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width=100%><tablebordercolor=#60d5ee,#60d5ee><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60d5ee,#60d5ee><color=#000000> 동방금상경의 보스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000> 1면 | 2면 | 3면 |
치리즈카 우바메 | 호쥬 치미 | 미치가미 나레코 | |
<rowcolor=#000000> 4면 | 5면 | 6면 | |
유이만 아사마 (거대 이변적) | 와타츠키 토요히메 (거대 이변적) | 이와나가 아리야 | |
EXTRA | |||
와타리 니나 (유이만 아사마) | }}}}}}}}} |
동방 프로젝트의 기타 등장인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fffff,#1c1d1f> 외전 등장인물 | 이부키 스이카 • 나가에 이쿠 • 히나나위 텐시 • 오오나마즈 • 히메카이도 하타테 • 하타노 코코로 • 우사미 스미레코 • 요리가미 조온 • 요리가미 시온 • 토테츠 유마 |
설정상의 인물 | 선대 무녀 • 13대 무녀 • 콘파쿠 요우키 • 프리즘리버 백작 • 레이라 프리즘리버 • 히지리 묘렌 • 비상천칙 • 상아 | |
잡몹 or 파트너 | 털구슬 • 해바라기 요정 • 상해인형 • 봉래인형 • 스씨 | |
앨범 관련인물 | 우사미 렌코 • 마에리베리 한 • 히에다노 아큐 | |
동방향림당 | 모리치카 린노스케 • 책읽는 요괴 • 라이카 | |
동방삼월정 | 서니 밀크 • 루나 차일드 • 스타 사파이어 • 너구리 요괴 | |
동방맹월초 | 와타츠키노 토요히메 • 와타츠키노 요리히메 • 레이센 • 츠키노 이와카사 | |
동방자가선 | 이바라키 카센 | |
동방영나암 | 모토오리 코스즈 • 점쟁이 | |
동방취접화 | 오쿠노다 미요이 | |
동방지령기전 | 미야데구치 미즈치 • 선대 무녀(동방지령기전) | |
구작 | 겐 영감님 • 루코토 • 멀티 • 미미쨩 • 소크라테스 | |
삭제된 인물 | 사츠키 린 |
와타츠키노 토요히메 [ruby(綿, ruby=わた)][ruby(月, ruby=つきの)] [ruby(豊, ruby=とよ)][ruby(姫, ruby=ひめ)] | Watatsuki no Toyohime | |
| |
▲《동방금상경》(2025) | |
<colbgcolor=#FFFFE0><colcolor=#000000> 이름 | 와타츠키노 토요히메[1] |
종족 | 월인 |
능력 | 山と海を繋ぐ程度の能力 산과 바다를 연결하는 정도의 능력 |
활동 장소 | 달의 도시 |
가족 | 여동생 와타츠키노 요리히메 |
첫 등장 | 《동방맹월초》(2007) |
1. 개요
동방맹월초의 등장인물. 달의 공주님이자 '달의 사자'의 리더.2. 특징
ここに住む生き物に罪がないはずがありません
地上に住む 生きる 死ぬ それだけで罪なのです
お前への罰は月に持ち帰って考えるとして…
地上の生き物への罰は――
.......一生地上に這い蹲って生き 死ぬこと
여기에 사는 생물에게 죄가 없을 리가 없어.
지상에서 지내고, 살고, 죽는다. 그것만으로도 죄야.
너에 대한 벌은 달에 돌아가 생각하는 것으로 하고...
지상의 생물에 대한 벌은――
...평생 지상에서 납작 엎드려 살다 죽을 것.
동방맹월초 18화.
와타츠키 가문 출신으로 와타츠키노 요리히메의 언니이자 야고코로 에이린의 제자 겸 조카며느리.[2][3] 달의 도시에 살고 있으며 달의 사자를 총괄하는 직책을 맡고 있다.地上に住む 生きる 死ぬ それだけで罪なのです
お前への罰は月に持ち帰って考えるとして…
地上の生き物への罰は――
.......一生地上に這い蹲って生き 死ぬこと
여기에 사는 생물에게 죄가 없을 리가 없어.
지상에서 지내고, 살고, 죽는다. 그것만으로도 죄야.
너에 대한 벌은 달에 돌아가 생각하는 것으로 하고...
지상의 생물에 대한 벌은――
...평생 지상에서 납작 엎드려 살다 죽을 것.
동방맹월초 18화.
