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준비제도 의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윌슨 행정부 | 하딩 행정부 | 쿨리지 행정부 | |
초대 찰스 햄린 | 제2대 윌리엄 하딩 | 제3대 대니얼 크리싱어 | 제4대 로이 영 | |
후버 행정부 | 프랭클린 루스벨트 정부 | 트루먼 행정부 | ||
제5대 유진 메이어 | 제6대 유진 블랙 | 제7대 매리너 에클스 | 제8대 토머스 매카비 | |
트루먼 행정부 | 닉슨 행정부 | 카터 행정부 | ||
제9대 윌리엄 마틴 Jr. | 제10대 아서 번즈 | 제11대 조지 밀러 | 제12대 폴 볼커 | |
레이건 행정부 | 부시 행정부 | 오바마 행정부 | 트럼프 행정부 | |
제13대 앨런 그린스펀 | 제14대 벤 버냉키 | 제15대 재닛 옐런 | 제16대 제롬 파월 |
<colbgcolor=#00001b><colcolor=#ffc224> 제13대 연방준비제도 의장 앨런 그린스펀 Alan Greenspan | |
출생 | 1926년 3월 6일 ([age(1926-03-06)]세) |
뉴욕 주 뉴욕 시 맨해튼 워싱턴하이츠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조지 워싱턴 고등학교 (졸업) (– 1943년) |
줄리아드 스쿨 (1943 – 1944년) 뉴욕대학교 스턴경영대학 (편입) (경제학 / B.A.) (1944 – 1948년) 뉴욕대학교 문리과대학 (경제학 / M.A.) (1948 – 1950년) 뉴욕대학교 문리과대학 (경제학 / Ph.D.) (? – 1977년) | |
정당 | |
경력 | 외교협회 외교정책기구 이사직 |
미국 대통령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 (1974년 – 1977년) | |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 (1987년 8월 11일 – 2006년 1월 31일)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경제학자. 제13대 연방준비제도 의장이자 최장기간 연방준비제도 의장을 지낸 인물이다.2. 상세
앨런 그린스펀[1](Alan Greenspan, KBE, 1926년 3월 6일 ~ )은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경제관료이다. 유대인 부모 밑에서 자란 그는 본래는 음악인이 꿈이어서 1943년 세계 최고의 음악대학교인 줄리아드 스쿨에 입학했다. 하지만 진로를 바꾸어 뉴욕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게 된다. 1987년부터 2006년까지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을 역임하였다.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에 의해 처음 이사회 의장으로 발탁된 그린스펀은 이후 조지 H. W. 부시, 빌 클린턴, 조지 W. 부시 대통령에 의해 공화당, 민주당 상관없이 중용되며 연임되었다. 그의 자리는 2006년 1월 31일, 벤 버냉키에게 넘어갔다.그의 연준 의장 당시의 정책 성향은 "연착륙"[2]과 "일부" 탈규제(deregulation)[3] 로 대표된다. 연준 의장으로 임명되자마자 1987년 주가 폭락 사태를 빨리 회복시켜 주목을 받았으며, 90년대 경제 붐의 중심에 서면서 "마에스트로"[4]라는 명예로운 별명을 얻기도 하였다.
그가 의장을 역임하는 동안 발생했던 검은 월요일 주식시장 붕괴와, 닷컴 버블 붕괴에 대한 그의 대처는 크게 칭송받는다. 하지만 임기 막판에 터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 대한 책임소재로 경력에 오점을 남기게 됐다.[5] 주택시장 활성화와 미국 서민들의 주택 마련을 돕는다는 목적으로 허가를 내준 부실 주택 대출 파생상품이 미국 경제를 지탱하는 한 축으로 자리 잡았지만 결국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6]가 터지고 만다. 결국 2008년 10월 미 하원의 감독과 정부개혁 위원회(House Committee on Oversight and Government Reform)가 주재한 청문회에 출석하여 국회의원들의 집중포화를 받았으며 "나는 실수했다(I made a mistake)"라는 명언을 남기고 떠난다. 다음은 그가 청문회에서 정책적인 실수를 인정한 결정적 부분의 인용.
