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5 17:52:30

안드레이 크라마리치


파일:TSG 1899 호펜하임 로고.svg
TSG 1899 호펜하임 2025-26 시즌 스쿼드
1 바우만 (C) · 2 흐라냐치 · 5 카바크 · 6 프뢰멜 · 7 아브둘라후 · 8 가이거 · 9 베부 · 10 다마르
11 아슬라니 · 13 베르나르두 · 15 장드레 · 17 토움주 · 18 뷔르허르 · 19 렘페를레 · 21 하이다리
22 프라스 · 23 흘로제크 · 24 모크와 · 25 아크포구마 · 27 크라마리치 (VC) · 28 마치다 · 29 투레
32 베리샤 · 33 뫼어슈테트 · 34 초우팔 · 35 차베스 · 36 페테르손 · 37 필리프 · 38 자이틀러 · 40 베렌스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안드레이 크라마리치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TSG 1899 호펜하임 로고.svg
2016-17 · 2018-19 · 2024-25
베스트팀
파일:Kicker 로고.svg
}}} ||
안드레이 크라마리치의 기타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1D29 20%, #FFFFFF 20%, #FFFFFF 40%, #FFFFFF 60%, #FFFFFF 80%, #DD1D29 8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 파일: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7a36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순서 선수 이름 출전 횟수 첫 경기 마지막 경기
1 루카 모드리치 186회 2006.3.1 2025.3.23
2 이반 페리시치 142회 2011.3.26 2025.3.23
3 다리요 스르나 134회 2002.11.20 2016.6.25
4 스티페 플레티코사 114회 1999.2.10 2014.6.23
5 마테오 코바치치 110회 2013.3.22 2025.3.23
6 이반 라키티치 106회 2007.9.8 2019.10.13
7 도마고이 비다 105회 2010.5.23 2024.6.3
요시프 시무니치 2001.11.10 2013.11.19
9 안드레이 크라마리치 104회 2014.9.4 2025.3.23
이비차 올리치 2002.2.13 2015.10.13
11 베드란 촐루카 103회 2006.8.16 2018.7.11
12 다리오 시미치 100회 1996.3.13 2008.8.20 }}}}}}}}}}}}}}}
파일:Hoffenheim-TSG_kramaric_andrej_o_2425-portrait.webp
<colbgcolor=#004b9c><colcolor=#fff> TSG 1899 호펜하임 No. 27
안드레이 크라마리치 RB
Andrej Kramarić RB
[1]
출생 1991년 6월 19일 ([age(1991-06-19)]세)
유고슬라비아 SFR 크로아티아 SR 자그레브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크로아티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크로아티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7cm / 체중 73kg[2]
포지션 스트라이커[3], 공격형 미드필더
주발 오른발(양발)
소속 <colbgcolor=#004b9c><colcolor=#fff> 유스 GNK 디나모 자그레브 (1997~2009)
선수 GNK 디나모 자그레브 (2009~2013)
NK 로코모티바 자그레브 (2012~2013 / 임대)
HNK 리예카 (2013~2015)
레스터 시티 FC (2015~2016)
TSG 1899 호펜하임 (2016 / 임대)
TSG 1899 호펜하임 (2016~ )
국가대표 108경기 36골[4] (크로아티아 / 2014~ )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ddd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4b9c><colcolor=#fff> 등번호 <colbgcolor=#fff,#1c1d1f>크로아티아 대표팀 - 9번, 22번
GNK 디나모 자그레브 - 9번
NK 로코모티바 자그레브 - 20번
HNK 리예카 - 91번
레스터 시티 FC - 19번, 40번
TSG 1899 호펜하임 - 27번
종교 가톨릭[5]
후원사 아디다스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여담7. 같이 보기

1. 개요

크로아티아 국적의 TSG 1899 호펜하임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스트라이커.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드레이 크라마리치/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드레이 크라마리치/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드레이 크라마리치/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크로아티아 청소년 국가대표 모든 코스를 차례대로 경험했다. 대회에서 매번 많은 득점을 올리며 크로아티아의 미래를 이끌 선수로 많은 기대를 받았었다. 그리고 2014년 성인 대표로서 크로아티아 국가대표 첫 경기를 뛰게 되었고, 이후 몰타전에서 득점을 하며 국가대표 데뷔골을 넣었다.