오래 전에 우연히 거북이를 타고 달의 바다에 흘러온 지상인을 발견하고 달의 도시가 바다 밑에 있는 용궁이라고 거짓말[4]을 하고 흥미본위로 데리고 놀았던 적이 있다. 나중에 야고코로 에이린의 의견에 따라 그 지상인을 지상으로 돌려보냈는데 그가 바로 우라시마 타로[5]. 즉, 토요히메는 우라시마 타로 이야기에 나오는 오토히메다.
동생과는 정반대로 태평하고 천진난만한 성격의 소유자인데 여러모로 사이교우지 유유코와 성격이 유사하다. 평소에는 딱히 하는 일 없이 놀고 먹으면서 모든 일을 요리히메에게 미루고 있다. 복숭아를 좋아하며 먹고 자는 것을 즐긴다.
한때 레이센이라는 이름의 애완동물을 데리고 있었으나 지상으로 도망쳤다고 한다.[6] 지상으로 도망갔다가 돌아온 또다른 달토끼에게 다시 레이센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새로운 애완동물로 기르고 있다.
맹월초 4컷에서는 테위가 거느리던 요괴토끼 한 마리를 애완동물 삼아 데려가려다가 들켜서 실패했는데 모자에 넣어서 밀수하려 했다고 한다.
소지품 중 부채는 사물을 소립자 레벨로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달의 최신병기라고 한다. 여담이지만 유카리가 무릎을 꿇을 때도 이 부채를 들고 있어서 템빨로 이겼다는 평을 듣기도 한다. 얼빠진 성격이라 그런지 이 부채로 복숭아를 딴다거나 맹월초 4컷에서는 이 부채를 가지고 환상향에 내려왔다가 잃어버리기도 했다. ZUN이 구문구수에 수록된 인터뷰에서 "와타츠키 자매는 정말로 환상향쪽에선 언터쳐블입니다."라고 한 것을 보면 본인이 강한 것이 맞는 모양이다.
사실 ZUN이 작가인 아키★에다에게 초근대병기를 사용하는 캐릭터로 그려 달라는 지시만 내리고 그 '초근대병기'가 무엇인지는 전혀 설명을 안 해 줬고 그 결과가 저 부채라고 한다.
ZUN이 그린 설정화.
3. 작중 행적
3.1. 만화
3.1.1. 동방맹월초
지상인이 쳐들어 온 뒤에는 표면상의 적을 격퇴하느라 분주한 동생과는 달리 진짜 적인 유카리를 격퇴하기 위해 함정을 짜 놓은 뒤[7] 능력을 이용해 환상향으로 향한다. 결국 유카리는 이 함정을 통해 환상향의 미혹의 죽림으로 송환되었고 토요히메는 자신의 앞에 나타난 유카리를 간단하게 제압한다.
달의 이나바와 지상의 이나바 26화에 출연했는데 동생과 함께 옛 스승인 에이린을 만나러 영원정에 놀러 왔다. 마이페이스에 식신(복숭아 한정), 잠꾸러기 등 사이교우지 유유코와의 공통점이 상당수 존재한다.
바다와 산을 연결하는 능력 때문에 영원정을 왔다갔다하는 것은 아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듯하다. 거의 순간이동이다.
레이센의 말에 따르면 딱히 엄한 말을 하지도 않고 학식도 높아 들려주는 이야기도 재미있어 달토끼들에게 인기가 높다고 한다. 무엇보다 훈련 도중에 몰래 복숭아나 과자 등을 가져다 준다고 한다.
3.1.2. 동방영나암
34화에서 직접적 등장은 아니지만 1컷에 요리히메, 사구메와 함께 등장한다.3.2. 게임
3.2.1. 동방금상경
いや、自分の行動を自分で決めるには貴方は無知すぎる。
何が起きていて何が原因か、何も判っていない人間がどうやって行動を決められる?
아니, 스스로의 행동을 스스로 결정하기엔 당신은 너무 무지해.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무엇이 원인인지, 아무것도 모르는 인간이 어떻게 행동을 결정한다는 거지?
何が起きていて何が原因か、何も判っていない人間がどうやって行動を決められる?
아니, 스스로의 행동을 스스로 결정하기엔 당신은 너무 무지해.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무엇이 원인인지, 아무것도 모르는 인간이 어떻게 행동을 결정한다는 거지?
