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4 18:07:41

무안군·신안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무안군/정치
#!if 문서명2 != null
, [[신안군/정치]]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 제19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목포 여수 갑 여수 을
박지원 김성곤 주승용 이정현
[[고흥군·보성군|
고흥·보성
]]
신정훈 우윤근 김승남 황주홍
김영록 이윤석 이개호
선거 결과
* 순천·곡성 김선동 의원직 상실 (2014.6.12.)
* 나주·화순 배기운 의원직 상실 (2014.6.12.)
* 담양·함평·영광·장성 이낙연 사퇴 (2014.5.15.)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폐지된 국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무안군·신안군
무안군, 신안군 일원
務安郡·新安郡
Muan-Sinan
}}}
<nopad> 파일:국회선거구 무안군·신안군.svg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99,128명 (2012)
상위 행정구역 전라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무안군 전역
무안읍, 일로읍, 삼향읍, 몽탄면, 청계면, 현경면, 망운면, 해제면, 운남면

신안군 전역
지도읍, 압해읍, 증도면, 임자면, 자은면, 비금면, 도초면, 흑산면, 하의면, 신의면, 장산면, 안좌면, 팔금면, 암태면
신설년도 2000년
이전 선거구 무안군, 목포시·신안군 을
폐지년도 2016년
이후 선거구 영암군·무안군·신안군


1. 개요

2000년 16대 총선을 앞두고 신설된 선거구로, 15대 총선까지 목포시와 같은 선거구를 이루고 있었던 신안군과 인구수 감소로 선거구 통폐합이 확정된 무안군을 합쳐 신설된 선거구이다. 이 선거구는 김대중의 측근이었던 한화갑, 김대중의 차남인 김홍업이 국회의원을 지냈던 선거구이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대수 당선인 당적 임기
16대 한화갑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17대 2004년 5월 30일 ~ 2006년 12월 22일[1]
김홍업

[[민주당(2005년)|
민주당
]]
2007년 4월 26일 - 2008년 5월 29일
18대 이윤석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19대

[[민주통합당|
민주통합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2.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무안군·신안군
무안군 일원, 신안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안희석(安熹石) 6,269 2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9.07% 낙선
2 한화갑(韓和甲) 61,459 1위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88.95% 당선
4 김재철(金在喆) 1,360 3위


1.96% 낙선
선거인 수 94,967 투표율
75.00%
투표 수 71,225
무효표 수 2,137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00aa7b><bgcolor=#00aa7b> 16대 총선 전남 무안군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한나라당 새천년민주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안희석 한화갑
득표수
(득표율)
4,695
(12.53%)
32,321
(86.25%)
-27,626
(▼73.72)
38,526
(72.85%)
무안읍 16.17% 82.71% ▼66.54 66.58
일로읍 5.76% 93.30% ▼87.54 73.33
삼향면 6.31% 92.01% ▼85.70 74.67
몽탄면 9.25% 89.60% ▼80.35 75.95
청계면 5.66% 93.46% ▼87.80 72.64
현경면 16.58% 82.13% ▼65.54 72.91
망운면 13.50% 85.64% ▼72.15 73.91
해제면 28.13% 70.85% ▼42.72 70.27
운남면 13.11% 85.61% ▼72.50 72.54
후보 안희석 한화갑 격차
부재자투표 12.59% 84.75% ▼39.53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00aa7b><bgcolor=#00aa7b> 16대 총선 전남 신안군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한나라당 새천년민주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안희석 한화갑
득표수
(득표율)
1,574
(4.98%)
29,138
(92.16%)
-27,564
(▼87.18)
32,699
(77.71%)
지도읍 4.30% 86.60% ▼77.50[2] 67.85
증도면 8.79% 90.16% ▼81.37 72.92
임자면 3.22% 94.24% ▼91.01 75.86
자은면 5.82% 92.00% ▼86.19 77.58
비금면 2.45% 96.33% ▼93.88 76.04
도초면 2.87% 95.37% ▼92.51 91.75
흑산면 3.47% 94.94% ▼91.47 84.90
하의면 2.71% 95.62% ▼92.90 77.78
신의면 6.63% 90.78% ▼84.16 82.11
장산면 6.48% 91.16% ▼84.67 76.83
안좌면 7.95% 89.25% ▼81.30 80.03
팔금면 4.22% 93.67% ▼89.45 88.57
암태면 10.47% 86.64% ▼76.17 74.08
압해면 5.32% 91.97% ▼86.65 75.28
후보 안희석 한화갑 격차
부재자투표 3.25% 94.80% ▼91.55

2.2.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무안군·신안군
무안군 일원, 신안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한화갑(韓和甲) 32,535 1위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57.52% 당선
3 김성철(金成喆) 22,403 2위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39.61% 낙선
4 김재철(金在喆) 1,616 3위


