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01:57:04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

워쉽 레전드에서 넘어옴
파일:wgn_logo__.png 워게이밍넷의 개발 작품
파일:wot_icon_.png
월드 오브 탱크
파일:wows_icon_.png
월드 오브 워쉽

월드 오브 워쉽 시리즈
월드 오브 워쉽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 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
파일:World_of_Warships_Legends.png
개발 워게이밍넷(Wargaming.net)
유통 워게이밍넷(Wargaming.net)
플랫폼 Xbox One[1], Xbox Series X|S[2], PS4[3]/PS5[4], Android, iOS/iPadOS
출시일 2019년 4월 16일
장르 MMO 해양슈팅
등급 전체 이용가##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5]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6]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7]
서비스
XBOX ONE 3.2.0.6
PS4 3.2.0.6

1. 개요2. 발매 전 정보3. 정식 출시 이후4. 한국 서비스5. 게임 정보
5.1. 게임 운영5.2. 함종밎 함선 구분5.3. 국가별 함선 트리5.4. 전투 종류5.5. 맵과 항구5.6. 함장과 함장 스킬5.7. 강화와 업그레이드
5.7.1. 강화(Modifications)5.7.2. 업그레이드(Upgrade)
5.8. 소모품과 위장, 부스터 및 기타 장식5.9. 메달(Medal)5.10. 상태이상
6. 팁7. 게임의 메카닉8. 평가9. 기타

[clearfix]

1. 개요

“Action Stations!" [8]
World of Warships: Legends. 월드 오브 워쉽, 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에 이은 '월드 오브 워쉽' 콘솔 및 모바일[9] 버전.

2. 발매 전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 발매 전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정식 출시 이후

2019년 4월 16일 XBOX One 및 PS4 지원으로 얼리 억세스 발매되었다. 게임 자체는 무료이며 인앱 구매 형태로 게임내 스토어가 있다.
2019년 8월 1.0버전으로 정식 발매되었다. 동시에 XBOX Series X/S와 PS5도 지원히게 되었다.
2021년 12월 9일 모바일 버전 개발을 발표했다.
2023년 4월 업데이트로 클라이언트에서 한글이 지원되게 되었다. 다만 한국 정식 발매는 아니라서 플레이스테이션의 한국 스토어에서 결재는 불가능한 상태다. 엑스박스로는 진작에 해외 결재로 구매가 가능한 상태였다. 2023년 7월 업데이트에서 안드로이드 설치용 APK파일을 공개해서 안드로이드에서는 어느 국가에서나 플레이는 가능해진 상태다.
2024년 3월 27일 모바일 버전이 ios, 안드로이드 동시에 전세계 정식발표되었다. 2024년 8월부터는 ios에 한해서 외부 게임 패드를 지원하고 있다.
PS5Pro 발표후 바로 PS5Pro Enhanced 지원을 밝혔다.

4. 한국 서비스

2018년 8월 24일부로 전체이용가 등급으로 XBOX와 PS4 모두 심의를 받은 상태나 얼리 억세스 발매 국가에서는 제외되었다. 디스코드에서 추후 더 많은 국가에서 발매 할 계획이라고 공지 된 상황이나 한국 정식 발매는 요원한 상태였으나 모바일 버전이 2024년 3월 28일 서비스를 시작했다.

5. 게임 정보

5.1. 게임 운영

일반적으로 5주마다[10] 업데이트를 한다. 업데이트는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지만 가장 중요한 부분은 캠페인이다. 캠페인은 5주 내내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2,3주의 짧은 캠페인 2개를 묶거나 더 길게 6주이상 진행하기도 한다. 랭크전, 투기장, 난투 및 기타 이벤트는 별도로 편성된다.