왁스맨: "Were you wrong?" 그리스펀: "Well, partially. But let’s separate this problem into its component parts. I took a very strong position on the issue of derivatives and the efficacy of what they were doing for the economy as a whole, which in effect is essentially to transfer risk from those who have very difficulty — have great difficulty in absorbing it to those who have the capital to absorb losses if and when they occur" 왁스맨: "Well, where do you think you made a mistake, then?" 그리스펀: "I made a mistake in presuming that the self-interest of organizations, specifically banks, is such that they were best capable of protecting shareholders and equity in the firms. (중략) I discovered a flaw in the model that I perceived is the critical functioning structure that defines how the world works. I had been going for 40 years with considerable evidence that it was working exceptionally well. (중략) But just quickly to say that the overall view that I take, of regulation, is that I took a pledge when — I took an oath of office when I became Federal Reserve Chairman. And I recognized that you do with that — what I did is I said that I’m here to uphold the laws of the land, passed by the Congress, not my own predilections." |
1번째 질문인 '네 정책은 잘못되었는가?' 라는 물음에 '자기 자신에게 일부 잘못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라는 것으로 시작한다. 잘못이 '일부'인 이유는 자기 결정 하나에 시장이 좌지우지 되는데, 이런 상태에서 파생상품 등이나 복잡한 상황이 얽혀있는 구조가 결국 폭탄돌리기가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시스템이고, 리스크가 적으면서 성공 가능성이 압도적으로 높은 해법이란 없기 때문이란 이야기가 첫 번째 문답.[7]
그래서 실수가 뭐냐? 라는 2번째 질문에는 그리스펀이 인정한 그 자신의 실수는 '사리사욕을 찾는 기관(기업)들, 특히 은행들이 자기네 주주들과 자산 보호에는 유능할 것이라고 믿은 것' 이며, 자신이 믿었던 세상 돌아가는 방식의 중요한 기능을 하는 구조에 문제가 있었다는 것이라고.
마무리는 자신의 관점에서 자신의 편애에 따른 결정이 아니라 의장으로 임명받을 때 했던 맹세를 따른 결정이고, 사욕이나 개인의 감정에 따른 결정이 아니었다는 말이 된다.
사실 그린스펀 입장에선 억울하기도 한 게 그 당시 중앙은행은 물가와 부동산가격을 잡으려고 금리를 계속 올리며 노력했지만 금리를 아무리 올려도 시장금리는 계속 내려가는 비정상적인 상황이 계속되고 있었다. 이 당시 미국에서도 "그린스펀의 수수께끼"라는 말이 나오며 굉장히 의아해했지만 사실문제는 중국의 달러 매입이었다. 2000년대 중국이 굴기하며 엄청나게 성장할 때 미국채권을 미친 듯이 사들이면서, 중앙은행이 금리를 높여 채권 가격을 아무리 낮추려고 해도 중국이 채권을 엄청나게 매입하며 채권 가격이 안 떨어진 것.
연방준비제도 의장이라는 가장 높은 자리에서 최장기간 재임했기 때문에 결국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청문회에 출석해 굴욕을 겪으며 끝마무리는 매우 좋지 못했지만, 1987년~2006년까지 레이건, 아빠부시, 클린턴, 아들부시 정권 동안 지속적으로 신임받으며 90년대 미국 역사상 최고의 경제 호황기를 만든 공적은 의심할 부분이 없기 때문에 그를 옹호하는 의견도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그린스펀에 대한 여러 평가 중 흥미롭게도 금융위기가 벌어지기 한참 이전 시기에 90년대부터 이루어진 미국의 투기버블을 우려하며 문제점을 지적했던 사람이 있었다. 바로 찰스 P. 킨들버거의 저서 <광기, 패닉, 붕괴 -금융위기의 역사> 개정판에 나오는 킨들버거의 그린스펀에 대한 비판이다. 킨들버거는 그린스펀의 과거 언행을 이용해 금융 당국에 대한 다음과 같은 비판을 남겼다.
관련 당국은 경제에 무언가 이례적인 현상이 발생하고 있음을 인식하지만, 이전에 있었던 광기를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이번에는 다르다"고 생각한다; 이와 함께 이들은 무엇이 다른지 그 차이점에 대한 광범한 설명 요인들을 찾아낸다. 그린스펀 FRB 의장은 1996년 미국의 주식시장 과열에 처음 우려를 표명한 지 약 1년 만에 생산성의 급격한 증가를 발견했다.
여기서 킨들버거가 어떤 느낌으로 비꼬고 있는지 쉽게 풀어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그린스펀 의장은 자신이 광기를 지적한지 고작 1년만에 광기를 통한 거품이 아닌, 생산성의 증가를 통한 가치상승이라 평가하며 입장을 선회하였다. 단 1년만에 갑작스런 태세전환을 해낸 그린스펀 의장의 판단력이 매우 놀랍다.