聡明な貴方に教えてあげましょう。
穢れとは……、用意された安定を否定し、自分勝手な破壊と創造、変化を好む
穢れとはそういう愚かな人間らしい人間の気質なのです。
총명한 당신에게 알려드리도록 하죠.
더러움이란..., 차려진 안정을 부정하고, 제멋대로 파괴와 창조, 변화를 꾀한다.
더러움이란 그러한 어리석은 인간다운 인간의 기질인 겁니다.
穢れとは……、用意された安定を否定し、自分勝手な破壊と創造、変化を好む
穢れとはそういう愚かな人間らしい人間の気質なのです。
총명한 당신에게 알려드리도록 하죠.
더러움이란..., 차려진 안정을 부정하고, 제멋대로 파괴와 창조, 변화를 꾀한다.
더러움이란 그러한 어리석은 인간다운 인간의 기질인 겁니다.
5면 보스로 등장하며 뉴비에서 올드비까지 동방 팬덤 전체를 큰 충격에 빠뜨렸다. 2007년 맹월초에 처음 등장한 이후 무려 18년 만에 샤메이마루 아야의 뒤를 이어 정규넘버링 슈팅게임 보스로 출연한 2번째 서적판 캐릭터가 되었다.[8] 심지어 아야는 화영총과 문화첩의 간격이 거의 없는 거나 마찬가지+2020년대 즈음에 동방을 입문한 사람들은 아야를 게임쪽 출신 캐릭터라고 생각했던 점을 고려하면 서적판에서 끄집어낸 건 토요히메가 최초나 다름없다.[9] 맹월초에서도 전투는 요리히메만 했다는 것을 염두에 두면 실력을 보여주는 장면도 최초. 눈은 적안이 되었으며 복장은 허리의 벨트에 장식이 들어가는 식으로 약간 바뀌었다.
이름 표기가 '와타츠키노 토요히메([ruby(綿, ruby=わた)][ruby(月, ruby=つきの)] [ruby(豊, ruby=とよ)][ruby(姫, ruby=ひめ)])'에서 '와타츠키 토요히메([ruby(綿, ruby=わた)][ruby(月, ruby=つき)] [ruby(豊, ruby=とよ)][ruby(姫, ruby=ひめ)])'로 미묘하게 바뀌었다.
피라미드 내부의 달로 이어지는 통로로 들어가버린 주인공 듀오를 침입자로 판단해 쓰러뜨리려 하지만 누군가의 계획이라는 것을 알고 바로 아리야 앞으로 이동시켜준다. 주인공과는 구면이라 쉽게 알아차리지만, 레이무 쪽은 잊어버렸다가 나중에 기억했다. 스펠카드 룰을 따라도 월인 출신이라 강자라는 것을 과시하듯이 키신 사구메처럼 주인공들과 적당히 상대해주는 식으로 나오며, 격파 후에도 너덜너덜해지지 않는다.[10] 이후 밝혀진 코멘트로는 더러움을 정화하는 달의 시설인 아사마 정화산의 관리자로서 감당할 수 없을 정도의 더러움이 밀려오자 환상향의 월인을 믿고 환상향의 시간까지 멈추게 되는 최후의 수단을 쓴 것. 즉, 스토리 상으로도 금상경판 사구메 포지션이다.
일단 5면 보스로의 난이도는 최상으로 평가되며, 통상 탄막하고 스펠 카드 대부분 초견살 패턴으로 무장되어 있다. 특히나 통상 패턴부터 플레이어 근처로 탄막을 배치하고, 거의 바로 2회 연속으로 추적하는 구성이라[11] 초견에 당황하면 그대로 피탄당하는 구성이다. 게다가 붉은색 탄으로 변할 때에는 탄소거가 먹히지 않고 통상 패턴에서 봄을 쳐도 잔탄이 남을 경우에는 무적시간이 끝나자마자 바로 피탄당할 위험이 있으며, 두 번째 통상에서는 추가로 물방울탄을 전방위로 쏘기에 더 어렵다.
스펠카드 기믹은 같은 달 배경인 감주전의 오마쥬가 꽤 강한데 원형 방사 형태로 곡선으로 날라드는 레이저 탄막은 순호와, 특정 탄막이 다른 탄막을 지워주는 것을 이용해서 회피해야 하는 건 클라운피스와 꽤나 유사한 기믹을 보여주고 있다. 마침 배경도 지구를 비추는 달의 모습이라 감주전과 매우 유사한 구도이다. 재밌게도 저 둘은 막상 달의 침공자이자 적이라는 점이 유머 포인트이기도 하다.