2.85% 낙선
선거인 수 90,147 투표율
64.49%
투표 수 58,134
무효표 수 1,580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00aa7b><bgcolor=#00aa7b> 17대 총선 전남 무안군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한화갑 김성철
득표수
(득표율)
16,506
(52.17%)
14,280
(45.14%)
+ 2,226
(△7.04)
32,437
(64.90%)
무안읍 41.56% 56.35% ▼14.79 63.42
일로읍 53.43% 43.88% △9.56 63.13
삼향면 58.42% 39.25% △19.16 61.47
몽탄면 63.27% 34.34% △28.94 71.52
청계면 53.03% 44.12% △8.92 62.77
현경면 47.89% 49.50% ▼1.61[3] 61.43
망운면 46.29% 51.00% ▼4.71[4] 66.32
해제면 56.19% 40.88% △15.31 60.60
운남면 58.67% 38.97% △19.71 68.53
후보 한화갑 김성철 격차
부재자투표 46.25% 48.70% ▼2.45[5]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00aa7b><bgcolor=#00aa7b> 17대 총선 전남 신안군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한화갑 김성철
득표수
(득표율)
16,029
(64.33%)
8,123
(32.60%)
+ 7,906
(△31.73)
25,697
(63.98%)
지도읍 61.94% 32.85% △29.09 58.02
증도면 72.32% 25.99% △46.33 62.30
임자면 61.25% 36.93% △24.32 54.82
자은면 54.25% 41.98% △12.26 68.27
비금면 78.14% 19.46% △58.67 63.35
도초면 80.63% 16.80% △63.83 65.99
흑산면 56.96% 40.04% △16.92 62.86
하의면 70.29% 26.26% △44.03 66.63
신의면 61.15% 35.08% △26.07 65.43
장산면 57.47% 39.35% △18.13 68.36
안좌면 65.57% 31.42% △34.15 66.60
팔금면 62.12% 35.92% △26.20 70.16
암태면 54.61% 41.96% △12.65 65.31
압해면 62.24% 35.06% △27.18 61.16
후보 한화갑 김성철 격차
부재자투표 64.45% 32.75% △31.71


2.3. 2007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무안군·신안군
무안군 일원, 신안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강성만(姜聲晩) 5,748 3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11.90% 낙선
3 김홍업(金弘業) 24,053 1위


[[민주당(2005년)|
민주당
]]
49.70% 당선
6 강성현(姜聲顯) 1,423 4위


2.92% 낙선
7 박세준(朴世俊) 1,413 5위


2.90% 낙선
8 서용석(徐庸碩) 678 6위


1.78% 낙선
9 유경일 394 7위


0.80% 낙선
10 이재현(李栽賢) 14,681 2위


30.30% 낙선
선거인 수 90,174 투표율
53.84%
투표 수 48,554
무효표 수 164
전임자인 민주당한화갑이 의원직을 상실하여 공석이 되었다. 투표 결과 김대중의 전 대통령의 차남인 김홍업이 당선되었다.

2.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무안군·신안군
무안군 일원, 신안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황호순(黃好淳) 15,378 3위


[[통합민주당(2008년)|
통합민주당
]]
29.32% 낙선
2 고기원(高奇源) 2,652 4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5.05% 낙선
6 서성종(徐成鍾) 1,483 5위


[[평화통일가정당|
평화통일가정당
]]
2.82% 낙선
7 강성현(姜聲顯) 880 6위


1.67% 낙선
8 김홍업(金弘業) 15,849 2위


30.22% 낙선
9 이윤석(李潤錫) 16,200 1위


30.89% 당선
선거인 수 91,992 투표율
58.05%
투표 수 53,400
무효표 수 958
현역 김홍업 의원이 과거 이용호 게이트에 연루된 탓에 통합민주당 공천에서 컷오프되면서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했고[6], 대신 공천을 받은 서울시의원 출신의 황호순 후보와 김 의원 간의 2파전이 예상되었지만 개표 결과 역시 민주당을 탈당했지만 주목도가 다소 떨어졌던 전라남도의회 의장 출신의 무소속 이윤석 후보가 근소한 차이로 두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2.5.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무안군·신안군
무안군 일원, 신안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이윤석(李潤錫) 37,477 1위


[[민주통합당|
민주통합당
]]
64.38% 당선
6 한화갑(韓和甲) 20,729 2위


35.61% 낙선
선거인 수 99,128 투표율
60.68%
투표 수 60,149
무효표 수 1,943
현역 의원인 이윤석이 동교동계 중진 한화갑[7]을 꺾고 당선되었다.
[1] 2006년 12월 22일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형을 받아 의원직 상실[2] 지역구 2위는 민주국민당 김재철 후보(298표, 9.10%)였다.[3] 불과 52표 차이였다.[4] 불과 73표 차이였다.[5] 불과 46표 차이였다.[6] 당시 통합민주당 측에서는 전과가 있는 후보들을 공천에서 배제했다.[7] 당시 평화민주당이라는 군소정당 대표였으나 탈당하였다. 한편 평화민주당의 남은 인원들은 또다른 군소정당인 국민행복당과 통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