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두브라프카ㆍ2 워커ㆍ3 하르트만ㆍ4 워럴ㆍ5 에스테브ㆍ6 튀앙제브ㆍ7 브룬 라르센ㆍ8 우고추쿠ㆍ9 포스터ㆍ10 에드워즈ㆍ11 앤서니ㆍ12 험프리스 13 바이스ㆍ14 로버츠ㆍ16 플로렌티누ㆍ17 차우나ㆍ18 에크달ㆍ19 플러밍ㆍ20 그린 22 소네ㆍ23 피레스ㆍ[[조쉬 컬렌|24 컬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f0041; font-size: .8em"]]ㆍ25 암도우니ㆍ27 브로야ㆍ28 메브리ㆍ29 로런트 31 트레소르ㆍ32 흘라드키ㆍ34 바넬ㆍ35 반스ㆍ36 바이어ㆍ44 델크루아ㆍ48 아계이 |
| |
|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 | |||||
| <colbgcolor=#5f0041><colcolor=#fff,#e5e5e5> 번리 FC No. 27 | |||||
| 아르만도 브로야 Armando Broja[1] | |||||
| 출생 | 2001년 9월 10일 ([age(2001-09-10)]세) | ||||
| 잉글랜드 버크셔주 슬라우 | |||||
| 국적 | | () | ||||
| 신체 | 키 191cm / 체중 84kg | ||||
| 포지션 | 스트라이커 | ||||
| 주발 | 오른발 | ||||
| 소속 | <colbgcolor=#5f0041><colcolor=#fff,#e5e5e5> 유스 | 번햄 주니어스 (2006~2007) 토트넘 홋스퍼 FC (2007~2009) 첼시 FC (2009~2020) | |||
| 선수 | 첼시 FC (2020~2025) → SBV 피테서 (2020~2021 / 임대) → 사우스햄튼 FC (2021~2022 / 임대) → 풀럼 FC (2024 / 임대) → 에버튼 FC (2024~2025 / 임대) 번리 FC (2025~ ) | ||||
| 국가대표 | 33경기 6골 (알바니아 / 2020~ ) | ||||
| 링크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5f0041><colcolor=#ffffff> 등번호 | SBV 피테서 - 11번 사우스햄튼 FC - 18번 첼시 FC - 19번, 18번, 57번[2] 풀럼 FC - 9번 에버튼 FC - 22번 | |||
| 후원사 | 푸마[3] | ||||
1. 개요
알바니아 국적의 번리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스트라이커.2. 클럽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르만도 브로야/클럽 경력#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르만도 브로야/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국가대표 경력
2019년 5월, 알바니아 대표팀 트레이닝 캠프에 합류하여 같이 훈련을 받았다.2019년 6월, 알바니아 U-19 대표팀과 코소보 U-19 대표팀과의 친선 경기에 선발 출장하여 데뷔골까지 기록하였다. 또한 며칠 후 알바니아 U-21 대표팀에 바로 합류하여 웨일스 U-21 대표팀과의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고 여기서 2골을 기록했다.
이른 나이에 성인 대표와 같이 훈련하게 하고 바로 유소년 대표 경기에 뛰게 하는 것으로 보아 알바니아가 그에게 거는 기대가 얼마나 큰지 짐작해볼 수 있다.[4]
2020년 9월, UEFA 네이션스 리그를 앞두고 알바니아 성인 대표팀에 합류했다.
UEFA 유로 2024, 알바니아 대표팀에 소집되었다. 등번호는 23번.
예상외로 우승후보 스페인전에서 엄청난 활약을 보여주었다. 여전히 골결정력은 보여주지 못했지만, 과거 첼시팬들 기대했었던 피지컬을 살린 돌파능력, 상대 수비수를 압도하는 스피드[5], 동료를 살려주는 연계능력까지. 의외의 활약에 첼시팬들은 "그래도 팔리긴 하겠구나..."라고 안도하고 있다.
4. 플레이 스타일
190대의 피지컬을 갖춘 거구지만, 거구와는 상반되는 빠른 속도에 기반을 둔 직선적인 드리블을 즐긴다. 피지컬이 좋은 선수임에도 전방에서 경합을 통해 압박을 버텨주거나 헤더를 따내는 타겟맨 성향의 공격수는 아니며, 속도와 피지컬을 활용하는 드리블을 통해 상대 수비진을 비집고 들어가 득점을 시도하는 현대적인 어드밴스 포워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물론, 피지컬은 좋은 선수이기 때문에 전술적인 역할에 따라서 전방에서 공중볼을 따내거나 경합 상황에서 버텨준 후 공을 건네주는 플레이를 시도할 수도 있으며, 박스 안으로 들어온 이후에는 신체 조건을 이용해 강력하면서도 역동적인 슈팅을 구사할 수 있다.브로야는 어드밴스 포워드답게 활동 반경이 중앙 공격수임에도 넓은 편이며, 이를 뒷받침하는 체력도 좋다. 내려와서 플레이하다가도 순간적으로 공간이 보인다면 마치 포쳐처럼 침투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것이 드리블 능력과 시너지를 일으켜 매우 위협적인 장면을 연출한다. 수비 상황에서는 전방 압박과 수비에 성실히 가담하는데, 특히 사우스햄튼 FC 임대 시절 랄프 하젠휘틀 휘하에서 뛰면서 압박 수행 능력에 있어서의 효율성과 적극성이 비약적으로 성장했다.
