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아톨'''{{{#!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죠죠의 기묘한 모험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무함마드 압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무함마드 압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무함마드 압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죠죠의 기묘한 모험의 등장인물: }}}[[무함마드 압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무함마드 압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무함마드 압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꽃의 시녀 고딕메이드에 등장하는 아톨의 시녀 |
1. 개요
파이브 스타 스토리에 등장하는 세력.아톨 성도왕조(アトール聖導王朝)는 거대한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조커 성단의 일반적인 국가와는 달리 실체가 없고 국경도 없는 국가이다.
아톨 성도왕조에 직속된 영토 또한 성궁 란과 란 교도학원을 포함해도 얼마 안 되는 수준이며 그나마 해당 영토가 인정된 이유도 드래곤 네이쳐로 인해 국가의 권력이 먹히지 않는 카스테포에 소속된 이스트 하스하에 있기 때문이다. 군사력의 경우에도 자체적인 기사단을 보유하지만 숫자가 적어서 수비만 가능한 실정이다.
기본적으로 아톨 성도왕조와 아톨의 무녀는 상징적인 존재이다. 그러나, 행성 보오스의 인구 대부분을 차지하는 미노그시아 민족과 국가의 정신적인 지주이자 영적인 버팀대로 절대적인 지지를 얻고 있다.
아톨 성도왕조를 이해하기 쉽게 비유하자면 아톨의 시녀는 교황이라고 보면 되고 성궁 란은 교황령이라고 보면 된다. 이렇게 보면 특이한 계승이나 직접 다스리는 영토는 작은데 영향력은 매우 높은 것을 한눈에 알 수 있다. 조커 성단에 공식적인 종교가 존재하지 않아서 정신적인 지주라고 불리는 것이지 실질적으로는 종교의 지도자나 마찬가지다. 그래서인지 필모어 제국의 원로원처럼 겉으로는 아톨 성도왕조를 인정하지만 속으로는 초제국부터의 기억을 계승받았다는 주장을 증거없이 제멋대로 주장하는 미친 여성 정도로 얕잡아보는 경우도 많다.
마도대전 이후에는 베일에 가려진 모습을 버리고 정식으로 미노그시아 연합을 지배하는 아톨 성도제국이 될 예정이며 A.K.D의 성단 대침공 이후에도 아톨 성도왕조의 존속은 인정받을 예정이다.
2. 배경과 역사
|
아톨 성도왕조의 문장 |
이렇게 임명된 아톨 황제는 "아톨의 시녀(アトールの詩女)"라고 일컬어지는 모두가 강력한 파라사이멀 능력이나 정신감응 능력을 가지고 있는 처녀이며, 수 만년이나 이전의 AD세기부터 초제국의 멸망까지 모든 기억을 물려 받고 있다. 그리고 사망한 전임 시녀의 기억도 전수받으며 퇴임하였으나 아직까지는 생존중인 시녀의 경우에는 사망한 후에 해당 기억이 계승된다.
아톨 여황제의 유일한 법적 권위는 황제를 지키는 경호 기사인 네들 시발리스(ネードル・シバレース)를 임명하는 것이다. 무녀에게 지목된 네들 시발리스는 아톨 왕조의 기기인 디 카이제린을 몰게 된다. 이 아름다운 GTM에 새겨진 아톨 문장을 본 자라면 미노그시아인이라면 절대 칼을 마주해서는 안 되는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생전에 무그미카는 네들 시발리스를 공석으로 비워두다가 성단력 2997년에 야보 비트를 임명했으나 얼마 후 보스야스포트에게 살해당하고 말았고, 그녀 사후인 2998년에 더글라스 카이엔이 AP 기사단장과 겸임하게 된다. 카이엔이 전사한 후에는 다시 공석이 되어 있으나, 마그달은 개전 전에 아르르 포르티시모 멜로디 왕녀를 경호 기사로 지명한 일이 있었다. 이후에는 마그달 아톨은 특수한 임무를 담당하게 되므로 데프레 첸 아톨이 지휘하는 별도의 조직이 호위를 담당하게 되며 디 카이제린도 임무를 다했다고 판단되면서 아마테라스에게 우호의 상징으로 넘겨지게 된다. 그러므로 아르르 포르티시모 멜로디는 별도의 호위 조직을 만들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선대 아톨 황제였던 나트륨 푼푸트는 콜러스 왕조의 구성원이었던 멜로디 가문과 불륜을 저지르고 아이를 임신하고 출산한 탓에 황제의 자리도 박탈 당했다.[1] 그 후임으로 하스하 연합공화국의 대표 의장 라오 코렛트 16세의 손녀인 무구미카 콜렉트가 새 황제로 지명되었다.