러시아 월드컵 유럽예선에서 우크라이나와 마지막 단두대 매치에서 패배하는 즉시 자국 크로아티아는 탈락 위기에 처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빡센 우크라이나 원정 경기임에도 불구하고 멀티골을 넣어 2:0으로 승리를 거두며 자국을 절체절명의 예선탈락 위기로부터 구하게 되었으며 곧이어 플레이오프에서 그리스 상대로도 1차전에 1골을 기여하며 팀은 4:1 스코어로 대승을 거두게 되어 자국의 러시아 월드컵 본선 진출에 큰 기여를 하였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8강전에서 개최국인 러시아를 상대로 전반전에 골을 넣으며 월드컵 첫 골을 기록했다.

다만 잉글랜드와의 4강전에서 연장 후반 14분, 옆에 노마크 상태였던 이반 페리시치를 무시하고 무리하게 슈팅을 난사하며, 이 분을 연상시키는 탐욕을 보여주었다.[6] 다행히 팀은 2:1로 승리하며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F조 2차전 캐나다와의 경기에서 멀티골을 넣어 4:1 승리를 이끌었다.

UEFA 유로 2024 조별리그 2차전 알바니아전에서는 동점골과 드리블 4회 기록하고 맹활약하며 MOM으로 선정되었으나, 팀은 2-2로 비겼다.

4. 플레이 스타일


주 포지션은 최전방에 위치한 스트라이커지만, 세컨드 스트라이커, 폴스 나인, 2선 전체를 뛸 수 있는 만능 공격수로 경합 상황을 제외하면 공격수에게 필요한 능력을 다 갖추고 있는 육각형 공격수이다. 특히 최전방 공격수에게 필요한 슈팅력, 오프 더 볼 움직임이 가장 큰 장점이고 오프 더 볼뿐만 발재간이나 볼터치 등의 온더볼 능력도 좋다. 때문에 최전방 공격수임에도 분데스리가 공격수 중에서 드리블과 패스 스탯이 상위권에 랭크될 정도로 뛰어나다. 발재간을 바탕으로 공을 운반하는 데 능하다.

또한 활동 범위도 넓고 활동량도 상당하다. 또한 활동 범위와 활동량이 굉장히 뛰어나다. 어느 정도냐면, 하프라인 밑까지 내려와서 볼을 소유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스스로 압박에서 벗어나서 볼을 전방으로 운반해주고, 저 뒤에서 올라온 선수가 맞나 싶게 지치지도 않고 공격을 지휘하는 연계를 해줄 정도다.

약점은 최전방 공격수 기준으로 피지컬이 좋은 편이 아니라서 공중볼이나 몸싸움 같은 경합에서는 불리한 모습을 보인다. 또한 모든 능력치가 준수한 6각형 공격수지만, 강팀을 상대로는 어정쩡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기복 있는 플레이를 보여준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 HNK 리예카 (2013~2015)
    • 크로아티아 컵: 2013-14
    • 크로아티아 슈퍼컵: 2014

5.2. 개인 수상

6. 여담

  • 크로아티아 축구 역사상 최악의 스캔으로 불리는 마미치 스캔에 대항한 선수로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지지를 받고 있는 선수 중 한 명이다. 디나모 자그레브 시절 팀의 회장이었던 즈라브코 마미치는 그가 루카 모드리치, 데얀 로브렌 등 당시 팀의 유망한 선수들에게 했던 짓[8]을 크라마리치에게 똑같이 하려고 했으나, 크라마리치는 불이익을 당하면서까지 이 제안을 끝까지 거부했다. 결국 자그레브는 크라마리치를 타 팀으로 이적시켰고 이후 크라마리치는 크로아티아를 대표하는 공격수로 성장했다.

