리즈의 등장인물.

2. 상세

바이오하자드 2, 바이오하자드 0, 바이오하자드 엄브렐러 크로니클즈, 바이오하자드 다크사이드 크로니클즈, 오퍼레이션 라쿤 시티, 바이오하자드 RE:2에 등장하는 인물로, 엄브렐러 소속의 연구원.

2.1. 외모

파일:RE1.5WilliamBirkinimage.jpg 파일:Wesker'sReportWilliamBirkinimage.jpg 파일:attachment/윌리엄 버킨/RE_Birkin2.jpg
바이오하자드 1.5 바이오하자드 2 바이오하자드 0
파일:UmbrellaChroniclesWilliamBirkin.jpg 파일:DCWilliamBirkin2image.jpg 파일:WilliamBirkinRE2Remake.jpg
엄브렐러 크로니클즈 다크사이드 크로니클즈 바이오하자드 RE:2

더티 블론드(dirty blond) 머리색이며 옆머리를 조금 기른 투블럭을 하고 있다. 2편은 턱수염이 없다가 0편, 엄브렐러 크로니클즈, 다크사이드 크로니클즈에 콧수염과 턱수염이 생겼는데 2편 리메이크에서 없어졌다.

2.2. 가족 관계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Thebirkinfamily.jpg 파일:TheBirkinFamilyRE2Image.jpg
바이오하자드 2 바이오하자드 RE:2
같은 아크레이 연구소 소속 연구원이었던 아네트 버킨의 남편이자, 셰리 버킨의 아버지이다. 1980년대에 아네트 버킨과 결혼을 하고, 1986년 당시 외동딸 셰리 버킨이 출생했다.

그의 친구인 알버트 웨스커는 아크레이 연구소에서 진행되는 연구의 성질 상, 같이 비인간적인 연구를 하는 과학자를 아내로 맞이하고 그 사이에 자식까지 얻은 그에 대해 언뜻 이해할 수 없지만 어차피 '정상인'이 아니니까 그런 것도 가능할 수 있겠다는 감상을 남겼다.[4]

3.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윌리엄 버킨/작중 행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윌리엄 버킨/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윌리엄 버킨/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평가

아내 아네트와는 반대로 시리즈가 거듭되면서 설정이 추가되자 평가가 더욱 나빠졌다. 그의 업적인 G 바이러스도 그저 우연히 리사의 몸에서 뽑아내서 개량시킨 것 뿐이고[5] RE2: remake에서 고아원 아이들로 실험까지 했다는 악질적인 설정이 추가, 본인도 T 바이러스를 제임스 마커스에게서 가로채놓고 본인이 G 바이러스를 뺏길 것 같자 바로 엄브렐러를 배신하려는 행적 등[6] 도저히 좋게 볼 수 없게 되어버린 캐릭터가 되어버렸다.[7]

아이러니하게도 조지 트레버 집안을 파멸로 몰고 가고 그의 딸을 생체 실험에 이용해서 만든 G 바이러스에 의해서 자신이 계속해서 진화하는 괴물이 되어 자신의 딸을 쫓게 되는 상황을 연출하였다. 결국 레온클레어에 의해 죽게 되지만, 웨스커는 버킨의 시체에서 G 바이러스를 손에 넣었다.[8]

5. 다른 매체에서의 등장

5.1. 실사 영화 시리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윌리엄 버킨(레지던트 이블 실사영화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윌리엄 버킨(레지던트 이블 실사영화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윌리엄 버킨(레지던트 이블 실사영화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여담