그러나 무구미카 왕녀는 3030년에 마도대전이 개전될 때 보스야스포트의 공격으로 네들 시발리스인 검성 더글라스 카이엔와 함께 전사해버려, 나트륨 푼푸트가 임시로 다시 복위되었다. 무그미카는 보스야스포트에게 살해 당하기 전에 검성 더글라스 카이엔의 딸 마그달 비트를 후임 아톨 황제로 지명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마그달이 어린데다 공식적인 조치가 아니어서 나트륨 푼푸트 재임 시기에 성궁 란을 다스리던 신관들이 여러가지 이유를 들어가면서 거부한 탓에 실제로 즉위하기까지 긴 세월을 기다려야만 했다. 그리고 마그달 비트의 경우에는 특별한 임무를 수행해야 하기에 이후의 아톨 성도왕조는 아르르 포르티시모 멜로디가 평온의 시녀(静謐の詩女)라는 별칭을 받으며 이어나간다.
3. 임무와 처지
아톨의 시녀는 크게 나누면 3가지의 임무를 수행한다.구분 | 상세 |
1 | 조커 성단 전체에 영향을 주는 중대한 사건이나 운명을 파악 및 조치 |
2 | 조커 성단 내부의 국가간의 외교나 교섭 및 중요 인물의 보호와 성궁 란의 관리 및 다이버의 권익 향상 |
3 | 미노그시아 백성을 포함한 행성 보오스의 주권 보호 및 민심 파악과 달래기 |
여기서 발생하는 문제는 시간이 흐를수록 3번 문제가 소홀해진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행성 카마인으로 불리면서 강대국들의 식민지나 종속국, 괴뢰국이 난무하던 상황이므로 아톨의 시녀가 직접 나서서 3번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었지만 시간이 흐르며 행성 보오스로 이름이 바뀌고 행성 내부의 국가들도 정식 국가로 인정받으며 가마샨 공화국처럼 강대국이 되거나 하스하 연합공화국처럼 초강대국이 되는 경우까지 발생하므로 상대적으로 3번 문제의 중요성이 낮아졌다.
게다가 아톨의 시녀를 확보해서 보오스에서의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다른 행성의 강대국들의 간섭이 이어지고 미노그시아 민족들도 통일 및 천하를 호령하려는 생각하에 아톨의 시녀를 확보하려고 했기에 아톨의 시녀의 거점지가 국가의 권력이 침투할 수 없는 카스테포에 속하는 이스트 하스하의 성궁 란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음모와 계략이 판을 쳐서 동궁-서궁의 난같은 사태가 벌어지게 되므로 직할영토인 성궁 란에 대한 관리도 아톨의 시녀가 신경을 써야 했다.
따라서 점점 3번 문제에 대한 대응이 늦어지고 아톨의 시녀가 점점 백성들과 분리되면서 영향력이 점차 사라지는 사태가 일어나기 시작했으며 결정적으로 나트륨 푼푸트가 불상사로 빠른 퇴위를 하게 됨으로서 무구미카 콜렉트가 즉위하자 할아버지인 코렛트 왕이 본거지인 하스한트 공화국의 수도 베이지의 황궁이 원래 무구미카 콜렉트가 거주하는 곳이라는 점을 어필하고 성궁 란에 남아있던 기존의 신관들과 협의를 진행해서 무구미카 콜렉트는 그냥 베이지의 황궁에 남고 성궁 란은 형식상 하스하 연합공화국의 산하에 있는 자치구역으로 기존의 신관들이 지배한다는 협의를 이끌어내게 된다.
