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2 05:41:03

안드레아 베르타

파일:프리미어 리그 로고(화이트/가로형).svg
2025-26 시즌 구단별 단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에두
가스파르

파일:노팅엄 포레스트 FC 로고.svg
로스
윌슨
파일:뉴캐슬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리처드
휴즈

파일:리버풀 FC 라이버 버드 로고(레드).svg
아담
언더우드
파일:리즈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우구
비아나

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
제이슨
윌콕스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젠킨스
파일:번리 FC 로고.svg
티아구
핀투

파일:AFC 본머스 로고.svg
제이슨
아이토
파일: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로고.svg

자일스

다이크스
파일:브렌트포드 FC 로고.svg
크리스티안
스피쿠먼
플로랑
기솔피
파일:선덜랜드 AFC 로고.svg
안드레아
베르타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로베르토
올라베

파일:아스톤 빌라 FC 로고.svg

콕스

파일:에버튼 FC 로고.svg
도메니코
테티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마크
노블

파일: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윈스탠리
로렌스
스튜어트
파일:첼시 FC 로고.svg
요한
랑에

파비오
파라티치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홉스
파일:크리스탈 팰리스 FC 로고.svg
토니

파일:풀럼 FC 로고.svg
}}}}}}}}}}}}}}} ||
Arsenal Football Club
파일:안드레아_베르타.jpg
<colbgcolor=#f00000> 이름 <colbgcolor=#ffffff,#191919> 안드레아 베르타
Andrea Berta
출생 1972년 1월 1일 ([age(1972-01-01)]세)
이탈리아 롬바르디아브레시아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축구 경영인
경력 AC 카르페네돌로 (2002~2006 / 단장)
파르마 칼초 1913 (2006~2009 / 단장)
제노아 CFC (2009~2012 / 단장)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3~2017 / 기술 이사)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7~2025 / 단장)
아스날 FC (2025~ / 스포츠 디렉터)

1. 개요2. 스카우트/단장 경력
2.1. 아스날 FC 풋볼 디렉터
3. 평가4. 여담5. 둘러보기

1. 개요

이탈리아축구 경영인. 現 아스날 FC 스포츠 디렉터.

2. 스카우트/단장 경력

본래 은행원 출신으로 당시 브레시아 지방의 야간 축구 팀을 관리하는 일을 본업과 동시에 하고 있던 도중 AC 카르페네돌로[1]의 구단주 톰마소 기라르디가 그를 스카우트로 데려온다. 그로부터 1년 뒤 팀의 단장을 맡게 되고 2006년부터 파르마 칼초 1913로 팀을 옮기며 능력을 입증받기 시작한다.

2013년에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 기술 이사로 부임하게 되고 2017년부터 단장으로 역임했다.

2016년경부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단장으로 선임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었다. 현재는 사라진 이슈이며, 2022-23 시즌 여름 이적시장을 끝으로 토드 볼리 구단주가 취임한 첼시의 새 디렉터로 영전한다는 루머가 있다. 6월 20일 마리나 그라노브스카이아의 사임이 발표되며 링크가 더욱 진해졌다.

2024년 12월 8일, 스포츠 디렉터로 부임한 지 5개월 만에 댄 애쉬워스 디렉터와 결별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다시 한번 대체자로 그를 모니터링 중이라는 소식이 나왔다.

2025년 1월 6일부로 구단과의 계약을 상호 해지하며 12년간 몸담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를 떠나게 되었다. # 무직 생활 기간 동안 런던에 머물면서 영어 공부를 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다음 행선지로 프리미어 리그 구단이 유력시되고 있다. 베르타 본인 역시 프리미어 리그에서 일해보고 싶은 열망이 큰 것으로 보도됐다. 1월경에 AC 밀란이 디렉터직을 위해 접근했지만 베르타가 이를 거절했다고 한다. 이후 현재 디렉터직이 공석인 아스날 FC와 협상에 큰 진전이 있으며 3월 이내로 계약이 완료될 것이라고 파브리지오 로마노마테오 모레토가 동시에 보도했다.

2025년 3월 9일, 파브리지오 로마노가 아스날 FC행이 성사될 예정이라고 기사를 띄웠다.

2.1. 아스날 FC 풋볼 디렉터

2025년 3월 30일, 아스날 FC와 계약하고 스포츠 디렉터로 부임하였다.

전임자였던 에두 가스파르가 시즌 중에 나가버리는 바람에 이적 및 재계약 작업을 마무리하기도 해야하며 방출 작업도 해야하는, 부임 첫 해부터 막중한 임무를 떠안게 됐다. 특히 아스날이 25/26 시즌 여름 이적시장에서 스트라이커, 윙어, 미드필더 2명, 풀백, 골키퍼까지 영입을 할 계획인지라 베르타의 경험과 영향력이 그 어느 때보다 더 중요해졌다.