첼시 유스 출신이라는 점에 더해, 속도와 신체 조건이 좋고 드리블 능력과 슈팅력에 활동 반경을 넓게 가져가는 등 완성형 스트라이커가 가져야할 요소들을 모두 갖춘 선수로 평가를 받으며, 많은 기대를 받았었다.
그러나, 첼시의 유망주 스트라이커였던 브로야는 잦은 부상 이력이 늘어가면 폼이 점점 떨어지기 시작했다. 2022년에 당한 전방 십자인대 파열을 시작으로, 2023년 프리시즌에서의 아킬레스건 손상, 2025년에 당한 발목 인대 손상 등 다양한 부위로 장기 부상을 당하면서 신체 조건을 강점으로 플레이를 펼치던 브로야의 장점이 떨어졌다고 평가받는다.
특히, 그의 유리몸 현상은 브로야가 즐겨하는 드리블 때문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드리블을 즐겨 시도하는 브로야의 특성 상, 최전방 공격수임에도 공을 오래 소유하는 버릇이 있는데, 이 때문에 공격 상황에서 공격 템포를 지나치게 끄는 현상이 발생하고 본인의 압박 부담이 늘어나면서 공을 빼앗기게 된다. 이는 첼시 유스 시절부터 현재까지 계속해서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공을 받고 전방으로 운반하는 능력은 괜찮지만, 시야가 좁아서 상대 수비와 대치할 때에는 주변을 살피지 못해 빈 공간으로 침투하는 동료를 보지 못하고 땅만 본 채 상대를 제치려고 한다. 결정적인 찬스에서 본인이 패스 한번만 하면 바로 득점으로 연결될 수 있는 상황에서도, 동료가 위치한 오픈찬스 상황에서도 패스를 죽어라 안 해서 문제가 심각한 편. 사우스햄튼 같은 중하위권 클럽에서야 팀원의 결정력이 못 미더우니까 이러한 플레이스타일이 용인될 수 있었겠지만, 상위 클럽의 입장에서 필연적으로 역습 상황보다 밀집 수비나 지공 상황을 자주 맞이하는 첼시에서는 브로야의 좁은 시야 문제는 더욱 심각하게 다가올 수 밖에 없었다. 그렇다고 공을 다루는 것이 세밀한 선수도 아니기에, 신체 조건을 사용해 압박을 버텨내며 공을 지키는 일이 대다수다.
공격수로서 시야가 좁은 선수이기에, 넓은 활동 반경을 보유했음에도 공이 없는 상황에서 본인의 기지를 바탕으로 빈 공간으로 침투해 득점을 시도하는 움직임을 가져가지 못한다. 언급한대로 시야가 좁아서 공만 보고 열심히 따라다니다 보니, 볼터치를 많이 가져가지 못하고, 어쩌다가 패스를 받은 상황에서는 무리하게 돌파나 슈팅을 가져가서 찬스를 날려먹는 경우가 많아서 득점력의 기복도 심한 편이다. 시야가 공을 쫒고 있다 보니 박스 안에서 순간적으로 밀어넣는 슈팅에는 어느 정도 두각을 드러내지만, 본인 힘으로 밀고 들어가서 슈팅을 만들어내는 경우의 수는 매우 적다.
마지막으로 신체 조건은 좋은 편이지만, 본인 신체 조건에 있어 신장의 우월함과 뛰어난 점프력을 활용하지 못한다. 키가 큰 장신의 공격수임에도 공중볼 경합 상황에서 약점을 보인다. 앞서 언급한 대로 점프력에서 나오는 타점은 좋은 선수지만, 공이 없을 때 낙구 지점을 파악한 후 위치를 선점하는 움직임에 있어서의 센스와 판단이 부족한 선수라서 그저 시야가 공을 따라가기만 하고 공중볼을 따내지 못한다. 그래서 공중볼 상황에서 공을 따내지 못하고 수비와 몸싸움만 하다가 파울을 범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바디 밸런스도 그다지 좋지 못해서 경합 중에는 공을 놓치고, 공을 갖고 있을 때 경합이 들어오면 넘어지는 빈도가 높아서 반드시 스스로 극복해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결론적으로 뛰어난 신체 조건과 잠재성을 가지고 있지만, 축구 지능의 문제와 템포를 잡아먹는 성향 때문에 아직 빅클럽에서 활약하기에는 부족한 실력을 가진 선수라고 할 수 있다. 나이가 어린 만큼 충분히 개선할 수 있는 선수이긴 하지만 22-23 시즌 주포인 오바메양이 부진하여 포터 체제에서 중용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월드컵 휴식기에 치러진 친선 경기에서 부상을 당하며 성장할 수 있는 시기를 놓쳐버렸다. 게다가 부상 당한 부위가 전방십자인대인지라 본인의 최대 장점인 주력에 문제가 생긴다면 첼시에서 살아남을 자신만의 무기를 잃어버릴 수도 있는 상황이 되었다.
