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영암군·무안군·신안군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fcd00> | }}}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광양시 | 나주시 | 목포시 |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F47420 21%, #F47420); font-size: 1em" ]] 순천시 | 여수시 | ||||||||
강진군 | 고흥군 | 곡성군 | 구례군 | 담양군 | |||||||||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089c50 21%, #089c50); font-size: 1em" ]] 무안군 | 보성군 | 신안군 | 영광군 | 영암군 | |||||||||
완도군 | 장성군 | 장흥군 | 진도군 | 함평군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해남군 | 화순군 | }}}}}}}}} |
1. 선거구 정보
전라남도 영암군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 ||
<rowcolor=#ffffff> 구분 | 선거구명 | 지역 |
<colbgcolor=#33b540><colcolor=#ffffff> 국회의원 | 영암군·무안군·신안군 | 영암군 전역 + 무안군, 신안군 전역 |
도의원 | 영암군1 | 영암읍, 덕진면, 금정면, 신북면, 시종면, 도포면 |
영암군2 | 삼호읍, 군서면, 서호면, 학산면, 미암면 |
2. 개요
3선으로 당 중진이었던 유선호의 지역구였다. 이후 영암군 출신으로는 박준영이 20대 의원으로 당선되었으나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 상실.대불공단의 영향으로 전라남도에서 목포시 다음으로 정의당 지지율이 높은 곳이다. 전 전라남도의원 이보라미가 여기서 지역구로 지냈고, 영암군수까지 도전했으나 낙선되었다.
본래 영암군은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약 20년 간 장흥군과 선거구를 함께 해온 지역이었다. 경계가 맞닿아 있기는 하지만 빽빽한 호남 정맥에 막혀 있기에 생활권은 서로 전혀 달라 교류가 적은 편이다. 그래도 인구 수와 정치 성향은 비슷하였기에 김옥두 전 의원이 득표율 80%를 상회하는 대기록으로 연임하던 곳이었다.
영암군은 삼호읍 대불국가산업단지를 기점으로 꾸준히 성장하는 반면, 장흥군은 서서히 인구 감소세를 보이다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기점으로 선거인수 4만 명선이 붕괴되며 두 지역 간의 격차가 크게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영암군 출신의 유선호 전 의원은 처음 출마한 선거구였지만 영암군의 압도적인 지지를 얻고 당선된 반면, 장흥군에서 우세했던 김옥두 전 의원은 3선에 실패하고 낙마한다. 이후 유선호 전 의원은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당선되어 재선에 성공하면서 영암군의 영향이 상당히 미치게 되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통합당 공천에서 유선호 전 의원이 황주홍 전 강진군수에 밀려 탈락하였다. 황주홍 후보는 2004년 재보궐선거에서 전라남도 강진군수 선거에 출마, 내리 3선으로 제 39, 40, 41대 강진군수를 지냈다. 그리고 2012년 민주통합당 후보로 장흥-강진-영암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이후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하고 국민의당에 합류했다. 그런데 유권자 하한선 미달로 지역구 재조정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황주홍 전 의원은 생활권 및 유권자 인구수 배분에 따라 개편된 선거구 재획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지역 기반인 강진군이 포함된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고흥-보성-장흥-강진 선거구에서 국민의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한편 전라남도 서부 지역의 기존 선거구가 인구 하한선 미달로 지역구 재획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결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무안군·신안군 선거구에 영암군을 이어 새롭게 편성된 선거구가 바로 영암군·무안군·신안군 선거구이다. 기존 선거구인 무안군·신안군과 장흥군·강진군·영암군의 당시 인구 수는 각각 125,571명과 138,717명으로 2015년 10월 기준 하한 인구 수인 139,473명에 미달하여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선거구 재획정이 불가피하였다. 결국 다양한 안건이 오간 결과 현재와 같이 장흥군·강진군과 영암군이 분리되어 인접한 다른 선거구에 통합되었다.
그런데 다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선거구 획정 기간이 오자 다시 한 번 개편이 예정되었으나 현행 선거구가 유지되었고,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현 상태가 유지되었다.
