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21:27:25

여고추리반3

여추반3에서 넘어옴


파일:여고추리반 타이틀 로고.png
{{{#!folding [ 시리즈 ]
{{{#!folding [ 추리러 ]
{{{#!folding [ 방영 목록 ]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px"
파일:P001754831.webp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fffff {{{#!folding [ 출연 멤버 ]
{{{#!wiki style="margin: 0 -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여고추리반3 학생증 박지윤.png
파일:여고추리반3 학생증 장도연.png
파일:여고추리반3 학생증 재재.png
파일:여고추리반3 학생증 비비.png
파일:여고추리반3 학생증 최예나.png
}}}}}}}}}}}}
{{{#!folding [ 방영 목록 ]
{{{#!folding [ 관련 문서 ]
}}} ||
<colbgcolor=#005000><colcolor=#fff> 파일:TVING 로고 화이트.svg 오리지널
여고추리반3 (2024)
High School Mystery Club 3
파일:여고추리반3 메인 포스터 V2.jpg
장르 미스터리, 어드벤처, 추리물
제작사 CJ ENM
방송사 파일:TVING 로고.svg
방송 기간 2024년 4월 26일 ~ 2024년 6월 7일
방송 시간 금요일 오후 12시
방송 횟수 9부작[1][2]
연출 임수정, 김아림, 공연희
출연 박지윤, 장도연, 재재, 비비, 최예나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대사)
링크 파일:TVING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VIN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DTCU[활동중단]

1. 개요2. 출연진3. 포스터
3.1. 캐릭터 포스터
4. 방영 전5. 방영 목록
5.1. 0화5.2. 쿠키영상
6. 등장인물7. 세계관 구현8. 평가9. 여담10. 둘러보기 틀

[clearfix]

1. 개요

무서운 저주가 떠도는 학교로 전학 간 추리반 학생들이 학교에 숨겨진 진실에
다가갈수록 더욱더 거대한 사건을 마주하면서 벌어지는 미스터리 어드벤처
추리의 활시위는 당겨졌다!

TVING의 미스터리 어드벤처 웹예능.

==# 방영 전 정보 #==
  • 연출진이었던 정종연이 2022년 4월 14일 tvN 퇴사 의사를 밝히고 결국 8월에 퇴사해서 향후 시즌3 제작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일단 정종연은 프리랜서 형식으로 계속 제작에 참여하겠다고 협의를 했기 때문에 조만간 다시 볼 수 있을 것 같다고 밝히기는 했으나 결국 모든 것은 CJ ENM의 의사에 달렸다.
  • 여고추리반 3의 제작에 관해서 두시의 데이트 도전 천 명 코너에 여추반 작가와 피디가 깜짝 등장해서 "여고추리반 3는 현재 제작 준비 중이며 회의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 2022년 11월 9일 유튜브 TEO 채널에서 진행한 라이브 방송에서 "여고추리반은 지금 제작하고 있는 데블스 플랜이 마무리 되면 다음 시즌을 제작할 예정이다." 라고 밝혔다. # "티빙에서도 여고추리반을 중요하게 생각하는만큼 다음 시즌이 반드시 제작은 되겠지만 제작자가 정종연 PD가 아닐 수도 있다." 라는 말도 남겼다. # 그리고 12월 12일 CJ ENM도 '2023년 티빙 오리지널 라인업 공개'를 통해 시즌 3 제작을 공식 발표했다. #
  • 안타깝게도 정종연 PD는 시즌 3 연출에서는 만날 수 없다. TEO로 이적했기 때문.# 하지만 여고추리반 시리즈를 함께했으며 정종연PD의 사이드킥으로 유명했던 동료 임수정 PD가 연출을 맡아 앞선 시리즈의 기조를 그대로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티빙은 2024년 공개예정 작품들을 발표했는데 리스트업된 여고추리반3 역시 2024년 상반기에는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여고추리반3은 2024년 4월 26일에 공개된다.[4]

2. 출연진

파일:여고추리반3 학생증 박지윤.png
파일:여고추리반3 학생증 장도연.png
파일:여고추리반3 학생증 재재.png
파일:여고추리반3 학생증 비비.png
파일:여고추리반3 학생증 최예나.png
<rowcolor=#c8b4a2> 박지윤 장도연 재재 비비 최예나