코렛트 왕의 생각은 적중해서 아톨 성도왕조를 모시는 하스한트 공화국이 하스하 연합공화국의 주재국 자리를 확고하게 굳혔으며 기렐 하스하 왕국같은 경쟁자도 입을 다물 정도로 내부 통합이 원할하게 진행되었으며 하스하 연합공화국이 크게 발전해서 국력이 상승하는 효과를 불러왔다.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교황과 교황령이 분리되는 아비뇽 유수같은 사태가 벌어지면서 구중궁궐 안에 있는 무구미카 콜렉트는 1번과 2번 임무는 제대로 수행하였으나 강대국의 지도자 계급도 쉽게 만나보기가 어려운 처지가 되므로 3번 임무는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그리고 2번 임무의 경우에도 성궁 란이 사실상 통제가 안되는 지역으로 전환되면서 친위세력도 제대로 모으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실질적인 민심 이반이 발생했으므로 마도대전에서 무구미카 콜렉트가 위기에 몰렸음에도 불구하고 심지어 성궁 란에서도 구원군이 오지를 않고 기렐 하스하 왕국같은 미노그시아 민족의 국가도 무구미카 콜렉트를 구원하려고 하지 않았다. 민심도 좋지 않았는지 나중의 일이지만 우주도시인 단다그라다에 배치되었다가 마도대전 이후에 단다그라다와 함께 도마 연합 소속이 된 AP기사단 SPK대의 수장이 신분을 숨기고 마그달 아톨을 찾아내기 위해 방문한 헤아드 글로버에게 분노하면서 폭언한 말에 따르면 아톨의 시녀는 한번도 이런 곳을 방문하지 않았으니 우주에 사는 우리들을 백성으로 전혀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본다고 했다. 이전의 시녀들도 본거지인 성궁 란에만 주로 거주해서 백성들을 직접 보고 살펴주는 일에 소홀해졌는데 아예 황궁에서만 머무르는 무구미카 아톨의 경우에는 이런 증상이 더 심각해진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인지 일단 나트륨 푼푸트가 복위해서 2번 임무를 중점적으로 수행하는 한편 차기 시녀가 될 마그달 아톨과 아르르 포르티시모 멜로디는 각각 현지의 백성들과 접촉하며 고민을 들어주고 해결책을 제시하거나 위로해주는 등 민심을 파악하고 위로해주는 역할을 수행중이다. 그리고 마그달 아톨이 영원의 시녀가 되면서 특수임무를 담당하므로 앞으로 1번 임무를 중점적으로 수행할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아르르 포르티시모 멜로디는 3번 임무를 중점적으로 수행하며 2번 임무를 부수적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4. 역대 아톨의 시녀
|
아톨의 시녀 중 주요 인물 소개 |
아톨의 시녀는 생전 퇴위가 가능하며 출산을 하면 자동으로 퇴임당하므로 한 시대에 현임 시녀와 전임 시녀 여러 명이 생존중인 경우도 있다. 나트륨 푼푸트의 경우를 생각해본다면 들키지만 않는다면 성관계를 하거나 애인을 두는 것까지는 문제가 없고 임신하더라도 감출수만 있다면 아톨의 시녀로 활동이 가능하지만 많은 사람을 만나야 하므로 결국 복장으로 감추는 것에 한도가 발생하면 들키게 되며 퇴임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기본적으로는 처녀여야 할 아톨의 시녀가 낳은 후손이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특별한 임무를 위해 아톨의 시녀가 2명이 동시에 재임중인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1명은 통상적인 아톨의 시녀의 임무 및 계승을 담당하며 나머지 1명은 특수임무에 집중해서 활동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라이히 나카카라와 멜 쿨 리트라이며 아르르 포르티시모 멜로디와 마그달 아톨도 같은 경우다. 차이점이 있다면 멜 쿨 리트라는 임무를 수행하다가 수명 단축으로 인해 일찍 죽었기 때문에 이후의 아톨의 시녀와 재임기간이 겹치지는 않지만 마그달 아톨의 경우에는 명칭인 영원의 시녀처럼 재임기간이 무한대라서 이후의 아톨의 시녀들과 재임기간이 모두 겹친다는 차이다. 그래서 마그달 아톨은 이런 점도 고려해서 재임기간중에 은거해서 외부에서 관측되는 활동을 거의 하지 않았고 일반적으로는 특수 임무에 종사하는 아톨의 시녀는 시녀로 인정은 하지만 일반적인 아톨의 시녀로 인정하지는 않으므로 일반적인 백성들이 볼 때 아톨의 시녀는 항상 1명이다.