3. 역대 선거 결과
영암군 국회의원 선거 결과 | |||
영암군 | |||
13대 | [[평화민주당|]] | 류인학 | 초선 |
14대 | | 류인학 | 재선 |
장흥군·영암군 | |||
15대 | [[새정치국민회의|]] | 김옥두 | 재선 |
16대 | [[새천년민주당|]] | 김옥두 | 3선 |
17대 | [[열린우리당|]] | 유선호 | 재선 |
장흥군·강진군·영암군 | |||
18대 | [[통합민주당(2008년)|]] | 유선호 | 3선 |
19대 | [[민주통합당|]] | 황주홍 | 초선 |
영암군·무안군·신안군 | |||
20대 | [[국민의당(2016년)|]] | | |
| 서삼석 | 초선[2] | |
21대 | | 서삼석 | 재선 |
22대 | | 서삼석 | 3선 |
||<-5><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3b540><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color=#000000,#dddddd> 역대 영암군수 선거 결과 ||
1기 | 2기 | 3기 | 4기 | 5기 | ||
민주당 | 새정치국민회의 | 새천년민주당 | 열린우리당 | 민주당 | ||
박일재 | 김철호 | 김철호 | 김일태 | 김일태 | ||
6기 | 7기 | 8기 | ||||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 더불어민주당 | ||||
전동평 | 전동평 | 우승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분 | 주요 후보 득표율 | ||||
1995년 | 1위: 박일재 36.73% 2위: 김철호 34.23% 3위: 전정식 29.02% | |||||
1998년 | 1위: [[새정치국민회의|]] 김철호 51.90% 2위: 박일재 48.09% | |||||
2002년 | 1위: [[새천년민주당|]] 김철호 54.36% 2위: 김일태 45.63% | |||||
2006년 | 1위: [[열린우리당|]] 김일태 53.65% 2위: 장경택 46.34% | |||||
2010년 | 1위: [[민주당(2008년)|]] 김일태 무투표 당선 | |||||
2014년 | 1위: [[새정치민주연합|]] 전동평 50.70% 2위: 김일태 36.55% 3위: 최영열 12.73% | |||||
2018년 | 1위: 전동평 51.40% 2위: 박소영 34.73% | |||||
2022년 | 1위: 우승희 48.96% 2위: 배용태 20.87% 3위: 박소영 15.28% 4위: 이보라미 10.67% | }}}}}}}}} |
3.1. 지방선거
8회 지선 영암군 개표 결과 | |||||||
전라남도지사 선거 | |||||||
정당 |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영록 | 이정현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21,769 (79.54%) | 4,174 (15.25%) | + 17,595 (△64.29) | 61.24% | |||
영암군수 선거 | |||||||
정당 |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우승희 | 배용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13,689 (48.96%) | 5,835 (20.87%) | + 7,854 (△28.09) | 61.24% |
3.2. 대선
3.2.1. 제19대 대통령 선거
영암군 영암군 일원[영암] | |||||
정당 | | [[국민의당(2016년)|]] |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득표수 | 18,999 | 825 | 13,610 | 674 | 1,773 |
득표율 | 52.52% | 2.28% | 37.62% | 1.86% | 4.90% |
순위 | 1위 | 4위 | 2위 | 5위 | 3위 |
계 | |||||
선거인 수 | 47,164 | ||||
투표 수 | 36,402 | ||||
무효표 수 | 231 | ||||
투표율 | 77.18% |
19대 대선 전남 영암군 개표 결과 | |||||||
정당 | | [[국민의당(2016년)|]]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18,999 (52.52%) | 825 (2.28%) | 13,610 (37.62%) | 674 (1.86%) | 1,773 (4.90%) | +5,389 (△14.90) | 77.18% |
영암읍 | 50.65% | 2.15% | 40.48% | 1.86% | 4.33% | △10.17 | 76.74 |
삼호읍 | 53.64% | 2.32% | 33.87% | 2.10% | 7.34% | △19.77 | 70.46 |
덕진면 | 48.95% | 1.94% | 45.49% | 0.93% | 2.27% | △3.46[4] | 75.68 |
금정면 | 45.87% | 3.27% | 46.18% | 1.01% | 2.49% | ▼0.31[5] | 75.44 |
신북면 | 52.55% | 1.91% | 40.86% | 1.20% | 2.69% | △11.69 | 74.11 |