캠페인은 일종의 배틀패스 시스템으로 5주 기준 100개의 진행단계(Milestone)로 구성되어있으며 주간 아수라장(Weekly Havoc)이라는 미션을 매주 완료하면서 진행단계를 패스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완료한 진행단계마다 아이템들을 받을수 있으며 모든 진행단계를 완료하면 최종 아이템을 받는다. 무료로도 진행 가능하지만 유료로 2500 금화[11]의 해군성 지원(Admiralty Backing)을 구매하면 더 많은 아이템을 받을수 있으며 특히 5주 기준으로 해군성 지원 결재시 프리미엄 함선[12]을 최종 아이템으로 제공한다. 해군성 지원을 결재한 사용자들을 위한 전투기량이라는 개인임무를 통해서 추가로 진행단계를 완료할 수 있으며 난이도가 있는 영웅의 노력이라는 도전 임무를 별도로 달성해서 진행단계를 줄일수도 있다. 이 두 가지 임무 추가로 해군성 지원 결재자들은 4주차에는 캠페인을 완료할 수 있으며 완료 이후에는 일일 무한 반복 도전과 주간 무한 반복 도전을 통해서 추가적으로 강철을 획득할 수 있다.

주간 아수라장에서 전체 단계를 완료하지 못하는 경우 1단계당 250 금화로 결재해서 스킵할 수 있다.[13] 물론 이에 대한 항의가 많았는지 지금은 주간 아수라장을 한 주 안에 완료를 못하면 그 다음주 주간 아수라장이 열리지 않고 전 주의 주간 아수라장을 완료를 해야만 이번 주의 주간 아수라장이 열리도록 되어있다.
캠페인 외에도 랭크전, 투기장과 난투도 보상을 걸고 진행된다.

그외에 도전임무로 매일마다 일일 부스트(Daily Boost), 1주일마다 주간 부스트(Weekly Boost)라는 무료 미션을 줘서 추가적인 보상을 받을수 있으며 프리미엄쉽을 보유한 사용자들을 위해서 티어별로 프리미엄쉽으로 받을수 있는 프리미엄 보급품이라는 미션도 있다. 또한 가끔 이벤트로 달력 미션을 줘서 매일 일정 조건을 달성하면 보상을 주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그리고 앱외에도 웹상에서 진행하는 달력 미션도 가끔 진행된다. 2024년 10월 업데이트 부터는 일일 부스트를 없애고 새로이 주간 과제로 변경해서 매일 게임해야하는 어려움을 줄였다. 다만 많은 경우 기존에 이벤트식으로 진행했던 달력을 자주 진행하게 되어서 실질적으로 크게 바뀌지는 않을듯하다.

5.2. 함종밎 함선 구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함종밎 함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국가별 함선 트리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의 전체 함선에 대한 내용이다.
구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테크트리 함선, 프리미엄 함선, 레전더리 함선으로 구분할 수 있다. 테크트리 함선의 경우 스펙은 최종 스펙을 기준으로 표시한다.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 테크트리
{{{#!folding [ 보기 · 닫기 ] 미국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프리미엄쉽 레전더리
일본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프리미엄쉽 레전더리
영국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프리미엄쉽 레전더리
독일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프리미엄쉽 레전더리
프랑스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프리미엄쉽 레전더리
소련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프리미엄쉽 레전더리
이탈리아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프리미엄쉽 레전더리
범아시아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프리미엄쉽 레전더리
범유럽 순양함 구축함 전함 항공모함 프리미엄쉽 레전더리
기타 기타 국가 프리미엄쉽 기타 국가 레전더리 이벤트 프리미엄쉽
기타 이벤트 함선 기타 함선
}}} ||


편집 양식은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작성 양식 참고

5.4. 전투 종류

기본적으로 일반 전투(PVP)와 Ai와의 전투(PVE) 및 트레이팅룸이 구현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이벤트로 시나리오 형태의 전투가 추가될수 있도록 되어있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5.5. 맵과 항구

맵은 티어별로 랜덤하게 배정된다. 항구는 한동안 선택은 불가능했고 이벤트나 캠페인 내용에 따라서 변경되었으나 현재는 선택이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5.6. 함장과 함장 스킬

영어로는 Commander로 되어있으나 한글버전은 함장으로 번역되어있다.[14] 함선마다 지정가능하며 이를 통해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함선의 성능을 향상시킬수 있다. 항목 참조

5.7. 강화와 업그레이드

5.7.1. 강화(Modifications)

새 함선을 구매하면 티어에 따라 구성된 강화 슬롯을 채워서 취향에 따라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강화는 함종과 티어가 동일하면 거의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15] 항목 참조

5.7.2. 업그레이드(Upgrade)

강화와는 달리 개별 함선별로 최소 2개에서 최대 4개의 업그레이드를 제공한다. 새 함선을 구매하면 바로 구매해서 채울수 있는 강화와 달리 업그레이드는 일정 이상의 함선 경험치를 얻어야지만 활성화를 시킬수 있다.[16] 그러나 어떤 업그레이드를 먼저 적용시킬 지는 선택 가능하다.

