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CD 레가네스 2024-25 시즌 스쿼드 |
1 소리아노 · 3 사엔스 · 4 포로소 · 6 세르히오 G. (C) · 7 오스카르 · 9 미겔 · 10 라바 · 12 로지에 · 13 드미트로비치 · 14 브라사나치 · 15 프란케사 17 네유 · 19 디에고 · 20 하비 헤데스 · 21 R.로페즈 · 22 나스타시치 · 23 엘하다디 · 24 치코 · 32 시세 · - 아빌레스 - 크루스 · - 랄로 · - 나임 · - 알렉스 힐 · - 두크 |
|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
보르나 바리시치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둘러보기 틀 모음 | |||
개인 수상 | ||||
베스트팀 | ||||
|
| |||
CD 레가네스 No. 4 | |||
보르나 바리시치 Borna Barišić | |||
<colbgcolor=#fff> 출생 | 1992년 11월 10일 ([age(1992-11-10)]세) | ||
크로아티아 오시예크 | |||
국적 | [[크로아티아|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 | 키 186cm, 체중 80kg | ||
포지션 | 레프트백 | ||
주발 | 왼발 | ||
유소년 클럽 | NK 오시예크 (2003~2011) | ||
소속 클럽 | NK 오시예크 (2011~2012) NK BSK 비옐로 브르도 (2012~2013) NK 오시예크 (2013~2015) GNK 디나모 자그레브 (2015~2016) → NK 로코모티바 자그레브 (2015~2016 / 임대) NK 오시예크 (2016~2018) 레인저스 FC (2018~2024) 트라브존스포르 (2024~ ) → CD 레가네스 (2025~ / 임대) | ||
국가대표 | 35경기 1골 (크로아티아 / 2017~ )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colcolor=#cf9800> 역대 등번호 | <colbgcolor=#fff,#191919>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 3번 레인저스 FC - 31번 트라브존스포르 - 3번 |
[clearfix]
1. 개요
크로아티아의 CD 레가네스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수비수.2. 클럽 경력
2.1. 자국 리그 시절
2003년, 8살의 나이에 로컬팀 NK 오시예크 아카데미에 입단하여 8년간 성장한 뒤 BSK 비옐로 브로도에서 한 시즌간 뛰다가 2013년에 다시 복귀하였다. 그리고 첫 시즌부터 1군 소속으로 프르바 리가에서 23경기를 출장하였고, 팀은 리그 8위를 기록하였다. 다음 시즌에도 주전으로 뛰며 28경기를 출전하여 1골 2어시스트를 기록, 강등권 탈출을 도왔다.두 시즌간 오시예크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선보인 그는 자국의 명문구단인 디나모 자그레브와 5년 계약을 채결하였다. 2015년 7월 19일, 친정팀 오시예크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렀으나 한 달 뒤 로코모티바 자그레브로 한 시즌 임대되었다. 그리고 2015-16 시즌 로코모티바에서 19경기 2어시스트의 성적을 거두었다.
이후, 새 시즌을 앞두고 오시예크로 다시 복귀하게 되었고, 주장으로 선임되어 32경기 출전에 1골 7어시스트로 좋은 활약을 선보이면서 오시예크는 요근래 가장 좋은 리그 성적인 4위를 기록할 수 있었다.
2017년 여름 이적시장 기간 동안 우크라이나의 디나모 자그레브와 이적설이 났으나 디나모가 요시프 피바리치를 영입하게 되면서 팀에 잔류하게 되었다.
2017–18 UEFA 유로파 리그 예선에서 PSV 에인트호번을 상대로 페널티킥을 얻은 상황에서 키커로 나서 득점을 올렸고, 이 골은 유로파 본선 진출에 큰 힘이 되었다.
당해 시즌에는 리그 22경기 1골 포함 31경기 3골을 기록하였다.
2.2. 레인저스 FC
|
2018년 8월 7일, 레인저스와 4년 계약을 채결하였다.