첫 번째 스펠 보주 「시오미츠타마」는 물방울탄을 사방으로 발사하며 물방울탄이 화면 끝에 닿으면 반사되어 날아온다. 마찬가지로 하단에서도 반사되어 날아오는데다 밀도가 높기에 상당히 빡세다. 참고로 이 물방울탄은 화면에 닿아 반사되기 전까지는 탄소거가 되지 않으며 물방울탄이 화면에 닿아 반사되어야 비로소 탄소거가 된다. 루나틱에서는 사실상 고정봄을 박아야 할 정도로 매우 사악하기 때문에 패턴에 약하다면 조금이라도 피할 생각은 접어 두는게 좋다.
두 번째 스펠 재앙 「산사태」시리즈는 화면 상단에서 물방울탄 줄기들이 빠른 속도로 쏟아지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물방울탄이 V자로 흩어져서 날아와 틈새를 수시로 빠르게 뚫고 지나가는 것을 요구한다. 화면 하단에 있으면 물방울탄에 갇혀 압사당하는 중단회피 강요 스펠이니 상단에서 피하자. 하드까지는 물방울탄들이 몇 초간 날라오고 몇 초간의 휴식이 반복되는데, 루나틱은 그런거 없고 계속 발사된다. 호밍 공격이 있다는 전제하에 이 스펠을 토요히메보다 위에서 피하여 탄이 뭉쳤을때 그냥 간단하게 피하는 꼼수가 있긴 하지만, 마냥 쉬운것은 아니여서 본인의 선택이 요구된다.
세 번째 스펠 보주 「시오후루타마」는 화면 아래에서 양 옆으로 물방울탄이 올라온 다음 이동하며, 주기적으로 토요히메가 틈새가 없는 검은색 쌀탄 여려 겹을 전방위로 매우 빠르게 쏜다. 이 물방울탄은 검은색 쌀탄을 소거해주는 기능이 있기에 이걸 잘 활용해야 한다. 토요히메가 이동하는 위치와 물방울탄의 위치에 따라 난이도가 극으로 갈리는 편으로 고난이도로 갈수록 검은색 쌀탄들을 쏘는 횟수가 증가하기에 깔려죽기 쉬워 매우 어렵다. 물방울탄 움직임 자체도 난해해서 이 스펠의 기믹을 알아도 그냥 고정봄을 박는 경우도 있다. 클라운피스전의 전체 오마주인지는 몰라도, 예외적으로 이지에서는 굳이 탄소거 자체가 필요 없을 정도로 쌀단 자체의 틈이 매우 자비로워서 그냥 피해도 된다.
네 번째 스펠 「문 드래곤」은 미야코 요시카의 마지막 패턴 혹은 더블 스포일러의 호시구마 유기가 생각나는 패턴. 굵은 레이저가 사선으로 교차하면서 날아와 플레이어를 가두고 화면 상단에서 물방울탄이 쏟아진다. 굵은 레이저 사이의 틈새가 여유롭지 않고 날아오는 궤도가 상당히 이질적이여서 조금만 삐끗해도 레이저에 맞거나 물방울탄에 깔려죽는 일이 상당히 많이 일어난다. 거기에 굵은 레이저는 봄을 사용해도 소거가 되지 않으며, 격파를 해도 바로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잠깐 동안에는 피격 판정이 남는다. 이지에서는 레이저만 나오고, 난이도가 올라갈수록 물방울탄이 추가되는 형식이다. 몰론 레이저는 전 난이도 공통 동일하게 나오기 때문에 레이저에 약하면 이지에서도 봄이나 치자.
필드전 난이도 또한 매우 사악한데, 초반에 틈새가 좁은 쌀탄을 플레이어 조준을 하여 전방향으로 발사하는 요정 자코들부터 상당히 까다로운 편으로[12] 중형 요정이 반격탄 무더기를 쏘는 빨강 미니 이변적을 원형으로 사출하는 구간과[13] 중간 보스 직전 요정 자코 구간이 특히 악랄하다.