모든 함정에는 표적 시스템 업그레이드와 선체 업그레이드는 기본적으로 포함되며 함정에 따라 주포나 어뢰발사관 업그레이드 및 엔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참고로 업그레이드 내용에는 안나와 있는데 업그레이드 되는 부분들이 있으니 항상 업그레이드 할 함정의 스펙을 확인하고 업그레이드 후 달라진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프리미엄 쉽들은 업그레이드가 완료된 상태로 제공된다.

참고로 선체 업그레이드 시에는 내구도도 올라가고 조타시간이 줄어들기때문에 웬만한 경우에는 선체 업그레이드를 우선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어뢰 업그레이드 시에는 어뢰 사거리 증가는 표시되지 않으니 반드시 확인이 필요하다. 업그레이드에 대한 내용은 개별 함선마다 다르니 개별 함선의 내용을 참조하자.

5.8. 소모품과 위장, 부스터 및 기타 장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소모품 밎 위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9. 메달(Medal)

PC버전의 명예/영웅 업적과 동일하다. 단 신호기 시스템이 변경되어 직접적인 보상은 없다.[17] 2019년 8월 업데이트로 부스터를 직접적인 보상으로 받게된다.[18] 또한 월드 오브 워쉽의 진행 업적에 해당하는 것은 없다.
업적 조건 보상
Kraken Unleashed!(크라켄 해방) 한 게임에 5척 이상의 적함선 격침 Ship XP booster x 10
Confederate(연맹) 최소 6척의 적 함선에게 체력 총합 20%의 피해 기록 Commander XP booster x 10
Solo Warrior(용사) 혼자서 4척이상의 적 함선을 상대로 승리 Global XP booster x 10
First Blood(선제공격) 전투에서 최초로 적 함선 격침 Credits booster x 1
It's Just a Flesh Wound!(응징) 자신의 함선이 격침되고 적 함선 격침 Credits booster x 10
Dreadnought(드레드노트) 4척 이상 적 함선에게 함선 체력 120% 이상의 피해를 입고 생존 Battle booster x 10
High Caliber(능력자) 최소 4척의 적 함선에게 체력 총합 30% 피해 기록 Battle booster x 10
Witherer(고사) 적 함선에 최소 60000 HP의 화재 혹은 침수 피해를 입히면 수여 Battle booster x 10
Close Quarters Expert(근접전 전문가) 부포로 적함선 격침 Battle booster x 10
Detonation(폭파) 탄약고에 피해를 입고 유폭 Battle booster x 10
Double Strike(연속 공격) 10초 간격 안에 적 함선 2대를 격침 Battle booster x 10
Fireproof(내화) 자신의 함선 체력의 40%를 초과하는 화재로 인한 피해를 입고 생존 Battle booster x 10
Die-Hard(박치기왕) 적 함선을 충각으로 잡고 생존 Battle booster x 10
Liquidator(질식사) 적함에게 함선 체력의 40%만큼 침수로 인한 피해를 주고 격침 Battle booster x 10
Unsinkable(용솟음) 자신의 함선 체력의 40%를 초과하는 침수 피해를 입고 생존 Battle booster x 10
Arsonist(방화광) 적함에게 함선 체력의 40%만큼 화재 피해를 주고 격침 Battle booster x 10
Devastating Strike(결정타) 한 번의 공격으로 상대 체력의 50% 이상을 날리는 일격으로 격침 Battle booster x 10

5.10. 상태이상

기존 월드 오브 워쉽과 시스템이 거의 동일하다. 단 변동을 주는 요건들에 차이가 있다. PC버전의 내용을 참조.

6.

파란 색은 좋은 색이고 빨간 색은 나쁜 색이다. 마찬가지로 파란 동그라미는 좋은 동그라미이고, 빨간 동그라미는 나쁜 동그라미이다.