5. 여담
- 영국에서 태어났지만 부모가 알바니아 출신이다. 국가대표도 가족의 혈통인 알바니아 대표팀을 선택했다.
- 첼시 팬이 된 건 삼촌의 영향이 컸다고 한다. 부모님은 원래 축구에 크게 관심이 없었는데, 삼촌이 워낙 첼시를 좋아해서 삼촌을 따라 스탬포드 브릿지에 자주 가면서 자연스럽게 첼시 팬이 되었다고.
6. 같이 보기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번리 FC 2025-26 시즌 | ||||
| | | | | ||
| 1 | 2 | 3 | 4 | 5 | |
| 마르틴 두브라브카 Martin Dubravka 1989.1.15 2025~2026 | 카일 워커 Kyle Walker 1990.5.28 2025~2027 | 크빌린치 하르트만 Quilindschy Hartman 2001.11.14 2025~2029 | 조 워럴 Joe Worrall 1997.01.10 2024~2028 | 막심 에스테브 Maxime Esteve 2002.05.26 2024~2030 | |
| | | | | | |
| 6 | 7 | 8 | 9 | 10 | |
| 악셀 튀앙제브 Axel Tuanzebe 1997.11.14 2025~2026 | 야콥 브룬 라르센 Jacob Bruun Larsen 1998.9.19 2025~2029 | 레슬리 우고추쿠 Lesley Ugochukwu 2004.3.26 2025~2030 | 라일 포스터 Lyle Foster 2000.09.03 2023~2028 | 마커스 에드워즈 Marcus Edwards 1998.12.3 2025~2029 | |
| | | | | | |
| 11 | 12 | 13 | 14 | 17 | |
| 제이든 앤서니 Jaidon Anthony 1999.12.01 2025~2029 | 코너 로버츠 Connor Roberts 1995.09.23 2021~2025 | 네이선 레드먼드 Nathan Redmond 1994.03.06 2023~2025 | 라일 포스터 Lyle Foster 2000.09.03 2023~2028 | 지안 플러밍 Zian Flemming 1998.08.01 2024~2025[1] | |
| | | | | | |
| 18 | 19 | 20 | 21 | 22 | |
| 에티엔 그린 Etienne Green 2000.07.19 2024~2027 | 에런 램지 Aaron Ramsey 2003.01.21 2023~2028 | 에티엔 그린 Etienne Green 2000.07.19 2024~2027 | 루카스 피레스 Lucas Pires 2001.03.24 2024~2028 | 조쉬 컬렌 Josh Cullen 1996.04.07 2022~2027 | |
| | | | | | |
| 23 | 24 C | 25 | 26 | 27 | |
| 루카스 피레스 Lucas Pires 2001.03.24 2024~2028 | 조쉬 컬렌 Josh Cullen 1996.04.07 2022~2027 | 조쉬 로런트 Josh Laurent 1995.05.06 2024~2026 | 루카 콜레오쇼 Luca Koleosho 2004.09.15 2023~2029 | 마이크 트레소르 Mike Trésor 1999.05.23 2024~2028 | |
| | | | | | |
| 28 | 29 | 31 | 34 | 35 | |
| 한니발 메브리 Hannibal Mejbri 2003.01.21 2024~2028 | 제이든 바넬 Jaydon Banel 2004.10.19 2025~2029 | 애슐리 반스 Ashley Barnes 1989.10.30 2025~2025 | 조던 바이어 Jordan Beyer 2000.05.19 2023~2027 | 에녹 아계이 Enock Agyei 2005.01.13 2024~2027 | |
| <colbgcolor=#5F0041> 구단 정보 | |||||
| 회장: 앨런 페이스/ 감독: 스콧 파커 / 홈 구장: 터프 무어 | |||||
| 출처: 번리 FC 웹사이트 | |||||
| 번리 FC U-23팀 스쿼드 보기 / 번리 FC U-18팀 스쿼드 보기 | |||||
}}}}}}}}} ||
| {{{#!wiki style="color:#fff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000000 | <rowcolor=#222222>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득점 | 소속 클럽 |
| GK | 알렌 셰리 (Alen Sherri) | 1997년 12월 15일 ([age(1997-12-15)]세) | 0 | 0 | | ||
| 엘한 카스트라티 (Elhan Kastrati) | 1997년 2월 2일 ([age(1997-02-02)]세) | 2 | 0 | | |||
