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디젤 | ||||
| 01~99 | 43H, 59, 68, 70 | ||||
| 100~199 | 142, 155, | ||||
| 200~299 | 220H, 221H, 222H | ||||
| 전기 | |||||
| 01~99 | 91H | ||||
| 300~399 | 319, 321, 331, | ||||
| 400~499 | 455, 465, | ||||
| 700~799 | 700, 707, 717, 730, 745, 755, 756 | ||||
| 800~899 | 800H, 801H, 802H, 803H, 805H, 807H, 810H | ||||
| 기타 | |||||
| H:고속열차 | }}}}}}}}} | ||||
영국의 기관차. 형식번호가 한 번 부여된 적이 있어서, 신 70형과 구 70형으로 나뉘어 있다.
1. 디젤 기관차
GE에서 제작한 70형 디젤 전기 기관차. 현재도 영업운전중이다.GE 파워홀 문서 참조.
2. 전기 기관차
Southern Railway Class CC ElectricsBritish Rail Class 70
위> 정면 (20001호)
아래> 측면 (20002호)
영국의 서던 철도에서 프로토타입으로 단 2량 제작하여 영업운전에 사용했던 전기 기관차. 2차대전 종전 직후, 국철로 통합되기 전의 짧은 기간 동안 제3궤조 집전식 전기 기관차의 기술개발 및 차량 디자인 확인을 위해 제작되었다. 전두부가 마치 일본에서 60~70년대에 찍어낸 통근형 전동차를 닮았다.[1]
이후 영국국유철도로 통합되고 나서 역시 시제차로 쓰기 위해 70형 1량을 더 만들었는데, 이쪽은 원조 70형과는 차량 길이도 다르고 이런저런 개조가 되어서 완전히 같은 물건이라고 보기엔 좀 무리가 있다. 3량 모두 60년대가 가기 전에 영업운전에서 제외되고 전량 폐차. 사진도 많이 남아있지 않다.
3. 관련 문서
[1] 한국의 비둘기호,초저항을 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