시종면 | 48.96% | 2.22% | 44.19% | 1.09% | 2.54% | △4.77[6] | 70.27 |
도포면 | 52.26% | 2.33% | 39.93% | 1.85% | 2.12% | △12.33 | 74.04 |
군서면 | 50.10% | 1.15% | 43.46% | 0.96% | 3.34% | △6.64 | 78.04 |
서호면 | 43.63% | 2.15% | 50.08% | 0.58% | 2.81% | ▼6.45 | 72.20 |
학산면 | 47.82% | 2.54% | 43.60% | 1.14% | 3.68% | △4.22 | 80.92 |
미암면 | 53.12% | 2.68% | 39.23% | 1.26% | 2.60% | △13.89 | 72.43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격차 | |
거소 및 선상투표 | 54.60% | 5.75% | 25.29% | 5.75% | 4.02% | △29.31 | |
관외사전투표 | 59.52% | 2.48% | 27.40% | 3.26% | 6.82% | △32.12 | |
재외투표 | 63.73% | 1.96% | 29.41% | 0%[7] | 4.90% | △34.32 |
3.2.2. 제20대 대통령 선거
영암군 영암군 일원[영암] | ||
정당 |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득표수 | 31,909 | 4,092 |
득표율 | 86.27% | 11.06% |
순위 | 1위 | 2위 |
계 | 선거인 수 | 46,507 |
투표 수 | 37,333 | |
무효표 수 | 349 | |
투표율 | 80.27% |
제20대 대통령 선거 전라남도 영암군 개표 결과 | |||
정당 | | 격차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
득표수 (득표율) | 31,909 (86.27%) | 4,092 (11.06%) | 27,817 (▲75.32) |
영암읍 | 87.66% | 9.91% | ▲77.75 |
삼호읍 | 85.78% | 11.15% | ▲74.63 |
덕진면 | 88.93% | 8.93% | ▲80.00 |
금정면 | 87.42% | 9.94% | ▲77.48 |
신북면 | 90.44% | 7.91% | ▲82.53 |
시종면 | 89.64% | 8.58% | ▲81.06 |
도포면 | 89.65% | 8.50% | ▲81.15 |
군서면 | 87.00% | 10.58% | ▲76.42 |
서호면 | 86.10% | 11.51% | ▲74.59 |
학산면 | 85.89% | 11.01% | ▲74.88 |
미암면 | 86.46% | 10.85% | ▲75.61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
거소·선상투표 | 67.79% | 21.15% | ▲46.64 |
관외사전투표 | 82.53% | 14.72% | ▲67.81 |
국외부재자투표 | 67.12% | 27.40% | ▲39.72 |
국회의원 선거구별 | 이재명 | 윤석열 | 격차 |
영암군·무안군·신안군[9][A][11] | 87.80% | 9.87% | ▲77.93 |
3.2.3. 제21대 대통령 선거
영암군 영암군 일원[영암] | ||
정당 | | |
후보 | ○○○ | ○○○ |
득표수 | 0 | 0 |
득표율 | 00.00% | 00.00% |
순위 | ||
계 | 선거인 수 | |
투표 수 | ||
무효표 수 | ||
투표율 | 00.00% |
3.3. 총선
3.3.1. 영암군
3.3.2. 장흥군·영암군
3.3.3. 장흥군·강진군·영암군
3.3.4. 영암군·무안군·신안군
21대 총선 영암군 개표 결과 | |||||||
국회의원 선거 (영암군·무안군·신안군) | |||||||
정당 |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서삼석 | 이윤석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23,127 (78.81%) | 4,947 (16.85%) | + 18,180 (△61.96) | 30,009 (63.86%) | |||
영암읍 | 72.71% | 23.63% | △49.08 | 64.67% | |||
삼호읍 | 79.23% | 16.09% | △63.14 | 52.67% | |||
덕진면 | 80.92% | 15.53% | △65.39 | 65.87% | |||
금정면 | 83.46% | 11.77% | △71.70 | 65.74% | |||
신북면 | 83.95% | 13.19% | △70.76 | 65.42% | |||
시종면 | 80.70% | 16.17% | △64.53 | 60.45% | |||
도포면 | 80.97% | 15.75% | △65.22 | 63.98% | |||
군서면 | 76.12% | 19.45% | △56.67 | 67.84% | |||
서호면 | 75.98% | 19.06% | △56.92 | 66.58% | |||
학산면 | 76.31% | 20.08% | △56.23 | 72.04% | |||
미암면 | 79.56% | 16.14% | △63.41 | 63.01% | |||