7. 같이 보기

파일:TSG 1899 호펜하임 로고.svg
2024-25 시즌 TSG 1899 호펜하임 1군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rowcolor=#fff> 등 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 월일 비고
1 파일:독일 국기.svg GK 올리버 바우만 Oliver Baumann 1990년 6월 2일 주장
2 파일:체코 국기.svg DF 로빈 흐라냐치 Robin Hranáč 2000년 1월 29일
5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DF 오잔 카바크 Ozan Kabak 2000년 3월 25일
6 파일:독일 국기.svg MF 그리샤 프뢰멜 Grischa Prömel 1995년 1월 9일
7 파일:코소보 국기.svg MF 레온 아브둘라후 Leon Avdullahu 2004년 2월 23일
8 파일:독일 국기.svg MF 데니스 가이거 Dennis Geiger 1998년 6월 10일
9 파일:토고 국기.svg FW 일라스 베부 Ihlas Bebou 1994년 4월 23일
10 파일:독일 국기.svg MF 무함마드 다마르 Muhammed Damar 2004년 4월 9일
11 파일:코소보 국기.svg FW 피스니크 아슬라니 Fisnik Asllani 2002년 8월 8일
13 파일:브라질 국기.svg DF 베르나르두 Bernardo 1995년 5월 14일
15 파일:프랑스 국기.svg DF 발랑탱 장드레 Valentin Gendrey 2000년 6월 21일
17 파일:독일 국기.svg MF 우무트 토움주 Umut Tohumcu 2004년 8월 11일
18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MF 바우터르 뷔르허르 Wouter Burger 2001년 2월 16일
19 파일:독일 국기.svg FW 팀 렘페를레 Tim Lemperle 2000년 8월 7일
21 파일:코소보 국기.svg FW 알비안 하이다리 Albian Hajdari 2003년 5월 18일
2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MF 알렉산더 프라스 Alexander Prass
2001년 5월 26일 || ||
23 파일:체코 국기.svg FW 아담 흘로제크 Adam Hložek 2002년 7월 25일
24 파일:프랑스 국기.svg MF 다비드 모크와 David Mokwa 2004년 5월 3일
25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DF 케빈 아크포구마 Kevin Akpoguma 1995년 4월 19일
27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FW 안드레이 크라마리치 Andrej Kramarić 1991년 6월 19일 부주장
28 파일:일본 국기.svg DF 마치다 코키 Koki Machida 1997년 8월 25일
29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FW 바주마나 투레 Bazoumana Touré 2006년 3월 2일
32 파일:독일 국기.svg FW 머르김 베리샤 Mergim Berisha 1998년 5월 11일
33 파일:독일 국기.svg FW 막스 뫼어슈테트 Max Moerstedt 2006년 1월 15일
34 파일:체코 국기.svg DF 블라디미르 초우팔 Vladimír Coufal 1992년 8월 2일
35 파일:브라질 국기.svg DF 아르투르 차베스 Arthur Chaves 2001년 1월 29일
36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GK 루카스 페테르손 Lúkas Petersson 2004년 2월 9일
37 파일:독일 국기.svg GK 루카 필리프 Luca Philipp 2000년 11월 28일
40 파일:독일 국기.svg DF 헤네스 베렌스 Hennes Behrens 2005년 1월 19일
<colbgcolor=#18509a> 구단 정보
회장: 페터 호프만 / 감독: 크리스티안 일처 / 홈 구장: 프리제로 아레나

}}}}}}}}} ||

{{{#!wiki style="color:#1A2842;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555555"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1 도미니크 리바코비치
(Dominik Livaković)
1995년 1월 9일 ([age(1995-01-09)]세) 67 0 파일:스페인 국기.svg 지로나 FC
12 도미니크 코타르스키
(Dominik Kotarski)
2000년 02월 10일 ([age(2000-02-10)]세) 2 0 파일:덴마크 국기.svg FC 코펜하겐
23 이비차 이부시치
(Ivica Ivušić)
1995년 2월 1일 ([age(1995-02-01)]세) 6 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DF 2 요시프 스타니시치
(Josip Stanišić)
2000년 4월 2일 ([age(2000-04-02)]세) 24 0 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
3 마린 폰그라치치
(Marin Pongračić)
1997년 9월 11일 ([age(1997-09-11)]세) 14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F 피오렌티나
4 마르틴 에를리치
(Martin Erlić)
1998년 1월 24일 ([age(1998-01-24)]세) 10 0 파일:덴마크 국기.svg FC 미트윌란
5 두예 찰레타차르
(Duje Ćaleta-Car)
1996년 9월 17일 ([age(1996-09-17)]세) 34 1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소시에다드
6 요시프 슈탈로
(Josip Šutalo)
2000년 2월 28일 ([age(2000-02-28)]세) 26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FC 아약스
19 보르나 소사
(Borna Sosa)
1998년 1월 21일 ([age(1998-01-21)]세) 27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크리스탈 팰리스 FC
22 요시프 유라노비치
(Josip Juranović)
1995년 8월 16일 ([age(1995-08-16)]세) 40 0 파일:독일 국기.svg 1. FC 우니온 베를린
- 요슈코 그바르디올
(Joško Gvardiol)
2002년 1월 23일 ([age(2002-01-23)]세) 42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MF 7 로브로 마예르
(Lovro Majer)
1998년 1월 17일 ([age(1998-01-17)]세) 35 8 파일:독일 국기.svg VfL 볼프스부르크
10 루카 모드리치 파일:주장 아이콘.svg
(Luka Modrić)
1985년 9월 9일 ([age(1985-09-09)]세) 189 2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밀란
13 니콜라 모로
(Nikola Moro)
1998년 3월 12일 ([age(1998-03-12)]세) 4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볼로냐 FC 1909
15 마리오 파샬리치
(Mario Pašalić)
1995년 2월 9일 ([age(1995-02-09)]세) 77 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16 마르틴 바투리나
(Martin Baturina)
2003년 2월 16일 ([age(2003-02-16)]세) 12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코모 1907
17 페타르 수치치
(Petar Sučić)
2003년 10월 25일 ([age(2003-10-25)]세) 10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8 크리스티얀 야키치
(Kristijan Jakić)
1997년 7월 14일 ([age(1997-07-14)]세) 12 0 파일:독일 국기.svg FC 아우크스부르크
21 토니 프루크
(Toni Fruk)
2001년 4월 9일 ([age(2001-04-09)]세) 1 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HNK 리예카
FW 8 마르코 파샬리치
(Marco Pašalić)
2000년 9월 14일 ([age(2000-09-14)]세) 8 1 파일:미국 국기.svg 올랜도 시티 SC
9 안드레이 크라마리치
(Andrej Kramarić)
1991년 6월 19일 ([age(1991-06-19)]세) 107 35 파일:독일 국기.svg TSG 1899 호펜하임
11 안테 부디미르
(Ante Budimir)
1991년 7월 22일 ([age(1991-07-22)]세) 33 6 파일:스페인 국기.svg CA 오사수나
14 이반 페리시치
(Ivan Perišić)
1989년 2월 2일 ([age(1989-02-02)]세) 145 3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PSV 에인트호번
20 프란요 이바노비치
(Franjo Ivanović)
2003년 10월 01일 ([age(2003-10-01)]세) 5 2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SL 벤피카
일정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2025년 9월 4일(일) 원정 파일:페로 제도 기.svg 페로 제도
2025년 9월 7일(일)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9일
}}}}}}}}}||