2.2.1. 2018-19 시즌
이적 첫 시즌에는 부상으로 많은 경기에 출장하지 못했다.2.2.2. 2019-20 시즌
|
두번째 시즌에는 특유의 뛰어난 킥력을 바탕으로 많은 도움을 기록하였고, 셀틱 전에서 2개의 골에 모두 관여하면서 MOM으로 선정되었다. 시즌 최종 기록은 40경기 2골 14어시스트.
2.2.3. 2020-21 시즌
|
시즌 초반부터 뛰어난 폼을 보여주며 많은 공격포인트를 기록 중이다.
리그에서 30경기 1골 7어시스트를 기록했고 UEFA 유로파 리그에선 10경기 출전 3골 3도움으로 맹활약했다. 결국 UEFA 공식 유로파 리그 베스트11 선정되기도 했다.
2.2.4. 2021-22 시즌
최근 보여준 좋은 활약 덕에 겨울 이적시장때 왓포드 FC와 아스톤 빌라 FC와 링크가 뜨고 있다.2.2.5. 2022-23 시즌
2.2.6. 2023-24 시즌
2024년 6월 1일, 계약이 만료되어 레인저스를 떠나게 되었다.2.3. 트라브존스포르
2024년 6월 25일, 트라브존스포르로 이적하였다. 계약 기간은 2+1년.2.3.1. CD 레가네스 (임대)
2025년 2월 3일, CD 레가네스로 임대되었다.3. 국가대표 경력
2017년 1월 11일, 칠레와의 친선전을 통해 성인 대표팀에 데뷔하였으며, 다니옐 프라니치-이반 스트리니치-요시프 피바리치의 뒤를 이어 대표팀 레프트백 주전으로 많이 기용되고 있다.2022 카타르 월드컵 최종명단에 승선했다. 본선에서는 보르나 소사에게 밀려 나오지 못하다가 소사가 매 경기 상당히 부진하며 16강 일본전에서 선발로 출전해 풀타임을 소화했다. 그러나 공수 양면에서 부진해 비판받았다. 특히나 올렸다 하면 홈런이 되어버린 크로스가 매우 아쉬웠다. 결국 8강전부터 다시 보르나 소사가 출전했는데 역시나 기대했던대로 똥을 퍼질러 싸며 사실상 카타르 월드컵에서 크로아티아의 아킬레스건은 이 레프트백 자리가 되었다.[1]
4. 플레이 스타일
왼발을 잘 쓰는 클래식한 레프트백으로, 날카로우면서도 강력한 왼발 킥을 이용해 공격에 가담한다. 측면에서 양질의 크로스는 물론, 우측에 서 있는 윙어와 올라오는 풀백과 미드필더에게 반대로 전환하는 패스를 보내주는 등 측면에서 플레이메이킹이 가능한 풀백이다. 특히 킥력은 레인저스 내에서도 손에 꼽히는 수준으로, 같은 팀에 이아니스 하지를 비롯해 킥력이 좋은 동료들이 여럿 있음에도 1순위 키커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활동량이 많은 편이라 측면에서 성실하게 움직여주고, 큰 키에 피지컬도 좋은 선수라 경합에 있어서도 자신감을 드러낸다.다만, 풀백치고 큰 키를 보유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스피드가 느린 편이며, 이에 따라 후방 복귀 속도 역시 느린 편이다. 때문에 수비 시 거친 모습을 보일 때가 있고 이 때문에 카드 수집도 잦다.