| 토마스 스트라코샤 (Thomas Strakosha) | 1995년 3월 19일 ([age(1995-03-19)]세) | 37 | 0 | | |||
| DF | 이반 바이우 (Iván Balliu) | 1992년 1월 1일 ([age(1992-01-01)]세) | 17 | 0 | | ||
| 마리오 미타이 (Mario Mitaj) | 2003년 8월 6일 ([age(2003-08-06)]세) | 22 | 0 | | |||
| 엘세이드 히사이 (Elseid Hysaj) | 1994년 2월 20일 ([age(1994-02-20)]세) | 88 | 2 | | |||
| 마라쉬 쿰불라 (Marash Kumbulla) | 2000년 2월 8일 ([age(2000-02-08)]세) | 22 | 0 | | |||
| 베라트 짐시티 (Berat Djimsiti) | 1993년 2월 19일 ([age(1993-02-19)]세) | 60 | 1 | | |||
| 에네아 미하이 (Enea Mihaj) | 1998년 7월 5일 ([age(1998-07-05)]세) | 19 | 0 | | |||
| 아르디안 이스마일리 (Ardian Ismajli) | 1995년 9월 30일 ([age(1996-09-30)]세) | 44 | 3 | | |||
| 안디 하드로이 (Andi Hadroj) | 1999년 2월 22일 ([age(1999-02-22)]세) | 2 | 0 | | |||
| 아를린드 아예티 (Arlind Ajeti) | 1993년 9월 25일 ([age(1993-09-25)]세) | 31 | 1 | | |||
| MF | 케이디 바레 (Keidi Bare) | 1997년 8월 28일 ([age(1997-08-28)]세) | 29 | 2 | | ||
| 에르네스트 무치 (Ernest Muçi) | 2001년 3월 19일 ([age(2001-03-19)]세) | 15 | 3 | | |||
| 네딤 바이라미 (Nedim Bajrami) | 1999년 2월 28일 ([age(1999-02-28)]세) | 32 | 6 | | |||
| 카짐 라치 (Qazim Laçi) | 1996년 1월 19일 ([age(1996-01-19)]세) | 36 | 4 | | |||
| 윌베르 라마다니 (Ylber Ramadani) | 1996년 4월 12일 ([age(1996-04-12)]세) | 44 | 1 | | |||
| 크리스티얀 아슬라니 (Kristjan Asllani) | 2002년 3월 9일 ([age(2002-03-09)]세) | 29 | 3 | | |||
| 아미르 아브라시 (Amir Abrashi) | 1990년 3월 27일 ([age(1990-03-27)]세) | 51 | 1 | | |||
| 아드리온 파야지티 (Adrion Pajaziti) | 2002년 11월 16일 ([age(2002-11-16)]세) | 0 | 0 | | |||
| 아르버르 호자 (Arbër Hoxha) | 1998년 10월 6일 ([age(1998-10-06)]세) | 11 | 0 | | |||
| FW | 야시르 아사니 (Jasir Asani) | 1995년 5월 19일 ([age(1995-05-19)]세) | 22 | 5 | | ||
| 뮈르토 우주니 (Myrto Uzuni) | 1995년 5월 31일 ([age(1995-05-31)]세) | 38 | 5 | | |||
| 타울란트 세페리 (Taulant Seferi) | 1996년 11월 15일 ([age(1996-11-15)]세) | 26 | 3 | | |||
| 아르만도 브로야 (Armando Broja) | 2001년 9월 10일 ([age(2001-09-10)]세) | 23 | 5 | | |||
| 미를린드 다쿠 (Mirlind Daku) | 1998년 1월 1일 ([age(1998-01-01)]세) | 9 | 1 | | |||
| 일정 | 2026 FIFA 월드컵 유럽 지역예선 | 2025년 3월 21일(금) | 원정 | | |||
| 2025년 3월 24일(월) | 홈 | | |||||
| 출처: 알바니아 축구협회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3월 17일 | |||||||
| 1 베리샤 · 2 바이우 · 3 미타이 · 4 히사이 · 5 아예티 · 6 짐시티 ⓒ · 7 마나이 · 8 자술라 · 9 아사니 · 10 바이라미 11 브로야 · 12 카스트라티 · 13 미하이 · 14 라치 · 15 세페리 · 16 베리샤 · 17 무치 · 18 이스마일리 19 다쿠 · 20 라마다니 · 21 아슬라니 · 22 아브라시 · 23 스트라코샤 · 24 쿰불라 · 25 알리지 · 26 호자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