3. 포스터

파일:여고추리반3 메인 포스터.jpg
파일:여고추리반3 메인 포스터 V2.jpg
<rowcolor=#fff> ▲ 티저 포스터 ▲ 메인 포스터

3.1. 캐릭터 포스터

파일:여고추리반3 박지윤 캐릭터 포스터.jpg
파일:여고추리반3 장도연 캐릭터 포스터.jpg
파일:여고추리반3 재재 캐릭터 포스터.jpg
파일:여고추리반3 비비 캐릭터 포스터.jpg
파일:여고추리반3 최예나 캐릭터 포스터.jpg
진실이 어둠을 밝혀줄 거야
박지윤
반드시 저주를 풀고 말겠어
장도연
단서 하나도 놓칠 수 없어
재재
우리 말고는 그 누구도 믿지 마
비비
우리가 함께라면 무섭지 않아
최예나

4. 방영 전

추리반 전학 인사
티저 예고
메인 예고
4분 하이라이트
캐릭터 스포일러

5. 방영 목록

여고추리반3 방영 목록
1화 2화 3화 4화
5화 6화 7화 8화

5.1. 0화

0화

5.2. 쿠키영상

6.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여고추리반3/송화여자고등학교/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세계관 구현

<rowcolor=#fff> 이름 플랫폼 링크
문방구 ZEP 링크
이슬비 인스타그램 인스타그램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이슬비 비밀일기장 롤링페이퍼 링크
  • 문방구 접속 비밀번호는 '삼교천', 기록실 비밀번호는 '해드립니다' 이다.
  • 이슬비의 비밀일기장은 현재는 촬영 당시의 흔적보다 시청자들의 흔적이 압도적으로 많으므로 단서 복습이 필요한거라면 차라리 방송을 확인하는 게 좋다.

8. 평가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
)]
  • 이전 시즌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정종연 PD의 CJ ENM 퇴사 후 첫 시즌. 시즌 1부터 함께해온 임수정 PD가 연출하였지만 세계관의 아버지나 다름없는 정종연 PD의 부재가 어떻게 다가올지 평가가 크게 이루어질 듯 하다.
  • 그리고 예상대로 정종연 PD의 부재가 크게 다가왔다는 평이다. 이번 시즌의 경우 주요 떡밥들이 상당히 지지부진하게 풀리고 있었고 최종화 시점까지도 풀리지 않은 떡밥이 잔뜩 남아있었는데, 이를 대부분 깔끔히 정리하고 쿠키 영상에 추가 반전까지 집어넣던 정종연 PD 때와 달리 이번 시즌에서는 끝내 개연성에 문제가 생기며 클라이맥스인 8화가 여러모로 급하게 마무리된 듯한 인상을 주면서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특히 마지막 대규모 브리핑에서 모든 내용이 까발려지는 와중에도 아무런 반응 없이 그저 다 듣기만 하는 최종 빌런의 행동이 너무나도 작위적이고 편의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5] 살인까지 저지를 만큼 아끼던 목걸이[6][7]를 체포되는 순간에 갑자기 욱해서 추리반에게 집어던지며 마지막 퍼즐에 대한 답을 대놓고 떠먹여주는 행위는 이런 작위적 전개의 정점을 찍었다는 평이다. 사실상 마지막의 마지막에 등장한 초대형 떡밥이 아니었다면 명백히 용두사미라는 얘기를 들어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미회수 떡밥(황미나와 차수열의 죽음 및 실종에도 불구하고 그 어떤 반응도 보이지 않는 가족 및 교직원들[8], 강부영의 목걸이를 윤세미의 것이라며 추리반에게서 회수한 김산문의 실체[9], 6회 비밀 실험실에 들어왔던 의문의 남성의 정체[10], 내내 잠겨있었던 옥상 등[11])이 차고 넘쳤다. 사건의 스케일은 키웠지만 스토리의 내실은 이전만 못했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9. 여담

