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5 01:48:12

연산제2센텀선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부산 도시철도 4호선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동남권 전철 노선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부산김해경전철 동해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미개통 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건설 중
1
계획 중
2
5호선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추진 중
3
강서선
동남권순환 광역철도
1 실착공 상태
2 기본 계획 승인: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통과 또는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법적 착공 포함
3 기본 계획 미승인 및 예비타당성조사 평가 중 혹은 ‘타당성 없음’ 판정
회색: 노선 색상 미확정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8181d><tablebgcolor=#fff,#18181d> 파일:Busan4.svg연산제2센텀선
蓮山第二센텀線
Yeonsan-The 2nd Centum Line
}}} ||
파일:DSC_6266.png
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연산제2센텀선노선도.png
노선 정보
분류 도시철도
기점 연산역
종점 석대역
역 수 11개
개업일 미정
소유자 부산광역시
운영기관 부산교통공사
사용차량 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차량기지 안평차량사업소
노선 제원
노선연장 8.03㎞
궤간 1,700㎜ 콘크리트 광궤[1]
선로구성 단선
사용전류 직류 750V 제3궤조집전식
신호방식 Kyosan Signal ATP/ATO
선로최고속도 미정
개통예정 미정. 연산석대

1. 개요2. 경과3. 기대 효과4. 여담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의 지선 계획[2]으로 센텀2지구가 조성될 석대역에서 부산원동역을 지나 연산역으로 향하는 단선 경전철 노선이다. 주민들과 지역언론에서는 짧게 줄여 '연산선'이라고도 부른다.#

2. 경과

  • 2025년 5월 7일: 제2차 부산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 포함(7순위)#
파일:연산제2센텀선2025년공청회노선도.png
공청회 노선도
파일:도시철도연산제2센텀선조감도석대역구간.jpg 파일:도시철도연산제2센텀선조감도원동역구간.jpg
석대역 구간[3] 원동역 구간
파일:도시철도연산제2센텀선조감도안락교구간.jpg 파일:도시철도연산제2센텀선조감도수영강구간.jpg
안락교 구간 수영강 구간

3. 기대 효과

  • 현재, 센텀2지구가 조성될 석대역 부근에서 이용가능한 도시철도가 4호선 본선밖에 없으며, 4호선 이용 시 미남역에서 애매하게 끊기는 바람에 부산 시내로의 접근을 위해 1호선이나 3호선으로 환승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연산역으로 이어져도 서면 등 도심으로 가려면 환승이 필요하나 동래역에서 환승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서면으로 갈 수 있다.[4]
  • 노선 계획이 실현된다면 부산광역시의 대표적 도시철도 음영지역인 토곡에서도 도시철도를 이용할 수 있다.
  • 현 4호선 본선은 동해선과 직접환승이 지원되지 않으나, 센텀지선을 통해 부산원동역과 환승이 될 예정이다.[5]

4. 여담

  • 2025년 공청회와 함께 공개된 조감도에 따르면 안락교, 부산원동역[6], 수영강, 석대역[7] 구간이 양산 도시철도에 이은 두 번째 전 구간[8] 단선 및 전 구간 고가 노선으로 보여진다. 다만 정거장(역) 부분은 교행 및 방향 구분을 위해 복선으로 지어질 것이다.

[1] 도시철도건설규칙(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해진 고무차륜 경전철의 궤간이다.[2] 부산광역시 공개 조감도 참고[3] 본 조감도에서 4호선의 분기선이 보인다.[4] 부산2호선과 연계되지 않는다는 점이 아쉬운 점. 물론 4호선 본선이 서면역으로 연장된다면 해결되겠지만, 사직동 구간 노선 설계가 어려워 부산시에서는 추진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5] 다만 현재도 낙민역에서 동래역으로 간접 환승이 가능하며, 추후 기장선 연장을 통해 기장역에서 직접 환승이 될 예정이다.[6] 조감도 상 특이점으로 상대식 승강장 끼리 옆으로 붙는 대저역과 같은 방식을 보인다.[7] 조감도 상 4호선에 합류하여 석대역과 승강장을 공유한다.[8] 4호선 본선과 직결되면 실질적으로 전 구간 단선은 아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