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색이 1호선이다.
카자흐어: Алматы метрополитені (Almaty metropolıteni), Алматы метросы (Almaty metrosy)
러시아어: Алма-Атинский метрополитен (Alma-Atinskiy metropoliten)
영어: Almaty Metro
1. 소개
카자흐스탄 최대의 도시 알마티에서 운행하는 도시철도. 2011년 개통했으며, 중앙아시아에서는 타슈켄트에 이어서 2번째로 개통되었다. 원래 소련 시절인 1989년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소련 붕괴 후 구 소련 지역의 경제사정이 영 좋지 않았던 고로 건설이 지연되다가 2011년이 되어서야 개통되었다.노선은 1개 이며, 모스크바→라이음벡 바트르, 라이음벡 바트르→모스크바 방향으로 각각 운행하고 있다.
구 소련권 지하철이 그렇듯 승강장 끝에 시계가 달려있다. 또한 탑승 전 입구에서 짐 검사를 받는다. 출구에서는 짐 검사를 하지 않는다.[1] 또한 러시아 지하철 마냥 깊은 곳에 위치해 있어 에스컬레이터를 한참 타고 가야 승강장이 나온다. 모스크바 지하철과 비슷하다. 그러나 바쿠 등과 다르게 사진 촬영을 금지하지는 않는 듯.
2. 역 목록
2.1. 1호선 (Бірінші бағыт)
역명 | 환승노선 |
라이음벡 바트르 Райымбек батыр | ● 2호선 (예정) |
지벡 졸르 Жібек Жолы | ● 3호선 (예정) |
알말르 Алмалы | |
아바이 Абай | |
바이코누르 Байқоңыр | |
무흐타르 애웨조프 극장 Мұхтар Әуезов атындағы театры | |
알라타우 Алатау | ● 3호선 (예정) |
사이란 Сайран | |
모스크바 Мәскеу |
무흐타르 애웨조프 극장 역은 원래 툴파르(Тұлпар) 역이라는 이름으로 개통될 예정이었으나 2011년 개통될 때 지금의 이름으로 개통되었다. 모스크바 역도 계획 단계에서의 이름은 몰로됴즈나야(Молодёжная) 역.
3. 운행간격
평시 13분, 출퇴근 시 6~7분이다.4. 운임
1일권 |
전구간 단일운임(1회권) 80텡게 (한화 약 300원)
1일권 240텡게 (한화 약 900원)
2018년 기준 1회권(토큰)은 기계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1일권은 창구에서 구입해야 한다. 비자카드/마스터카드의 PayWave로도 탑승 가능하다. 또한, 오나이라는 버스 카드로도 승차 가능하다.
5. 열차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 따라서 모양이 한국의 지하철과 매우 유사하나 구 소련과 러시아의 지하철처럼 가속력이 좋다.측면 |
내부 |
[1] 요즘은 모스크바 지하철도 금속탐지기를 꺼 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