  • 2023년 10월, 정종연 PD가 시즌 2를 끝으로 하차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시즌 2가 정종연 PD의 여고추리반 시리즈의 마지막 연출이었다.[12] 팬들은 정종연 PD가 하차함으로써 아쉬움을 크게 드러내고 퀄리티나 세계관 유지가 가능한지에 대해 불안감을 드러내고 있다. 다만 새 제작진은 기존 정종연 사단이 어느 정도 유지된 상태로 시즌 1부터 함께한 임수정 PD를 중심으로 새로 추려질 예정이다. 정종연 PD와 오랜 기간 공동 연출로 합을 맞춰온 임수정 PD가 주축인 만큼 정종연 PD가 하차했더라도 어느 정도 정종연 PD의 퀄리티나 세계관 유지 등의 분위기는 비슷할 것으로 보이며, 정종연 PD 역시 알게 모르게 작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정종연 PD는 기록실에서 이사장 정종현이라는 이름으로 패러디되어 나왔다.
  • 전 시즌들과는 다르게 학번이 나이순이 아니고 이름순이다. 정확하게는 실명이 아닌 예명순인데, 만일 실명순으로 학번을 받았을 경우 2116 김형서, 2117 박지윤, 2118 이은재, 2119 장도연, 2120 최예나가 된다.
  • 시즌 3의 송화여자고등학교 교복은 감성교복의 협찬이다. 앞 문단의 0화 영상에서도 유료 광고 안내가 떴고, 회차 마지막마다 나오는 크레딧에서도 제작지원에 감성교복이 나온다.
  • 작중 등장하는 메타버스 '문방구'는 실제로 접속할 수 있다. 링크 및 비밀번호는 위 '세계관 구현' 문단 참고. 6화 방송 전에도 메타버스 기록실은 진입할 수 있었지만 정작 들어가면 문제를 풀어야 하는데 메타버스 안에서 주는 힌트만으로는 풀 수 없으며[13] 현실의 송화여고 기록실에서 추가 힌트를 얻어야 한다. 참고로 문제를 풀지 못하면 나갈 수 없는데 그냥 페이지 뒤로가기를 하면 복도로 나갈 수 있다. 현실의 송화여고 기록실 진입 및 메타버스 기록실을 접속하는 모습은 6화 참고. 여담으로 메타버스의 기반인 ZEP 또한 시즌3의 제작지원사다. 8화 공개 이후로 체육관에 스태프 전용 공간이 생겼으며, 암호는 불명.
  • 비정기적으로 티빙 유튜브 채널에 비하인드나 촬영할 때 쓰인 영상(송화의 역사, 해드립니다 풀버전)이 올라오고 있다. DTCU 유튜브 채널이 활동할 수 있었다면 아마 해당 채널에 올라왔을 것인데, DTCU 브랜드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라도 있는지 TVING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되고 있다.