후보 | 서삼석 | 이윤석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69.06% | 16.10% | △52.97 | ||||
관외사전투표 | 82.39% | 11.74% | △70.64 | ||||
재외투표 | 100% | 0% | △100 |
3.3.5. 비례대표
3.3.5.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미래한국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 (득표율) | 1,305 (4.56%) | 16,584 (58.02%) | 3,667 (12.82%) | 872 (3.05%) | 1,655 (5.79%) | + 12,917 (△45.19) | 30,016 (63.82%) |
영암읍 | 4.40% | 58.61% | 11.20% | 3.20% | 5.95% | △47.41 | 64.66% |
삼호읍 | 4.20% | 53.43% | 17.74% | 3.49% | 6.34% | △35.68 | 52.67% |
덕진면 | 4.72% | 65.62% | 8.14% | 2.41% | 3.11% | △55.88 | 65.87% |
금정면 | 5.93% | 58.63% | 9.49% | 2.46% | 5.38% | △49.13 | 69.15% |
신북면 | 2.94% | 67.76% | 7.21% | 2.45% | 4.80% | △59.32 | 65.42% |
시종면 | 3.73% | 65.43% | 8.57% | 2.47% | 3.95% | △55.55 | 60.45% |
도포면 | 3.23% | 63.86% | 10.54% | 1.95% | 4.42% | △53.32 | 63.98% |
군서면 | 5.26% | 59.64% | 11.61% | 2.46% | 4.57% | △48.03 | 67.84% |
서호면 | 7.12% | 57.07% | 13.10% | 3.70% | 3.22% | △43.97 | 66.58% |
학산면 | 4.76% | 56.80% | 14.29% | 2.07% | 5.28% | △46.56 | 72.00% |
미암면 | 4.90% | 60.37% | 13.77% | 2.35% | 3.67% | △51.51 | 63.01% |
정당 | [[미래한국당|]]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7.96% | 41.15% | 9.29% | 7.07% | 3.53% | △26.99 | |
관외사전투표 | 5.30% | 54.44% | 11.82% | 3.86% | 9.76% | △42.62 | |
재외투표 | 31.25% | 18.75% | 0% | 0% | 18.75% | ▼12.50 |
3.3.5.2.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 (득표율) | 11,803 (40.03%) | 1,851 (6.27%) | 440 (1.49%) | 12,191 (41.35%) | -388 (▼1.32) | 30,812 (66.51%) |
영암읍 | 38.18% | 6.58% | 1.21% | 45.09% | ▼6.91 | 68.04% |
삼호읍 | 38.82% | 6.50% | 1.59% | 41.84% | ▼3.02 | 53.34% |
덕진면 | 38.62% | 6.14% | 1.42% | 45.04% | ▼6.42 | 72.42% |
금정면 | 47.06% | 6.99% | 1.68% | 34.39% | △12.67 | 67.24% |
신북면 | 41.35% | 3.28% | 0.96% | 46.29% | ▼4.94 | 70.36% |
시종면 | 42.61% | 5.64% | 1.41% | 41.82% | △0.79 | 67.13% |
도포면 | 44.01% | 5.02% | 1.50% | 38.12% | △5.89 | 68.55% |
군서면 | 43.54% | 6.51% | 0.46% | 37.43% | △6.11 | 70.20% |
서호면 | 39.48% | 8.19% | 1.55% | 34.61% | △4.87 | 67.09% |
학산면 | 41.14% | 6.21% | 1.42% | 34.14% | △7.00 | 73.43% |
미암면 | 42.53% | 7.75% | 1.23% | 33.36% | △9.17 | 67.42% |
정당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38.06% | 10.45% | 2.99% | 26.12% | △11.94 | |
관외사전투표 | 37.71% | 6.28% | 2.27% | 45.03% | ▼7.32 | |
재외투표 | 31.91% | 19.15% | 2.13% | 36.17% | ▼4.26 |
[1] 2018.2.8. 의원직 상실(선거법 위반)[2] 2018.6.13 재보궐선거[영암] [4] 불과 41표 차이였다.[5] 단 4표 차이였다.[6] 불과 105표 차이였다.[7] 실제로 단 1표도 득표하지 못했다.[영암] [9] 영암군 일원, 무안군 일원, 신안군 일원.[A] 관외투표 제외.[11] 지역구 국회의원 :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초선).[영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