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2:45:36

영감

1.
1.1. 세타 히나코의 만화
2.
2.1. 영감 목록

1.

  • 신령스러운 예감이나 느낌. 영혼에 대한 감각이나 초자연적인 감각을 뜻한다.
  • 갑자기 떠오른 뭔가 기발한 생각. 뭔가를 창작하는 계기로 이어진다. 에디슨 曰, 천재는 1%의 영감과 99%의 노력으로 이루어진다고 한다.

1.1. 세타 히나코의 만화

영감! 문서로.

2.

왕족 또는 귀족에 대한 경칭 (서열순)
폐하(陛下) / 성하(聖下) 전하(殿下) / 예하(猊下) 저하(邸下) / 은하(恩下) 합하(閤下) / 각하(閣下)
대하(臺下) / 절하(節下) 궤하(机下) / 안하(案下) 좌하(座下) / 귀하(貴下) 족하(足下)
조선의 용어 (서열순)
마마(媽媽) 마노라(抹樓下) 자가(自家) 대감(大監)
영감(令監) 원님(員님) 나리(進賜) 선생(先生)

나이 많은 남자를 부르는 말. 혹은 나이 든 여성이 자신의 남편을 부르는 말이다. 경기도, 영남, 호남 방언에서는 대신에 모음을 써서 발음하여 1번 항목과 구분한다.

令과 監은 명령하다, 살피다 라는 뜻으로 오래전부터 관직명에 자주 들어가는 한자였기 때문에 예전부터 고관을 칭할 때 쓰인 것으로 추측된다. "영감"이라는 말로 확실히 굳어진 것은 조선 시대인데, 종2품/정3품 당상관을 영감이라 불렀다.[1]

참고로 상감(上監) 마마 > 대감(大監) 마님 > 영감(令監) 마님 > 현감(縣監) 나리 순이다.[2]

이런 관습이 일제강점기에도 이어져 법관이나 고위 공무원들을 영감이라 부르던 것이 점차 명망 있는 인사를 가리키는 것으로 변했다. 또한 조선에서는 나이 많은 노인에게는 허함(虛銜)을 주었는데, 쉽게 말해 명예직을 주고, 녹봉 형태로 생계비를 나라에서 지원해 준 것. 환갑이 넘어갈 무렵이면 첨지라고 하여 종9품에 해당하는 명예관직을 주었고 70살쯤 넘어가면 정3품 당상관에 해당하는 품계를 주었다고 한다. 백정을 비롯한 천민의 경우에도 규정상으로는 신분을 올려주고 나라에서 녹봉을 주었다. 장수한 노인이 많다는 건 그만큼 임금이 정치를 잘 했기 때문이라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나이 많은 남자에 대한 존칭으로도 쓰이다가, 점차 격의 없는 호칭으로 변하여 요즘과 같이 쓰이게 되었다. 지배계급에 대한 호칭이 일반인에 대한 격의 없는 호칭으로 변했다는 점이 양반이나 마누라와 비슷하다.

판사검사의 경우, 과거에는 공공연하게 관할지역 내에서 일하는 경찰서형사들에게 영감님이라고 불렸으나[3] 법원에서 공식적으로 쓰지 말라는 권고가 내려왔다고 한다. 지금은 뒷세계에서 특정 검사를 높여부르는 은어 비슷한 정도로 남아있다.

국회에 있는 각 국회의원 사무실의 보좌관, 비서들이 자기가 수행하는 국회의원을 영감님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군대에서는 아직도 장성급 장교를 보좌하는 당번병이나 운전병들이 자기가 보좌하는 장성들을 가리키는 은어로 자주 쓴다.[4] 이게 일선 부대에 내려오며 남용이 되어 연대장, 대대장 등 영관급 장교들까지 영감이라는 소리를 듣기도 한다.

한국 사극 중에서 일부는 해괴하게도 동일 관직에 있는 동일인물에게도 옷을 뭘로 입느냐로 호칭이 달라지는데 관복을 입으면 영감, 갑옷을 입으면 장군이다[5].

미국 남부의 몇몇 주에도 대령을 뜻하는 Colonel(커널)이라는 단어가 우리말 '영감'의 변천사와 비슷하게 명예관직처럼 쓰이는 경우가 있다. 가장 유명한 예가 KFC의 창시자 할랜드 샌더스로, 켄터키 주방위군의 명예 대령으로 임명되었다.

2.1. 영감 목록



[1] 문관의 경우 통정대부 이상, 무관의 경우 절충장군 이상(현재의 한국군으로 치면 장성급 장교)을 말한다. 오늘날로 따지면 차관/1~2급이니 상당한 고위 관료다. 복식 및 퇴직 그리고 유배 등과 관련되어서도 엄청난 특권이 주어졌다.[2] 정3품 상계 이상의 당상관은 마님이라 불렸으며, 정3품 하계 이하의 당하관은 나으리(進賜)라고 불렸다. 이 당시만 해도 음독과 훈독이 나뉘어 있었는데, 나아갈 진(進)에 줄 사(賜)를 써서 나으리 라고 훈독했다.[3] 심지어 사법시험을 20살에 패스해서 사법연수원을 마치면 20대 초반이라도 영감님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실제로 문재인 전 대통령이 경희대 졸업 직후인 1980년 5월 17일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의 여파로 체포됐고 구치소 생활을 하던 도중 제22회 사법시험 2차 시험에서 합격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구치소 직원과 경찰서 형사는 물론 심지어 안기부 요원까지 예비 사법연수원생 문재인을 향해 머리를 조아리며 "영감님~"이라고 불렀다고 한다.[4] 여기까지 반영한 표현은 아니겠으나 조선시대로 치면 장성급 장교 중 대장은 정2품, 중장은 종2품, 소장~준장은 정3품에 해당하는 자리로 조선시대였으면 영감이라 불릴만 한 자리이긴 하다.[5] 당연히 고증 오류. 이런 오류가 나오는 작품의 예를 들면 불멸의 이순신에서는 임진왜란 전까지 이순신을 영감이라고 잘 부르더니 임진왜란 이후로는 장군이라는 호칭만 쓰였다. 더 이전 작품이지만 한국 사극사상 최고의 명작인 용의 눈물은 한 술 더 떠서, 조사의의 난을 진압하러 출정한 조영무는 자신을 영감이라고 부르자 군지휘관으로서 출정했다는 이유로 장군이라고 부르라고 꾸짖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