부임하자마자 본인의 픽이였던 브루누 기마랑이스, 빅토르 요케레스 이적설을 띄우고 이적 시장 계획에 포함시키면서 매우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또한 니코 윌리암스의 에이전트와 협상을 하고 요케레스 역시 협상을 진행 시키는 등, 전임자였던 에두 가스파르와 차원이 다른 일 처리 속도와 시원시원한 플랜B, 플랜C 설정까지 보여주면서 아스날 팬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이후 이적시장이 시작되자 전임자였던 에두 가스파르에게서 볼 수 없던 유형의 일처리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전에 작업됐던 마르틴 수비멘디 딜의 마무리부터[2] 시작해 아스날에 취약하면서도 백업으로 빠르게 보강해야될 포지션들에 케파 아리사발라가[3], 크리스티안 뇌르고르[4] 등 PL에 적응 및 증명됐고 싼값에 집어올 수 있는 선수부터 시작해 센터백 서브로도 발렌시아의 크리스티안 모스케라를 곧바로 작업하는데다가 사카가 누워버릴 것에 대비해 첼시의 노니 마두에케도 컨택하고 크리스탈 팰리스의 에베레치 에제를 영입하고, 키비오르를 방출하고 바이어 04 레버쿠젠피에로 잉카피에의 이적설을 띄우고, 레알 마드리드의 호드리구도 이적설도 띄우는 등 굉장히 과감한 이적행보를 보여주었다. 여기에 스포르팅과 라이프치히가 협상에서 불리한 점을 이용하여 요케레스, 베냐민 세슈코에 대해 적절한 언론 플레이를 활용해 아스날이 끌려다니는 이적 시장이 아닌 아스날이 주도하는 이적 시장을 보여주면서 이전에 수동적인 이적 시장 문화에 익숙했던 아스날 팬들에게는 거의 신세계나 다름없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3. 평가

2010년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성공에 있어서 디에고 시메오네와 함께 자주 언급되는 인물 중 한 명이다. 베르타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서 재임하는 동안 라리가 2회, 코파 델 레이 1회,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1회, UEFA 유로파 리그 1회, UEFA 슈퍼컵 1회 우승하면서 스페인을 넘어 유럽에서 제일가는 명문팀으로 발돋움하는데 성공했다.

베르타의 가장 큰 장점은 선수 보는 안목이 굉장히 넓다는 것이다. 포텐이 터지기 직전인 어린 선수부터 시작해 마지막까지 단물을 빨아먹을 수 있는 노익장까지 베르타 체제 하에 아틀레티코의 성공적인 영입은 정말 많다.

다비드 비야, 루이스 수아레스, 키어런 트리피어, 악셀 비첼과 같이 이전 구단들에서 쫓겨나는 모양새인 나이가 있는 자원들을 데려와 적재적소에 써먹게 도와주기도 했고, 앙투안 그리즈만, 로드리, 얀 오블락, 훌리안 알바레스, 로드리고 데 파울 같이 전성기 직전 나이에 있던 어린 선수들을 데리고 와서 팀의 핵심으로 자리 잡게 하는데도 성공했다. 디오구 조타, 마르코스 요렌테, 사무엘 리누 같이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선수들을 쏙쏙 집어와 잘 팔거나 팀의 자원으로 자리 잡게 하는 등 안목만 본다면 2010년대에 베르타에 견줄 만한 사람이 거의 없는 수준이다.[5]

싸게 사와 비싸게 파는 장사질도 굉장히 잘하는 유능한 단장으로 그리즈만, 뤼카 에르난데스, 로드리, 토마스 파티, 마테우스 쿠냐, 라다멜 팔카오, 잭슨 마르티네스, 디에고 코스타, 아르다 투란, 야닉 카라스코, 젤송 마르틴스, 테오 에르난데스, 라울 히메네스, 헤낭 로디, 알바로 모라타, 필리페 루이스, 올리베르 토레스 등 정말 성공한 선수부터 실패한 선수들까지 이적료 수익을 짭짤하게 잘 올리기로도 유명하다.[6]

영입 외적인 부분에서 가장 큰 호평을 받는 것은 그 한 성깔한다는 디에고 시메오네 감독과 무려 11년 동안 일을 했다는 것이다. 시메오네 감독은 단순히 생긴 것뿐만 아니라 실제 성격도 굉장히 불같고 한 성깔해서 베르타와 사무적으로 충돌한 경우가 더럿 있다고 한다. 시메오네가 아틀레티코에서 살아 있는 전설의 입지인 것을 감안한다면 어마어마한 도전이지만 베르타의 의견이 이겨 성공시킨 경우도 있기에 결국 시메오네와 함께 11년이라는 시간을 일한 것이다. 특히 축구에서 감독이나 디렉터 중 한쪽의 영향력이 과도하게 커지면 구단의 방향성이 틀어져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 구단이 흔들리는 경우가 더럿 있는데 자칫하다가 너무 커질 뻔한 시메오네의 영향력을 적절히 통제 시켜준 인물인만큼 베르타도 어마어마한 고집과 성깔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팬들 사이에서는 제멋대로 움직인 전적이 몇 번 있어 호불호가 다소 갈리긴 하지만 적어도 아틀레티코의 성공에 있어 큰 축이 되어준 인물인 것은 확실하다.