  • 파일:smymwm2nyb341.jpg

    홍콩에서 제작된 바이오하자드 코믹스판에서는 네메시스와 드림매치를 벌이는 비범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 도라에몽쪽 원작자에 의해 흑역사가 된 노비타의 바이오하자드 시리즈에선 그의 변이 형태가 신이슬의 아버지나 미스터 캐시의 변이 형태인 것으로 묘사되었다.
  • 2편의 가족사진에서는 미소를 짓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으나 리메이크에서는 아내와 딸은 미소를 머금고 사진을 찍은 반면 혼자서만 무표정으로 가만히 있다보니 가만보면 섬뜩하게 보일 정도다. 게다가 작 중 내내 G바이러스에 감염되는 바람에 제정신도 아니었던 상태다보니 적어도 후반부에 모성애를 드러냈던 아네트 버킨과 다르게 부성애를 드러내는 부분이 없으나 첫번째 보스전에서 제정신이 아닌 상태에서도 셰리를 부르는 것을 보면 아네트와 마찬가지로 딸인 셰리를 자식으로써 사랑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9]
  • DEAD BY DAYLIGHT에서 블라이트의 전설급 살인마로 등장했다.[10] 이것으로 윌리엄을 직접 플레이 할 수 있는 게임은 현재 레지스탕스를 포함해 총 두 작품이 되었다.

[1] 자주 쓰는 넥타이 색이다.[2] 얼굴 모델은 데이비드 마리, 모션 캡쳐는 T.J.로톨로.[3] 재밌게도 T.J. 로톨로는 또 다른 좀비 액션 게임인 데드 라이징에서 프랭크 웨스트를 맡았다.[4] 다만 알버트 웨스커도 이 모습에 무언가가 동한 건지 한 여성과의 동침해 아들 제이크 뮐러를 얻게 되었다. 이쪽은 가정을 꾸리진 않았지만.[5] 물론 이것도 엄밀히 따지면 대단한 능력이지만, 본인이 질투하던 알렉시아를 포함한 다른 천재들이 의도를 가지고 손수 바이러스를 개량한 것에 비하면 밀리는 성과다.[6] 엄브렐러가 바이오하자드 세계관 최악의 악덕 기업인데다 마치 찌질하게 과학자의 성과를 뺏을려던 것처럼 묘사되긴 했지만 악덕인 것과는 별개로 엄브렐러는 엄연히 기업이고 회사의 자금으로 과학자에게 투자해 얻은 성과는 당연히 회사가 가져가는 것이 맞다. 윌리엄을 현실적으로 보자면 삼성 직원이 회사가 성과 내라고 잔소리했다고 신제품 빼들고 LG로 도망친 것과 다를 바 없다. 이를 두고 엄브렐러의 무서움을 모르는 주제에 독단적인 성급함을 보였다며 웨스커조차 깠을 정도.[7] 정작 본인의 창조물인 G바이러스에게 새로운 머리가 생기면서 신체통제권을 잃고 원래의 머리가 서서히 몸속으로 잠식당하는 등 본인의 업보에 제대로 당한다. 그리고 다른 최종보스들과 다르게 윌리엄은 바이러스에 의해 이성만 잃은 것 뿐만 아니라 신체통제권을 뺏긴 유일한 보스이다. 다른 보스들은 이성을 유지한 케이스가 많다. 둘이 비슷해 보이지만 후자는 원본인 윌리엄은 멀쩡히 사고가 가능한데 G가 자체적으로 생산한 머리에 밀려 본인이 괴물이 되는 모습을 그냥 지켜보기만 해야한다. 그야말로 고문 그 자체.[8] 정확히는 간신히 살아남은 에이다 웡이 라쿤 시티 소멸 작전에 의해서 기화 폭탄 폭발에 휘말릴 상황이 되자, 살기 위해 웨스커에게 버킨의 샘플 조직을 거래 재료로 제시했다.[9] 다만 G바이러스 특성상 번식욕구가 강하고 윌리엄의 자식인 셰리 버킨이야말로 최적의 숙주이기 때문에 부르는 것일 수도 있으며 아네트 버킨 또한 자식을 사랑하긴 하지만 어머니로써 낙제점인 인물인 것을 고려하면 윌리엄 버킨이 셰리를 사랑하더라도 아버지로써 낙제점인 인물인건 변함 없다.이 설이 맞다면 평상시에는 딸에게 무관심했으나 정작 괴물이 되자 딸을 울부짖는 모습은 오히려 과학자로써의 버킨이 G보다 더 괴물이다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연출로 보인다.[10] 원작처럼 끝도 없이 변이하게 되면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는 골격이 존재하지 않을뿐더러 스킨의 원본인 블라이트가 그런 능력이 없는 관계로 데바데에 존재하는 윌리엄은 G 1단계를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