레전드를 플레이하려면 수리능력이 필요하다. 2는 3보다 작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2가 3보다 작음을 아는 사람은 전술적 이득에 대한 기대없이 라인을 유기하지 않는다. 라인을 유기하면 나머지 아군 2명이 적군 3명에게 압도당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라인유기는 레전드에서 매우 흔한 현상이다. 레전드 플레이어들은 자신이 2가 3보다 작음을 알고 있다고 착각하지만, 실제로는 그 의미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수리능력은 승률을 볼 때도 필요하다. 승률이 50% 미만(0~49%)이면 이전과 동일한 플레이스타일로 승리할 가능성보다 패배할 가능성이 높다. 승리하고 싶으면 플레이스타일을 바꿔야 한다. 플레이스타일을 유지하고 싶으면 패배를 감내해야 한다. 플레이스타일을 유지하면서 승리하기를 바란다면 레전드 플레이에 필요한 수리능력 혹은 양심이 없는 것이다.

한국시간 기준으로 오후4시에 스토어 및 이벤트가 리셋되며 기본 컨테이너가 월드 오브 워쉽과 다르게 경험치 획득과 상관없이 하루에 한 개씩 획득 가능하다.
기타 다른 부분은 월드 오브 워쉽의 항목 참조

현금 결재 밎 금화 사용처의 경우, 캠페인의 해군성 지원 활성화와 기간한정 판매 함장의 효율이 가장 높다. 견해차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뉴비용 현금결제 순위는
1순위 : 일부 기간한정 판매 함장[19]
2순위 : 새로 활성화된 켐페인의 해군성 지원
3순위 : 꾸준한 강화 패키지
4순위 : (전함유저인 경우) 뉴비용 휴우가 패키지
5순위 : (전함유저인 경우) 특가할인된 줄리오 체자레

기간한정 판매 함장은 관련 커뮤니티의 평가를 보고 구매하는 것이 좋다. 소과금 유저여도 벽람항로 콜라보 이벤트 때 콜로라도 정도는 구매할만하다.

입문용 함종은 전함이다. 입문용 함종으로 순양함을 추천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저티어 순양함을 빨리 패스하고 고티어 순양함을 몰라는 의미이며. 순양함은 고티어가 강력하나 저티어의 경우 전함한테 결정타 훈장을 쉽게 헌납할 정도로 생존력이 좋지 않다보니 어느정도 기동전에 익숙해진 다음 올리는것이 좋다.

전투결과 팀 내 점수순위는 1인분을 못하는 유저에게는 별 의미가 없다. 트롤링에 대한 감점이 없기 때문이다. 시작하자마자 라인유기하고 반대쪽 라인 최후방에서 혼자 남을 때까지 저격만 하면 누구나 팀 내 점수순위 4위 안에 들어간다. 승률 50%를 달성하기 전에는 남들도 내가 생각해낸 기발한 묘수를 떠올릴 지능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남들이 그 짓을 하지 않는 것에는 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겸손한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

7. 게임의 메카닉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의 기본적인 원리로 초기에는 PC와 다른점이 많았지만 지금은 많이 비슷해졌다.
PC버전의 내용을 참조.

8.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플랫폼 메타스코어 유저 평점
파일:PlayStation 4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4/world-of-warships-legends|
82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4/world-of-warships-legends/user-reviews|
7.1
]]
[20]
파일:Xbox One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one/world-of-warships-legends|
82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one/world-of-warships-legends/user-reviews|
7.9
]]

기준일:
2024-03-11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 평론가 평점
82 / 100
평론가 추천도
91%
유저 평점
XX / 100


콘솔버전과 모바일버전의 격차가 심하다. 지속개선되고 있으나 2024년 중순 시점에서는 모바일버전이 콘솔버전의 명백한 하위호환이다.

2024년 중순 시점에서 모바일은 항공모함 플레이불가[21], 장갑구조 확인불가 등의 제한이 있다.[22] 모바일 버전은 인터페이스도 너무 열악하다. 월드오브워십을 모바일로 이식할 때 예상할 수 있는 모든 문제점이 구현되어 있다. 자동에임추적 외에는 모바일 환경 배려요소가 전혀 없다. 다른게임은 태블릿으로 플레이시 모바일버전의 제약이 상당부분 극복되는데 레전드는 아니다. 태블릿으로 플레이해도 모바일버전 유저는 콘솔유저보다 현저히 불리하다. 빠른 정보처리와 섬세한 조작이 필요한 구축함 플레이 시에는 그 격차가 더 커진다. 멀티플랫폼 크로스플레이게임이라기보다는 심각한 열화이식판, 에뮬레이터 플레이에 가까운 모바일 조작감을 보여준다. 원조다운 깔끔한 게임성과 네임밸류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유사장르 게임들을 압도하지 못하는 것에는 이러한 이유가 있다.