정식판이 발매되자마자 5면 중간 보스가 화제가 되었다. 바로 홍룡동의 거대 음양옥 구간보다도 더 막장인 중간 보스의 패턴 때문인데, 이게 동방홍마향의 이터널 믹을 상기시킬 정도로 초고속 랜덤탄이 날라와서 매우 흉악하다.[14] 격파 시 잔기 아이템을 드롭하기는 하지만, 루나틱에서 보스도 아닌 필드에서 이 정도 패턴이 나오는 상황은 굉장히 드물기 때문에 많은 방면으로 충격을 주었다. 심지어 이 막장성은 이지, 노말에서도 예외는 아니다.[15]
레이무(임페리셔블 문) 엔딩에서는 능력을 사용해 하쿠레이 신사에 갑자기 들어와서는 레이무를 심문한다. 상부에 보고하느라 자기도 고생깨나 한다고 불평하는 한편, 레이무의 답변에서 이변석과 이번 이변의 배후에 그 분이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는 만족한 채 사라진다.
3.3. 설정집
3.3.1. 동방구문구수
웬일로 동생과 함께 동방구문구수에도 살짝 나왔다. 맨 뒤의 '소개되지 못한 불우캐릭터'로 서술되며 본편에서 나오지 못한 다른 캐릭터들과 함께 얼굴을 비췄다.
3.3.2. 동방Project 인요명감 저승편
와타츠키노 토요히메 | |
| |
<colbgcolor=#800000><colcolor=#ffffff> 종족 | 월인 |
활동 장소 | 달의 도시 |
주요 능력 | 山と海を繋ぐ程度の能力 산과 바다를 연결하는 정도의 능력 |
스펠 카드 | ※미확인 |
3.3.3. 동방환존신첨
와타츠키노 토요히메 | |
| |
<colbgcolor=#800000><colcolor=#ffffff> 이명 | 対極を同一視する月の民 극과 극을 동일시하는 달의 주민 |
능력 | 山と海を繋ぐ程度の能力 산과 바다를 잇는 정도의 능력 |
오미쿠지 | 대길(大吉) |
4. 대인관계
- 와타츠키노 요리히메 (여동생)
- 야고코로 에이린 (스승)
- 레이센
- 유이만 아사마 (하청 관계)
5. 능력
5.1. 산과 바다를 연결하는 정도의 능력
동방구문구수에서 밝혀진 바로는 '바다=달'이고 '산=환상향'. 즉, 달과 환상향을 자유자재로 오갈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한다. 물론 당연히 어느 곳이든 이동할 수 있다. 전투 능력이 아닌지라 전투는 대부분은 상기되어 있는 부채에 의존하고 있는 모양이다. 자신의 능력으로 싸우는 요리히메와 상반된 캐릭터로 만들어 놓은 것이라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리히메와 마찬가지로 환상향의 인물들과는 파워랭크 자체가 다르다는 모양이다.실제로 금상경의 경우 5면에서 헤매다[16] 달(바다)로 흘러 들어온 주인공 일행을 다시 피라미드(산)으로 돌려보내며, 해당 능력을 인게임 상에서 보여주기도 하였다.
사실 전투능력이 아니라지만 야쿠모 유카리의 까마귀 식신을 우주공간으로 보내 질식시켜 죽이기도 했다. 응용에 따라서는 충분히 살상도 가능한 능력.
5.2. 스펠 카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와타츠키노 토요히메/스펠 카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와타츠키노 토요히메/스펠 카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이명
바다와 산을 잇는 달의 공주 (海と山を繋ぐ月の姫) | 동방맹월초 |
극과 극을 동일시하는 달의 주민 (対極を同一視する月の民) | 동방환존신첨 |
삼각산과 바다를 잇는 현자 (三角山と海を繋ぐ賢者) | 동방금상경 |
7. 테마곡
동방맹월초 | 테마곡 | 와타츠키의 스펠카드 ~ Lunatic Blue (綿月のスペルカード ~ Lunatic Blue) | |
동방금상경 | 스테이지 5 필드BGM | 기억의 심해에 가라앉은 소녀 (記憶の深海に沈んだ少女) | |
테마곡 | 와타츠키의 스펠카드 ~ 신해전 (綿月のスペルカード ~ 神海戦) |
8. 기타
역대 동방 프로젝트 인기투표 캐릭터 순위 | |||||||||
와타츠키노 토요히메 |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 - | - | - | 61위 | 67위 | 78위 | 78위 | 85위 | 90위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95위 | 103위 | 103위 | 112위 | 108위 | 114위 | 107위 | 108위 | 115위 | 119위 |
21회 | - | - | - | - | - | - | - | - | - |
73위 | - | - | - | - | - | - | - | - | - |
역대 공식작에서 최초로 살아 있는 생물체(유카리의 까마귀 식신)를 죽여 ZUN의 불살주의를 깨뜨린 첫 캐릭터이기도 하다.[17]
천진난만한 캐릭터가 독자들에게 어필했는데 제5회 동방 프로젝트 인기투표에서 인지도가 너무나 저조한 맹월초 오리지널 캐릭터 중에서는 비교적 선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그래 봤자 구작 캐릭터들과 자웅을 겨루는 하위권이기는 하다. 캐릭터성이 사이교우지 유유코와 겹친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6회 인기투표를 앞두고 유카리에게 지상인을 마구 모멸하는 태도를 보인지라 인기 노선에 빨간불이 켜질 것이라 예상했지만 '실은 새디스트인 게 아닐까'라며 '저를 밟아주세요 공주님!!!'이라는 마조히즘 팬들 덕분인지 6등위 상승, 그리고 9회 투표에서는 오오나마즈와 운잔 다음 가는 신작 최하위를 기록하였다.