10. 둘러보기 틀

{{{#!wiki style="color: #ff143c;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21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분류 제목 출연진 방송 분량
예능 <colbgcolor=#FFEDF1,#412f34> 여고추리반 박지윤, 장도연, 재재, 비비, 최예나
시즌1
16부
백종원의 사계 - 이 계절 뭐 먹지 백종원
8부
여름
8부
가을
9부
겨울
7부
유명가수전 히든트랙 이승윤, 정홍일, 이무진 12부
신서유기 스페셜 스프링 캠프 강호동, 이수근, 은지원, 안재현, 규현, 송민호, 피오 16부
아이돌 받아쓰기 대회 입짧은햇님, , 은혁, 이진호, 재재, 라비, 카이, 이미주, 이장준, 부승관, 최예나, 리노
시즌1
10부
시즌2
18부
환승연애 사이먼 도미닉, 이용진, 김예원, 유라
시즌1
15부
골신강림 강호동, 신동엽, 이수근, 임진한 12부
가상세계지만 스타가 되고 싶어 권혁수, 엠쌉, 차훈, 데블카우, 이온, 선우연, 민휘빈 5부
러브캐처 인 서울 손호준, 장도연, 써니, 로꼬, 미연 8부
술꾼도시여자들 뒤풀이 이선빈, 한선화, 정은지, 최시원 2부
영화 서복 공유, 박보검, 조우진 114분
샤크: 더 비기닝 김민석, 위하준, 정원창 108분
미드나이트 진기주, 위하준, 박훈, 길해연, 김혜윤 103분
해피 뉴 이어 한지민, 이동욱, 강하늘, 임윤아, 원진아, 이혜영, 정진영, 김영광, 서강준, 이광수, 고성희, 이진욱, 조준영, 원지안 138분
시트콤 이머전시 양동근, 마미손, 카더가든, 뱃사공, 김희정, 오메가사피엔, 주호, 유키카 11부
다큐멘터리 이종건 비평가의 건축학개론 이종건 5부
애니메이션 신비아파트 특별판: 빛의 뱀파이어와 어둠의 아이 김명준, 이현, 신용우, 최승훈, 조현정, 박시윤, 김기현, 권혁수, 전태열, 박이서, 김영은, 김채하 55분
}}} }}} }}}||
{{{#!wiki style="color: #ff143c;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22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분류 제목 출연진 방송 분량
예능 <colbgcolor=#FFEDF1,#412f34> 여고추리반2 박지윤, 장도연, 재재, 비비, 최예나
시즌2
8부
ALIVE 김정은, 이승철, 울랄라세션, 빅마마, 스윗소로우, 김나영, 휘인, 멜로망스 4부
서울체크인 이효리
파일럿
1부
시즌1
11부
전체관람가+: 숏버스터 윤종신, 문소리, 노홍철, 곽경택, 김곡, 김선, 윤성호, 김초희, 홍석재, 류덕환, 조현철, 주동민 17부
결혼과 이혼 사이 김구라, 그리, 김이나, 이석훈, 김민정
시즌1
8부
제로섬게임 장성규, 한혜진, 이이경, 우기 12부
마녀사냥 2022 신동엽, 김이나, 코드 쿤스트, BIBI
시즌1
8부
청춘MT 박보검, 김유정, 진영, 채수빈, 곽동연
박서준, 안보현, 권나라, 류경수, 이주영
지창욱, 최성은, 황인엽, 지혜원, 김보윤
8부
환승연애 2 사이먼 도미닉, 이용진, 김예원, 유라, 뱀뱀
시즌2
20부
러브캐처 인 발리 전현무, 장도연, 주우재, 가비, 김요한 8부
보물찾기 강대형, 강승민, 강한, 교주, 김스테파니헤리, 김유정국, 김정균, 김태용, 나가이 마오, 덕자, 맹민호, 바이퍼, 송영재, 오현민, 유비, 윤수빈, 이하니, 임현서, 장지수, 전국진, 조니 쿼니, 챔보, 최용준, 최유솔 8부
다큐멘터리 푸드 크로니클 이욱정 9부
}}} }}} }}}||
{{{#!wiki style="color: #ff143c;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23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분류 제목 출연진 방송 분량
예능 <colbgcolor=#FFEDF1,#412f34> 두발로 티켓팅 하정우, 주지훈, 민호, 여진구 8부
만찢남 이말년, 주호민, 기안84, 주우재 8부
웹툰싱어 민호, 유세윤, 장도연, 한해, 엄지윤, 최예나, 조나단 8부
더 타임 호텔 홍진호, 황제성, 존박, 모니카, 래원, 신지연, 김남희, 김현규, 클로이, 주언규 10부
더 디저트 김현종, 홍시현, 박지오, 이승준, 안수경, 김명준, 강초롱, 최예나, 이민석, 하민재 8부
결혼과 이혼 사이2 김구라, 김이나, 이석훈, 그리
시즌2
10부
마녀사냥 2023 신동엽, 김이나, 코드 쿤스트, 주우재, 이미주
시즌2
8부
브로 앤 마블 이승기, 유연석, 규현, 지석진, 이동휘, 조세호, 조슈아, 호시 8부
소년 소녀 연애하다 재재, 문상훈, 권정열, 최유정 10부
환승연애 3 사이먼 도미닉, 이용진, 김예원, 유라
시즌3
20부
다큐멘터리 케이팝 제너레이션 강타, 이특, 민호, 2PM, 하이라이트, 수호
파트1
4부
파트2
4부
아워게임 : LG트윈스 LG트윈스 선수단 및 프론트, 하정우 8부
애니메이션 신비아파트 특별판: 조선퇴마실록 김영은, 김채하, 조현정, 양정화, 신용우, 남도형, 방연지, 장광, 김기흥, 손종환, 김동현 4부
}}} }}} }}}||
{{{#!wiki style="color: #ff143c;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24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분류 제목 출연진 방송 분량
예능 <colbgcolor=#FFEDF1,#412f34> 크라임씬 리턴즈 장진, 박지윤, 장동민, , 주현영, 안유진 10부
여고추리반3 박지윤, 장도연, 재재, 비비, 최예나 8부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공개 예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분류 제목 출연진 방송 분량
애니메이션 <colbgcolor=#FFEDF1,#412f34> 구미호뎐: 연의 시작 - -
나노리스트 - 12부
테러맨 - -
}}} }}} }}}||