5. 여담
6.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D 레가네스 2024-25 시즌 스쿼드 | |||||||
등번호 | 국적 | 포지션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신체 조건 | 비고 | |
1 | | GK | 후안 소리아노 | Juan Soriano | 1997.08.23 ([age(1997-08-23)]세) | 185cm, 78kg | ||
2 | | DF | 아드리아 알티미라 | Adrià Altimira | 2001.03.28 ([age(2001-03-28)]세) | 170cm, 62kg | [1] | |
3 | | DF | 호르헤 사엔스 | Jorge Saenz | 1996.11.15 ([age(1996-11-14)]세) | 192cm, 75kg | ||
4 | | DF | 잭슨 포로소 | Jackson Porozo | 2000.08.04 ([age(2000-08-04)]세) | 192cm, 84kg | [2] | |
5 | | MF | 레나토 타피아 | Renato Tapia | 1995.07.28 ([age(1995-07-28)]세) | 185cm, 78kg | ||
6 | | DF | 세르히오 곤살레스 | Sergio González | 1992.04.20 ([age(1992-04-20)]세) | 186cm, kg | ||
7 | | FW | 오스카르 로드리게스 | Óscar Rodríguez | 1998.06.28 ([age(1998-06-28)]세) | 174cm, 68kg | ||
8 | | MF | 세이도우바 시세 | Seydouba Cissé | 2001.02.10 ([age(2001-02-10)]세) | 177cm, 72kg | ||
9 | | FW | 미겔 데 라 푸엔테 | Miguel de la Fuente | 1999.09.03 ([age(1999-09-03)]세) | 182cm, kg | ||
10 | | MF | 다니 라바 | Dani Raba | 1995.10.29 ([age(1995-10-29)]세) | 184cm, kg | ||
11 | | FW | 후안 크루스 | Juan Cruz | 2000.04.25 ([age(2000-04-25)]세) | 177cm, 72kg | ||
12 | | DF | 발랑탱 로지에 | Valentin Rosier | 1996.08.19 ([age(1996-08-19)]세) | 175cm, 75kg | ||
13 | | GK | 마르코 드미트로비치 | Marko Dmitrović | 1992.01.24 ([age(1992-01-24)]세) | 194cm, 94kg | ||
14 | | MF | 다르코 브라사나치 | Darko Brasanac | 1992.12.12 ([age(1992-12-12)]세) | 178cm, 72kg | ||
15 | | DF | 엔리크 프란케사 | Enric Franquesa | 1997.02.26 ([age(1997-02-06)]세) | 174cm, 70kg | ||
17 | | MF | 이반 네유 | Yvan Neyou | 1997.03.01 ([age(1997-03-01)]세) | 180cm, kg | [3] | |
19 | | FW | 디에고 가르시아 | Diego Garcia | 2000.04.18 ([age(2000-04-18)]세) | 185cm, 76kg | ||
20 | | DF | 하비 에르난데스 | Javi Hernández | 1998.05.02 ([age(1998-05-02)]세) | 183cm, 76kg | ||
21 | | MF | 로베르토 로페즈 | RobertoLópez | 2000.04.24 ([age(2000-04-24)]세) | 180cm, 70kg | ||
22 | | DF | 마티야 나스타시치 | Matija Nastasić | 1993.03.28 ([age(1993-03-28)]세) | 188cm, 83kg | ||
23 | | FW | 무니르 엘하다디 | Munir El Haddadi | 1995.09.01 ([age(1995-09-01)]세) | 176cm, 69kg | ||
24 | | MF | 훌리안 치코 | Julián Chicco | 1998.01.13 ([age(1998-01-13)]세) | 181cm, 79kg | ||
27 | | MF | 나임 가르시아 | Naim Garcia | 2002.06.11 ([age(2002-06-11)]세) | 178cm, 75kg | ||
33 | | DF | 랄로 아길라르 | Lalo Aguilar | 2002.06.11 ([age(2002-06-11)]세) | 188cm, 82kg | ||
<colbgcolor=#004d91> 구단 정보 | ||||||||
회장: 마리아 빅토리아 파본 / 감독: 이마놀 이디아케스 / 홈구장: 에스타디오 무니시팔 데 부타르케 | ||||||||
출처: 공식 웹사이트, 최종 수정 일자 2024년 08월 19일 |
}}}}}}}}} ||