이름으로 보아 신화상의 모티브는 해신 와다츠미의 딸들 중 언니인 토요타마히메(豊玉姫)로 보인다. 토요타마히메는 자식을 낳을 때 상어 혹은 악어로 변했다는 전설이 있어 토요히메가 상어로 변하는 2차설정으로 파생되기도 했다. 한편 토요타마히메는 달리 大神霊龍王라는 용신이기도 해서 이른바 토요히메 용신설의 근거 중의 하나가 되기도 한다. 타마요리히메의 언니이자 히코호호데미노미코토와 결혼하기도 했다고 하며 용의 화신이었다는 전승이 있다고 하는데 이 때문에 토요타마히메가 용의 모습을 하고 있을 때 대신령용왕으로 불리며 이것이 토요히메 용신설의 근거가 된다고 한다.
토요타마히메(豊玉姫神)는 남편 호오리와 약속을 하나 했는데 이는 '아이를 낳을 때 자신을 보지 말 것'이었다. 토요타마히메는 출산할 때 해신의 딸로서의 본래 모습으로 돌아가기 때문이지만 호오리는 호기심을 참지 못하고 토요타마히메의 출산 모습을 엿보고 말았다. 결국 남편이 약속을 깬 것을 안 토요타마히메는 친정인 바다로 돌아갔다. 이때 토요타마히메는 두고 온 아들인 우가야후키아에즈가 걱정되어 모유가 나오는 자신의 젖을 뜯어 지상에 두고 왔다. 지상에 남겨진 아들을 돌본 것이 여동생인 타마요리히메(玉依姫)로 이후 결혼까지 한다.
NHK에서 나온 원화를 보면 집에서도 모자를 벗지 않는다고 한다.
21회 인기투표의 최대 변수가 되었는데, 인기투표 진행 도중 나온 정규작인 동방금상경에서 5면 보스로 재출연하여 이슈가 되었기 때문이다.[18] 신작 출연 보정을 받아 인기 순위가 오를 거란 예측도 있었지만, 비호감 행적이 여전해서 그 영향력은 불확실하다고 보는 예측도 있었다. 이후 21회 투표에서 73위를 기록, 무려 46계단 올라가며 오래간만에 다시 100위권 내에 안착하며 신작 버프를 제대로 받았다. 이는 동방빙의화 이후 도레미 스위트가 기록한 43계단 상승보다도 높은 순위 변동이다. 단 금상경 내에서의 순위는 미치가미 나레코(60위)에게 밀렸다.
5면 대결 시의 배경이 동방감주전의 6면 보스인 순호의 배경과 거의 비슷하다. 차이점이라면 토요히메와 대결하는 장소에는 감주전 당시와는 다르게 달의 표면이 바닷물에 완전히 가려져서 안 보인다는 점, 그리고 헤카티아, 클라운피스, 순호의 영향력이 없기에 전체적인 배경의 색상은 푸른색의 톤을 유지한다.