1 리바코비치 · 2 브르살코 · 3 스트리니치 · 4 페리시치 · 5 촐루카 · 6 로브렌 · 7 라키티치 · 8 코바치치 · 9 크라마리치
10 모드리치 · 11 브로조비치 · 12 칼리니치 · 13 예드바이 · 14 브라다리치 · 15 찰레타-차르 · 16 칼리니치 · 17 만주키치
18 레비치 · 19 바델 · 20 피아차 · 21 비다 · 22 피바리치 · 23 수바시치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즐라트코 달리치

1 리바코비치 · 2 스타니시치 · 3 바리시치 · 4 페리시치 · 5 에를리치 · 6 로브렌 · 7 마예르 · 8 코바치치 · 9 크라마리치
10 모드리치 · 11 브로조비치 · 12 그르비치 · 13 블라시치 · 14 리바야 · 15 파샬리치 · 16 페트코비치 · 17 부디미르 · 18 오르시치
19 소사 · 20 그바르디올 · 21 비다 · 22 유라노비치 · 23 이부시치 · 24 슈탈로 · 25 수치치 · 26 야키치
파일:2022 FIFA 월드컵 크로아티아 아이콘.svg 즐라트코 달리치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파일: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Hrvatska nogometna reprezentacija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UEFA 유로 2024 - 최종 명단)
1 리바코비치 · 2 스타니시치 · 3 폰그리치치 · 4 그바르디올 · 5 에를리치 · 6 슈탈로 · 7 마예르 · 8 코바치치 · 9 크라마리치 · 10 모드리치
11 브로조비치 · 12 라브로비치 · 13 블라시치 · 14 페리시치 · 15 파샬리치 · 16 부디미르 · 17 페트코비치 · 18 이바누셰츠
19 소사 · 20 피아차 · 21 비다 · 22 유라노비치 · 23 이부시치 · 24 M. 파샬리치 · 25 수치치 · 26 바투리나
파일:UEFA EURO CRO.png 즐라트코 달리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CRO.png 이비차 올리치 · 파일:UEFA EURO CRO.png 베드란 촐루카 · 파일:UEFA EURO CRO.png 마리오 만주키치

[1] 2018년 FIFA 월드컵 준우승 수훈, 크로아티아 공화국 6등급 훈장 Red kneza Branimira[2] TSG 1899 호펜하임 공식 프로필[3] 세컨드 스트라이커, 폴스 나인, 윙어도 소화 가능하다.[4] 2025년 9월 9일 기준[5]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조별예선 캐나다전에서 동점골을 넣은 후 십자성호를 긋는 모습이 포착되었다.[6] 페드로도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독일과의 4강전에서 노마크 상태였던 페르난도 토레스를 무시하고 드리블을 치다 어정쩡하게 찬스를 날려버렸다. 하지만 팀은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승리했다.[7] 크로아티아 리그 베스트 XI[8] 어린 유망주 선수들에게 접근해 수익의 일부를 뜯어가는 조항이 있는 계약을 체결, 즉 선수를 미끼로 사용해 돈을 챙겨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