{{{#!wiki style="color:#1A2842;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555555" | <rowcolor=#ffffff>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 클럽 |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 1 | 도미니크 리바코비치 (Dominik Livaković) | 1995년 1월 9일 ([age(1995-01-09)]세) | 61 | 0 | | |
12 | 네딜리코 라브로비치 (Nediljko Labrović) | 1999년 10월 10일 ([age(1999-10-10)]세) | 2 | 0 | | ||
23 | 이비차 이부시치 (Ivica Ivušić) | 1995년 2월 1일 ([age(1995-02-01)]세) | 6 | 0 | | ||
DF | 3 | 두예 찰레타차르 (Duje Ćaleta-Car) | 1996년 9월 17일 ([age(1996-09-17)]세) | 27 | 1 | | |
4 | 요슈코 그바르디올 (Joško Gvardiol) | 2002년 1월 23일 ([age(2002-01-23)]세) | 37 | 2 | | ||
5 | 마르틴 에를리치 (Martin Erlić) | 1998년 1월 24일 ([age(1998-01-24)]세) | 10 | 0 | | ||
6 | 요시프 슈탈로 (Josip Šutalo) | 2000년 2월 28일 ([age(2000-02-28)]세) | 21 | 0 | | ||
19 | 보르나 소사 (Borna Sosa) | 1998년 1월 21일 ([age(1998-01-21)]세) | 25 | 2 | | ||
MF | 2 | 크리스티얀 야키치 (Lovro Majer) | 1997년 7월 14일 ([age(1997-07-14)]세) | 7 | 0 | | |
10 | 루카 모드리치 (Luka Modrić) | 1985년 9월 9일 ([age(1985-09-09)]세) | 182 | 27 | | ||
13 | 페타르 수치치 (Petar Sučić) | 2003년 10월 25일 ([age(2003-10-25)]세) | 4 | 1 | | ||
15 | 마리오 파샬리치 (Mario Pašalić) | 1995년 2월 9일 ([age(1995-02-09)]세) | 70 | 10 | | ||
16 | 마르틴 바투리나 (Martin Baturina) | 2003년 2월 16일 ([age(2003-02-16)]세) | 7 | 1 | | ||
18 | 루카 이바누셰츠 (Luka Ivanušec) |
21 | 루카 수치치 (Luka Sučić) | 2002년 9월 8일 ([age(2002-09-08)]세) | 14 | 0 | | |
- | 니콜라 모로 (Nikola Moro) | 1998년 3월 12일 ([age(1998-03-12)]세) | 1 | 0 | | |
FW | 7 | 마르코 파샬리치 (Marco Pašalić) | 2000년 9월 14일 ([age(2000-09-14)]세) | 5 | 1 | |
8 | 미슬라브 오르시치 (Mislav Oršić) | 1992년 12월 29일 ([age(1992-12-29)]세) | 27 | 2 | | |
9 | 안드레이 크라마리치 (Andrej Kramarić) | 1991년 6월 19일 ([age(1991-06-19)]세) | 100 | 49 | | |
11 | 안테 부디미르 (Ante Budimir) | 1991년 7월 22일 ([age(1991-07-22)]세) | 27 | 3 | | |
14 | 이반 페리시치 (Ivan Perišić) | 1989년 2월 2일 ([age(1989-02-02)]세) | 138 | 33 | | |
17 | 브루노 페트코비치 (Bruno Petković) | 1994년 9월 16일 ([age(1994-09-16)]세) | 42 | 11 | | |
20 | 마르코 피아차 (Marko Pjaca) | 1995년 5월 6일 ([age(1995-05-06)]세) | 27 | 1 | | |
11 | 이고르 마타노비치 (Igor Matanović) | 2003년 5월 31일 ([age(2003-05-31)]세) | 4 | 1 | | |
일정 | 2024-25 네이션스 리그 A | 2024년 10월 12일(토) | 홈 | | ||
2024년 10월 15일(화) | 원정 |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0월 15일 |
1 리바코비치 · 2 스타니시치 · 3 바리시치 · 4 페리시치 · 5 에를리치 · 6 로브렌 · 7 마예르 · 8 코바치치 · 9 크라마리치 10 모드리치 ⓒ · 11 브로조비치 · 12 그르비치 · 13 블라시치 · 14 리바야 · 15 파샬리치 · 16 페트코비치 · 17 부디미르 · 18 오르시치 19 소사 · 20 그바르디올 · 21 비다 · 22 유라노비치 · 23 이부시치 · 24 슈탈로 · 25 수치치 · 26 야키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