3. 여담
- 본래는 음악인이 되고 싶어하여 1943년 줄리아드 스쿨에 입학하여 클라리넷, 색소폰 등을 연주했지만 본인이 느끼기엔 프로로써 성공하기 힘들다고 느껴 진로를 바꿨다고한다, 당시 밴드의 매니저가 후에 리처드 닉슨 당시 대통령 후보 법률 자문역이 되어 이를 인연으로 정책연구팀장직을 맡게되었다고한다.
- 앨런 그린스펀은 아인 랜드의 합리적 객관주의(objectivism)를 배우기 위해 젊은 날 아인 랜드 스터디 클럽의 단골손님이 되었다. 랜드는 그린스펀의 경제학에 깊은 영향을 미친 정신적 스승이다. 그린스펀은 경제학 박사과정을 밟는 동안 뉴욕에 있던 아인 랜드의 아파트를 자주 찾았다고 한다. 그는 1977년 51세에 박사학위를 받았고 10년 후에 Fed 의장이 된다. 그는 “랜드를 만났을 때, 나는 애덤 스미스 식의 자유기업인으로서 그녀의 이론적 구조와 효율적인 시장론에 감명을 받았다. 그녀는 자본주의가 능률적이고 실용적일 뿐만 아니라 도덕적인[8] 이유를 생각해보게 만들었다.”, “아인 랜드는 내 시각이 자기모순적이었다는 사실을 가르쳐 줬다”, “아인 랜드를 통해 경제는 심리를 비롯한 가치·태도·믿음과 다른 비이성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요소들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을 배웠다.”, “만약 아인 랜드가 없었다면 나는 은둔의 경제학자가 되어 말도 안 되는 전망이나 내뱉었을 것”이라고 회상했다. 랜드는 그가 제럴드 포드 대통령의 경제 자문회 의장으로 지명된 것을 자랑스러워했다고 한다.
- 저서로는 "격동의 시대(The Age of Turbulence)", “미국 자본주의의 역사(Capitalism in America)”가 있다.
[1] 실제 그의 성은 '그린스팬'(원어 발음 /ˈɡriːnspæn/)이라고 표기하는 것이 옳으나, 외국어·외래어 한글 표기를 심의하는 정부·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 위원회에서 Greenspan의 발음을 잘못 파악해서 한글 표기를 '그린스펀'으로 잘못 정하는 바람에 한국어에서는 '그린스펀'이 표준 표기가 되고 말았으며, 따라서 그린스펀이라는 표기가 퍼지게 되었다. 일단 외래어 표기법상으로도 '그린스팬'이 맞긴 한데, 어떤 단어에 대해서 심의된 한글 표기가 따로 존재하면 그 심의된 표기를 표준 표기로 하므로 이 경우는 '그린스펀'이라는 잘못된 표기가 최종적으로는 맞는 표기가 된다.[2] 금리를 인하하거나 인상하는 등 중요한 정책을 시행하기 전, 언론을 통해 미리 시장에 수 차례 신호를 넣어 부정적인 여파를 최소화하겠다는 의도이다.[3] 모든 규제를 삭제해 시장을 아무런 보호장치 없는 "정글"로 만든다는 의미가 아니다. 이 사람의 경제철학의 근간이 된 스승 아인 랜드 및 아인 랜드/이념 항목을 참조해보자.[4] 밀턴 프리드먼은 그전까지의 의장들이 저지른 실책들을 꼬집으며 그린스펀 이전의 연방준비제도는 차라리 없는 편이 더 나은 수준의 기관이었다는 찬사를 보내기도 했다. #[5] 비유하자면 챔피언스리그 4강 토너먼트 1차전에서 3대0으로 이긴 후 언론과 팬들의 찬사를 받던 감독이 충격적이게도 2차전에서 0대7으로 대패한 것과 같다. 축구에서 0-7이라는 스코어가 토너먼트에서 탈락하게 되는 결과 그 이상으로 소속팀 팬들에게 엄청난 트라우마를 남기듯이, 그의 과오로 꼽히는 글로벌 금융위기는 미국을 넘어 전 세계 경제에 치명상을 남겼다.[6] 2000년의 닷컴 버블 이후 전 세계 경제에 결정적 타격을 가한 초대형 악재이다.[7] 그리스펀 입장에서 딱히 틀린말은 아니다. 특히 그의 19년간의 정책을 전부 이야기한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문제는 그의 자잘한 실책이 쌓이고 쌓여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서 몰아서 터졌다는 거고, 바꿔 말하면 서브프라임 사태에 대해서는 참으로 큼직한 책임을 지고있다는 말이 된다.[8] 애덤 스미스의 경제학 강의는 원래 "윤리학" 강의 내용이었다고 한다. 경제학이라는 학문으로 분리돼 자리잡은 건 훗날의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