매우 특수한 경우에는 전임 시녀가 다시 복위하는 경우가 있다. 나트륨 푼푸트가 대표적이다. 현임 시녀인 무구미카 콜렉트가 보스야스포트에게 살해당하고 마그달 아톨을 추적하고 있기 때문에 임시적으로 성궁 란을 담당할 시녀가 필요했던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별칭이 두개가 된다.[2]
아톨의 시녀는 전임 시녀의 기억들도 계승하지만 해당 전임 시녀가 사망한 후에나 기억의 계승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임 시녀들이 살아있는 경우에는 현임 시녀가 해당 전임 시녀의 기억을 계승하지는 못한다. 그리고 아톨의 시녀가 사망한 후에는 전임과 현임을 가리지 않고 다이버포스에 의한 일종의 혼령이 되는데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모습은 해당 시녀가 선택한 전성기 시절의 모습인 것으로 보인다. 라이히 나카카라의 경우에는 재임기간이 성단력 2010년부터 2130년으로 상당히 길지만 영혼 상태로 나타날 때는 재위기간 초반의 10대 모습으로 나타난다.[3]
별칭 | 인물 | 비고 |
시녀원모 | 네들 나인 | 헬리오스 나인 유니오 III (詩女原母 ヘリオス・ナイン・ユニオIII) 최초의 아톨의 시녀 |
검은 성녀 | 얀 밧슈 | 얀 다카스 카스테포 유니오 IV (黒の聖女 ヤーン・ダッカス・カステポー ユニオIV) 실질적인 초대 아톨의 시녀 |
중원의 시녀 | 나이민 하스하 아톨 | - |
별의 시녀 | 수지타스 보오스 | - |
매듭의 시녀 | 아오이 라쇼라 | - |
녹색의 성녀 | 지스데라 토크난 | - |
북쪽 끝의 시녀 | 로쇼 오하이네 | - |
개국의 시녀 | 휴시아 릴레 | (開国の詩女 ヒュツァ・リルレ) |
집약의 성녀 | 유르라 | (集約の聖女ユールラ) 역대 시녀 중 한 명으로 묶은 검은 머리칼에 금빛 의상을 입는다. 집약의 성녀라고는 존칭은 행성 카마인(カーマイン)에 산재하는 소국을 묶어 국가의 기반을 형성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리부트 이후의 설정에서는 쿠루루 타이달이 집약의 여왕(集約の女王)이라고 불리고 있어 유르라의 존칭에 대해서는 변경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
꽃의 시녀 | 베린 란 | 란 유니오 V(花の詩女 ラーン・ユニオV) |
- | 나오스 아톨 | (ナオス・アトール) |
아침노을의 시녀 | 나쥬그 카테리 | (朝焼けの詩女 ナージュグ・カテリ) |
아름다운 빛의 시녀 | 라이히 나카카라 | - |
용맹의 시녀 | 멜 쿨 리트라 | 멜 쿨 리트라 아마테라스(メル・クール・リトラ・天照) 아마테라스 교육 및 관리를 위한 결혼 및 특수임무 종사 |
집약의 시녀 | 쿠루루 타이달 | - |
모든 것을 보는 시녀 | 에다쿠다 아톨 | 볼리 에다쿠다(ホルリ・エダクダ) |
포옹의 시녀 | 루샨키 달탄 | - |
정적의 시녀 | 지키지디 아톨 | 토키 지키지디(トーキィ・ジキジディ) |
청천의 시녀 | 보르사 바스코 아톨 | - |
침묵의 시녀/매혹의 성녀 | 나트륨 푼푸트 | 퇴위 후 복위로 별칭이 2개다. |
전생의 왕녀 | 무구미카 콜렉트 | 하스한트 공화국 수도 베이지의 황궁에서 거주 |
영원의 시녀 | 마그달 아톨 | 이후의 미래를 관찰하고 대처하는 영원한 임무를 담당하는 특수임무 종사 |
평온의 시녀 | 아르르 포르티시모 멜로디 | 평온(정밀)의 시녀(静謐の詩女) 기사의 능력도 보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