9. 평가
최신작 시대에 동방을 입문한 플레이어들에게는 체감이 거의 되지 않겠지만, 사실은 동방 프로젝트 사상 유례가 없을 정도로 안티가 많았던 캐릭터. 야쿠모 유카리 최강설이 판치던 시절의 유카리를 덜 억울하게 만드는 수준이었다.주로 까이는 레퍼토리는 선민사상[19]이다. 작중에서 더러움이 가득한 지상, 죄 많은 지상인을 운운하며 월인의 이미지를 추락시킨 장본인이며 당시 최강자 취급이였던 야쿠모 유카리를 소립자 부채로 간단하게 제압해 버린 것 때문에 환상향 주민의 입장에서 서술되는 동방 시리즈에서는 불우 캐릭터로서의 입지를 다지게 되었다. 원피스의 천룡인, 빈스모크 가문이나 나루토의 나뭇잎 마을, 마사무네의 리벤지의 아다가키 아키와 비슷하다는 의견도 나왔으며, 특히 이런 선민사상과 더불어 지상인에 대한 매우 강한 혐오 사상 때문에 노골적인 멸칭으로는 "달 나치"라는 표현까지 등장할 정도이다.
더불어 당시 나온 2차 창작 작품인 코메이지 코이시의 두근두근 대모험에서도 극악무도하고 뻔뻔한 악역으로서 등장해 자신을 포함한 월인들에 대한 평가를 추락시키는 데 기여했다.
아무래도 이러한 불호가 있는 상황이었다보니, 감주전 발매 이후로는 월인 담당일진으로 쓰기 매우 적합한 설정으로 무장한 순호를 통해 월인 학대 겸으로 순호를 가해자 입장으로 쓰는 창작물이 우후죽순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불호가 비교적 잠잠해진 2020년대 이후로도 간간이 그런 내용의 짤이 나오는데 와타츠키 자매가 안티의 정점을 달릴 때 순호가 나왔으면 안티들은 더더욱 다양한 수단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했을 수도 있다고 여겨진다.
다만 실제로는 지상인의 죄이니 해치워야 한다느니 하면서 결국 모두 좋게 끝나게 한 부분 또한 토요히메이기도 하다. 고압적인 어휘와 다르게 행동은 상당히 물러서, 우라노시마코를 죽이려고 한 에이린에게 비밀로 하고 살려 놓은 일이나[20] 1차 월면전쟁을 일으키고 패배한 유카리가 다시 침공했음에도 죽이거나 하지 않고 감시를 붙이고 돌려보낸 것으로만 끝낸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하쿠레이 레이무가 유카리에게 속아 달을 침공한 것을 알자 유카리가 레이무를 속였음을 알려 주기도 했고, 떡 찧기가 싫어 지상으로 도망쳤다 돌아온 레이센을 애완동물로 삼아 숨겨 주는 모습을 보면 오히려 본인은 무르고 상냥한 성격의 소유자라고 볼 수 있다. 환존신첨에서는 이런 성격 때문에 달토끼가 만만한 상사 취급하고 있다는 코멘트를 넣기도 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작품 자체의 혹평, 연출의 부족 및 "월인의 대표"로서 과격한 대사를 남긴 사실 때문에 이런 면은 부각되지 않는 편.
시간이 지날수록 좋은 디자인과 같은 종족인 사구메의 행보와 비교되며 어느 정도 긍정적으로 재평가를 받다가 금상경에서 5면 보스로 등장하여 맹월초 발간 이후에 무려 18년 만에 본가에도 등장해서 좋은 반응을 받고 있어 요리히메와는 달리 데뷔 당시와 평가가 대역전되었다. 다만 인게임 통상과 스펠카드가 5면 중 최악의 초살 난이도로 악명 높은지라 슈팅게이머들 한정으로는 클라운피스와 함께 증오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10. 둘러보기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72bc><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0072bc><color=#ffffff> 동방 프로젝트의 5면 보스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동방봉마록 | 동방환상향 | 동방괴기담 |
미마 | 유카 | 유메코 | |
동방홍마향 | 동방요요몽 | 동방영야초 | |
이자요이 사쿠야 | 콘파쿠 요우무 | 레이센 우동게인 이나바 | |
동방풍신록 | 동방지령전 | 동방성련선 | |
코치야 사나에 | 카엔뵤 린 | 토라마루 쇼 | |
동방신령묘 | 동방휘침성 | 동방감주전 | |
모노노베노 후토 | 키진 세이자 | 클라운피스 | |
동방천공장 | 동방귀형수 | 동방홍룡동 | |