물론 완벽한 사람은 없듯이 이 양반도 커리어에 오점을 남길 만한 행보가 있다. 대표적으로 주앙 펠릭스에게 구단 레코드 이적료를 갱신하고 데려오거나 아르투르 베르미렌, 마르쿠스 파울루 등 시메오네가 원하지 않은 선수들을 영입하여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신임을 잃었고, 결국 팀을 떠나게 되었다.

4. 여담

공식 석상에서 인터뷰를 거의 하지 않는 등 매우 비밀리에 일을 처리하는 스타일이다. 기자들은 별로 좋아하지 않겠지만 구단 입장에서는 좋은 스타일의 디렉터이다.

조르제 멘데스를 포함해 많은 에이전트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를 이용해 영입 경쟁에서 우위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보드진
직책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명예 회장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켄 프라이어 Kenneth Friar OBE [1]
대주주 파일:미국 국기.svg 스탠 크랑키 Stan Kroenke
이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페컴의 해리스 남작 Lord Harris of Peckham [2]
이사 파일:미국 국기.svg 조시 크랑키 Josh Kroenke [3]
이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팀 루이스 Tim Lewis
CEO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차드 갈릭 Richard Garlick
스포츠 디렉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안드레아 베르타 Andrea Berta
코칭 스태프
직책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감독 파일:스페인 국기.svg 미켈 아르테타 Mikel Arteta [4]
수석 코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알베르트 스타위벤베르흐 Albert Stuivenberg
파일:스페인 국기.svg 미겔 몰리나 Miguel Molina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가브리엘 에인세 Gabriel Heinz
세트피스 코치 파일:프랑스 국기.svg 니콜라스 조버 Nicolas Jover
골키퍼 코치 파일:스페인 국기.svg 이냐키 카냐 Iñaki Caña
보조 골키퍼 코치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테리 메이슨 Terry Mason
피트니스 코치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베리 솔란 Barry Solan
피트니스 코치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샘 윌슨 Sam Wilson
피트니스 코치 파일:스페인 국기.svg 이잔 마르틴 Izan Martin
팀 닥터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자프 이크발 Zaf Iqbal
스포츠 과학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톰 앨런 Tom Allen
총괄 분석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벤 체드윅 Ben Chadwick
총괄 스카우터[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제이슨 아야토 Jason Ayto
수석 스카우터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제임스 엘리스 James Ellis
아카데미 매니저 파일:독일 국기.svg 페어 메르테사커 Per Mertesacker [6]
U-21 감독 파일:국기.svg
U-18 감독 파일:웨일스 국기.svg 아담 버첼 Adam Birchall
구단 정보
구단주: 아스날 홀딩스 공개주식회사 / 감독: 미켈 아르테타 / 구장: 에미레이트 스타디움
출처: Transfermarkt / 최종 수정 일자: 2020년 8월 16일

[1] 60년 넘게 아스날 보드진에서 헌신한 레전드. 에미레이츠 스타디움 이전에 큰 역할을 하였다.[2] 일대귀족이다[3] 대주주 스탠 크랑키의 아들[4]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아스날 소속으로 2년 간 주장직 연임. 2번의 FA컵 우승에 기여한 아스날 암흑기의 최고 레전드 중 하나.[5] 테크니컬 디렉터 겸직[6]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아스날에서 뛰며 3번의 FA컵 우승에 기여, 2시즌 간 주장직 수행. 아스날 암흑기의 최고 레전드 중 하나.

}}}}}}}}} ||


[1] 현재는 해체되었다.[2] 물론 수비멘디는 사실상 에두와 아이토의 합작으로 진작에 끝난 거나 마찬가지였다고 한다. 베르타는 마지막 도장 찍는 수준으로 할 일이 없었다고. 오히려 베르타가 오기 전에 이만큼 완료되지 않았다면 베르타는 다른 대안들을 찾아봤을 거라는 기사가 디 애슬레틱에서 나오기도 했다.[3] 원래의 1픽이던 가르시아에 대해서 서브 키퍼에게 지나친 이적료를 지불하기를 꺼리며 빠르게 대안들을 훑었고, 그렇게 지체없이 케파를 데려왔다.[4] 구단은 처음에는 아구메와 같은 젊은 수비형 미드필더를 서브 수미로 생각했으나 경험 있는 PL 출신의 수미가 팀에 더 도움이 되겠다는 판단으로 바로 뇌르고르로 선회했다.[5] 로드리는 발롱도르를 받았고, 그리즈만 역시 발롱도르 포디움에 들어가고 월드컵 위너까지 된 걸 감안하면 실로 어마어마한 안목이다.[6] 특히 유벤투스에게 모라타 임대료로 300억을 받아내거나 펠릭스의 첼시 반 시즌 임대 이적으로 170억 받아낸 것을 보면 엄청난 협상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