[1] 한주에 한 회차씩 공개된다. 5월 10일에는 예외적으로 3, 4화를 동시 공개했으며, 8화의 경우 오후 12시에 TVING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선 송출 후 스트리밍이 완료되고 나서 VOD가 업로드 되었다.[2] 본 에피소드는 8부작이고 9화 같은 경우는 대탈출 시리즈와 동일하게 코멘터리 회차이다.[활동중단] 시즌 3 관련 업로드 활동 없음[4] 비비가 인스타라이브에서 언급하였다.[5] 특히 추리반이 자신들의 비밀을 파고들고 있고 어느 정도의 선까지 접근했음을 파악했음에도 추리반에 대해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았다.[6] 심지어 그냥 목걸이도 아니고 비밀 실험실의 시스템 컨트롤 키다.[7] 사실 이 목걸이가 선우경이 강부영을 토사구팽하기 위해 마련한 함정이었다는 설이 있다. 강부영이 바토리 데이터베이스 삭제 명령을 내리는 장면을 잘 보면 펜던트와 목걸이 줄을 분리하는 것이 삭제의 트리거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사실 펜던트의 쇠장식 부분을 제어판에 삽입해 데이터 삭제를 멈출 수 있는 기능이 있었으나 펜던트를 비롯한 바토리 시스템을 최초로 만들어낸 선우경이 강부영에게 목걸이를 건넬 당시 이 사실만은 말해주지 않았고, 결국 강부영은 목걸이 줄을 분리하자마자 목걸이는 더 이상의 쓸모를 잃었다고 판단하고 집어던져 버리면서 선우경의 의도대로 추리러들이 데이터베이스 삭제를 막을 수 있게 만들면서 빼도박도 못하고 독박을 쓰게 되었다는 것이다.[8] 특히 정체불명의 인부들에게 끌려가 실종된 차수열의 경우 줄곧 CCTV를 보던 이종대와 함께 남은 떡밥이 더 있음을 Q&A에서 암시했으며, 추후에 풀어내고 싶다고 밝혔다.[9] 다만 김산문이 정말 무관계자일 경우 윤세미의 목걸이 분실이라는 키워드는 1화 등교 부분에서부터 등장했기에 김산문이 윤세미의 목걸이로 알고 있었다고 해도 스토리 전개상 틀린 것은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 김산문이 추리반이 목걸이를 가지고 있다고 제보받은 부분과, 회수한 목걸이가 도대체 어떠한 과정을 통해 강부영의 목에 걸려있었는지가 더 큰 의문점이 된다. 8화 방송 이후 Q&A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강부영이 윤세미의 학부모인 입장으로서 김산문에게 세미의 목걸이를 받아간 것이라고 한다. 추리반으로 범인을 특정한 건도 사건 전날 추리반을 뒤지던 강부영이 목걸이를 되찾기 위해 김산문에게 세미의 목걸이를 재재가 가져갔다고 알린 것으로 추정된다.[10] Q&A에서 밝힌 바로는 그냥 더영뷰티 직원이라고 한다.[11] 선우경의 아지트 내지는 감시탑으로 쓰였다는 추측이 있다. 특히 옥상은 최종화 마지막의 장난가면 등장 당시 도탄에 빠진 송화여고 일동의 모습을 지켜보며 비웃기에 더없이 좋은 곳이기도 하다.[12] tvN을 퇴사하게 되면서 대탈출도 외주를 주지 않는 이상 연출을 못하게 되었고, 티빙 작품이었던 여고추리반까지 연출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며 DTCU의 마지막 작품이 된 것으로 추측된다.[13] 한 용자가 코드를 분석했는지 기록실 맵 사진을 얻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