니시다 사토노 & 테이레이다 마이 | 조토구 마유미 | 이즈나마루 메구무 | |
동방금상경 | |||
와타츠키 토요히메 | }}}}}}}}} |
[1] 동방금상경에서는 와타츠키 토요히메로 표기된다.[2] 요리히메와 마찬가지로 이 역시 '지상인식으로 말한다면'이라는 전제가 붙어 있어 실제로 결혼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3] 여담으로 에이린은 와타츠키 자매를 공주라고 부른다.[4] 용궁이라고 한 것이 거짓말이 아니라 달이 아닌 바다 밑이라는 것이 거짓말. 달의 도시는 용궁이 맞다.[5] 작중에서 우라시마 타로는 '미즈에 우라시마코(水江 浦島子)'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동방 프로젝트 인기투표에서도 등장하는데, 제21회 기준 213위를 하였다.[6] 설명을 보면 알겠지만 그 동방영야초 5면 보스 맞다.[7] 그런데 17화에서는 에이린이 만든 함정이라고 한 반면 18화에서는 본인이 만든 함정이라고 말한지라 진실은 불분명하다.[8] 엔딩을 포함하면 귀형수 엔딩에 출현한 이바라키 카센이 있다.[9] 서적판 문화첩은 2005년 8월 11일 발매, 화영총은 2005년 8월 14일 공개, 게임판 문화첩은 2005년 12월 30일 공개.[10] 쓰러뜨리고 난 뒤에 토요히메의 일러스트를 잘 보면 그녀 주위에 푸른 오라가 미세하게 흘러나온다.[11] 예외로 이지에서는 추적이 발생하지 않고 탄이 그냥 사라진다.[12] 물론 금상경이 피탄 판정이 작아서 요요몽 수준의 기적의 회피가 가능하기는 한데, 그걸 감안해도 심하게 좁은 편이다. 다만, 타이틀이 뜨기 전의 극초반 구간은 화면 중앙 맨 아래에 안지가 있다.[13] 마리사의 경우에는 스플래시 데미지가 있는 개구리샷이나 미사일, 레이저로 미니 이변적을 한꺼번에 터트릴 수 있어서 낫지만, 레이무의 경우에는 스플래시 데미지가 있는 샷이 전혀 없어서 한꺼번에 터트리지 못해 밀도가 높은 조준 반격탄 무더기에 갇히거나 압사당하기 쉽다. 해당 구간은 길이가 고정되어 있어 중형 요정을 빠르게 속공해서 잡아도 바로 다음 중형 요정이 무작위 위치로 금방 나오며, 고난도에서는 미니 이변적 잡몹을 격파하지 않고 방치해두면 전방향으로 랜덤 원형탄을 날려서 화면이 개판이 되어버린다.[14] 사실 4면 중보스의 패턴 4개를 섞어놓은 것이며 4면 중보스 때의 스프라이트와 다르게 색깔이 계속 변한다.[15] 더군다나 전술한 홍마향의 이터널 믹보다도 상황이 안 좋은 게, 여차하면 이터널 믹은 스펠 직전 나오는 통상을 타임아웃으로 넘겨버려 패턴 자체를 아예 안 볼 수도 있고(이쪽은 노봄 플레이시 가끔 변칙적으로 활용되는 방법이다.), 대놓고 쓰긴 뭐하지만 이터널 믹에는 안지도 있다. 하지만 금상경 5면 중보의 경우 이에 둘 다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상황이 더 심각하다. 오죽하면 동방에서 날고 기는 사람들도 약속이라도 한듯이 임페리셔블 문 메인석을 착용해서 탄소거로 넘겨버린다. 체험판 시절만 해도 임페리셔블 문을 사용하는 노봄 플레이는 너무 쉬울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었으나, 정식판이 나오자 마자 해당 중간보스에 기겁해서 임페리셔블 문만 쓰는 웃픈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심지어 금상경 루나틱 최초 LNN도 임페리셔블 문을 메인석으로 사용했을 정도면 말 다한 거다.[16] 아사마 정예산에 있는 달과의 연결통로를 잘못 탔다. 수왕원의 세이란의 대사에서 언급된 통로.[17] 두 번째는 이바라키 카센으로 동방자가선 24화에서 도마뱀을 시험에 통과하지 못했다며 죽인다. 그리고 하쿠레이 레이무는 유일하게 인간형 캐릭터를 죽이는 위업을 달성하였다. 역시 깡패무녀답다.[18] 동방금상경 발매 전에 시작된 21회 인기투표에는 금상경 체험판 캐릭터들까지만 참여할 예정이었지만, 투표 도중 정식판에서 재출연하며 인기 순위에 변수가 생긴 것도 특이 사항이다.[19] 월인(동방 프로젝트) 문서 참고.[20] 이 자매가 에이린을 얼마나 따르는지 생각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