서버상태가 유사장르 게임에 비해 매우 안 좋은 편이어서 입력 누락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 때문에 순양함, 모바일버전 플레이어가 더 불리해진다.

9. 기타

  • 콘솔버전 월드 오브 탱크가 별 다른 명칭 변화 없이 콘솔화가 된 것에 비해 레전드라는 명칭이 강조된 만큼 월드 오브 워쉽과는 기본적인 시스템만을 공유하는 별개의 게임으로 발매되었다. 인게임 화면 색감이나 UI부터 완전히 다른 게임인 것 같은 느낌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개발진 역시 거실에서 TV를 통해 플레이 하는 월드 오브 워쉽을 가정하고 만들었다고 밝힌바 있으며, 대부분의 UI가 먼 거리에서 큼지막하게 볼 수 있도록 크고 심플하게 강조 되었고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양도 많이 간략화되었다.[23]


[1] XBOX ONE X Enhanced 지원[2] 4K 60Hz 지원, RT지원[3] Play Station 4 Pro Patch 지원[4] 4K 60Hz 지원 예정, PS5Pro Enhanced 지원[5] 정식 서비스 시작과 동시에 기존 포럼을 삭제했다. 현재는 패치노트 및 다양한 공지 및 정보를 알리고 있다.[6] 알파 테스터가 아니더라도 참여 가능하며, 포럼이 사라진 지금은 공지사항부터 언어별 커뮤니티와 같이 홈페이지가 하는 일을 대부분 수행하고 있다.[7] 패치노트 및 단편적인 정보를 제공한다.[8] 본작의 캐치프라이즈. #"전투 위치(구역)", "전투 배치", 또는 "전투 위치로!" 나 "전원 준비!" 등의 뜻이다. 동일한 뜻으로 쓰이는 영문위키백과 'General quarters'(사운드 포함).[9] 원래 서비스되던 모바일 버전인 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의 경우 중국 게임사가 자체 개발한것으로 알려져있어서 실제로 워게이밍이 개발한 최초의 모바일 버전은 레전드이다.[10] 가끔 3주나 6주의 업데이트를 할때도 있다.[11] 대략 12500원정도 된다.[12] 이전에는 주로 7티어, 8티어 발표 후부터는 주로 8티어 함선을 제공한다.[13] 이런식으로 그냥 결재해서 바로 최종 아이템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진행단계 100개 기준으로 27250 금화를 결재하면 바로 모든 보상을 받을수 있다.[14] 사실은 사령관 혹은 지휘관이나 제독이 맞는 말이다. 게임 시작할때 구호를 생각해보면 사용자가 함장임을 알수 있다.[15] 물론 일부 국가별로 약간 다른 강화가 적용되는 경우가 있기는 하다.[16] 전체 경험치로 부스트가 가능하다.[17] 공식 FAQ에 전투후 받는 크레딧과 XP에 보상이 들어간다고 밝혔다.[18] 보상은 한 업적당 하루 1번만 적용된다.[19] 벽람항로 콜라보의 전함 함장으로 예시로 들 경우. 벽람 콜로라도는 무조건 구매대상이고, 넬슨역시 고성능 함장으로 추천되는 함장이다. 비스마르크, 덩케르크, 로씨야는 해당 국가 전함트리 운용계획이 있으면 구매할 만한 성능.[20] 2021년 초기에 비해 평가점수가 올라갔는데, 다름이 아니라 평가된 계정들을 살펴보면 워썬더는 0점 워게임은 10점을 준 불공정경쟁행위의 정황이 보인다.[21] 2024년 7월 업데이트 이후 모바일 유저도 항공모함을 사용할 수 있다.[22] 2025 년 1월 업데이트로 확인이 가능하다[23] 함선의 개장 및 업그레이드에서 함장 시스템이나 신호기 시스템까지 많은 부분에서 간소화 혹은 변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