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우즈베키스탄 | 타슈켄트 지하철 |
| 카자흐스탄 | 알마티 메트로 · | |
| 타지키스탄 | | |
| 알마티 지하철 Almaty metropolitenı[카자흐어] Алматы метрополитені[카자흐어] Алма-Атинский метрополитен[러시아어] | ||
| | ||
| 개통년도 | 2011년 12월 1일 | |
| 소유자 | 알마티 | |
| 운영자 | 알마티 지하철 | |
| 영업거리 | 13.4km | |
| 노선수 | 1 | |
| 일일 승객 수 | 약 8만 명 | |
| 정거장수 | 11 | |
| 궤간 | 1,520mm | |
| 운행최고속도 | 90km/h | |
| 급전방식 | 제3궤조 직류 750V | |
1. 개요
카자흐스탄 최대의 도시 알마티에서 운행하는 도시철도. 2011년 개통했으며, 중앙아시아에서는 타슈켄트에 이어서 2번째로 개통되었다[4]. 원래 소련 시절인 1989년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소련 붕괴 후 구 소련 지역의 경제사정이 영 좋지 않았던 고로 건설이 지연되다가 2011년이 되어서야 개통되었다.2011년 12월 1일에 라이음벡 바트르 역에서 알라타우 역간 7개 역을 처음으로 개통하였고, 2015년 4월 18일에 알라타우 역에서 모스크바 역(알마티 지하철)까지 2개 역을 추가 개통하였다.
러시아의 카잔 지하철, 우크라이나의 드니프로 지하철과 함께 구 소련권에서 소련 해체 이후 완공한 지하철이다. 다만, 카잔 지하철은 소련 붕괴 이후에 착공했다. 같은 해(1989년)에 리가 지하철이 착공되었으나, 이곳은 노래 혁명, 인구 감소로 무기한 중단되었다.
노선은 1개이다. 광궤 1,520mm를 사용하며, 제3궤조 집전식이다.
구 소련권 지하철이 그렇듯 승강장 끝에 시계가 달려있다. 공산주의 흔적이 남아있고 테러 위협에 상당히 민감한 편이기 때문에 탑승 전 입구에서 짐 검사를 받는데, 방식은 공항과 유사하다. 단, 출구에서는 짐 검사를 하지 않는다.[5] 또한 러시아 지하철 마냥 깊은 곳에 위치해 있어 에스컬레이터를 한참 타고 가야 승강장이 나온다. 모스크바 지하철과 비슷하다. 그러나 바쿠 등과 다르게 사진 촬영을 금지하지는 않는다.(직원이나 보안검색 시설 등을 찍다 잘못 걸리면 벌금...)
2. 운임
| | | |
| 다회권 | 1회용 토큰 |
전구간 단일운임(1회권) 120텡게 (한화 약 350원)
다회권 180텡게 (한화 약 500원)-카드 가격만 180텡게이고, 60회까지 충전할 수 있다. 60회 충전 시 7200텡게(18000원)
2025년 기준 모든 승차권은 창구에서만 구입이 가능하다. 비자카드/마스터카드의 Visa Contactless Payments/Just Tap & Go™로도 탑승 가능하다. 또한, 오나이라는 교통카드로도 승차 가능하다.
비자카드/마스터카드의 Visa Contactless Payments/Just Tap & Go™로 탑승 시 개찰구 맨 왼쪽에 있는 비자카드/마스터카드의 Visa Contactless Payments/Just Tap & Go™전용 게이트를 이용하자. 오나이 교통카드는 노란색 개찰구를 이용하면 된다. 1일권과 1회권은 앞서 말한 개찰구 외에 모든 개찰구를 이용하면 된다. 나올땐 아무것도 필요 없이 그냥 게이트를 나오면 된다.
3. 노선 목록
| 노선색 | 운행계통 | 세부 노선명 | 길이 | 역 수 | 기점 | 종점 |
| 빨간색 | 1호선 | 알마티 지하철 1호선 | 13.4km | 11 | 라이음벡 바트르 | 바우르잔 모므슐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