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09:32:32

아를린드 아예티

파일:Arlind Ajeti_2023-24.png
보드룸 FK No. -
아를린드 아예티
Arlind Ajeti
<colbgcolor=#177337> 본명 아를린드 아프림 아예티
Arlind Afrim Ajeti
출생 1993년 9월 25일 ([age(1993-09-25)]세)
스위스 바젤
국적
[[알바니아|]][[틀:국기|]][[틀:국기|]] |
[[스위스|]][[틀:국기|]][[틀:국기|]]
신체 185cm / 체중 81kg
주발 오른발
포지션 센터백
소속 <colbgcolor=#177337> 유스 FC 콩코르디아 바젤 (2002~2004)
FC 바젤 (2004~2010)
프로 FC 바젤 U-21 (2010~2013)
FC 바젤 (2011~2015)
프로시노네 칼초 (2015~2016)
토리노 FC (2016~2018)
FC 크로토네 (2017~2018 / 임대)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2018~2019)
바일레 BK (2020)
AC 레지아나 1919 (2020~2021)
칼초 파도바 (2021~2022)
포르데노네 칼초 (2022~2023)
CFR 1907 클루지 (2023~2024)
보드룸 FK (2024~ )
국가대표 31경기 1골[1] (알바니아 / 2014~ )


[clearfix]

1. 개요

알바니아의 국적의 보드룸 FK 소속 축구 선수.

2. 클럽 경력

2.1. FC 바젤

1990년 초 알바니아인 부모가 스위스로 이민을 오게 되면서 바젤에서 태어났다. 8살에 아버지의 영향[2]으로 축구를 시작했고, 지역팀 콩코르디아 바젤과 스위스의 명문 FC 바젤의 유소년 시스템을 거쳐 2010-11 시즌에 리저브 팀, 2011-12 시즌에는 퍼스트 팀에 데뷔해 두 팀을 오가며 시즌을 소화해왔다. 2013-14 시즌에는 리그와 컵대회, 유럽대항전 포함 35경기를 뛰며 제법 많은 경기를 소화했으나 다음 시즌에는 고작 6경기 출전에 그치면서 이적을 결심하게 되었고, 시즌이 끝난 뒤 구단과 상호 합의 하에 계약을 해지하면서 자유 계약 상태가 되었다.

2.2. 프로시노네 칼초

그렇게 자유계약 상태로 6개월을 보내다가 2015년 11월 24일, 당시 세리에 A에 있던 프로시노네와 계약 기간이 시즌 종료 때까지인 단기 계약을 체결했다. 등번호는 자신의 생년일을 딴 93번.

프르시노네에서 데뷔골을 넣고 주전 멤버로 나서며 강등권 탈출에 힘을 보탰으나 결국 세리에 B 강등을 막지 못했다.

2.3. 토리노 FC

2016년 7월 7일, 세리에 A의 토리노 FC와 3년 계약을 체결했으며, 2년 연장할 수 있는 옵션이 포함된 계약이었다.

그러나 시즌이 시작되기 전 부상을 당하며 시작부터 삐끄덕 되더니, 부상 복귀 후에는 기존 센터백 자원들에게 밀리면서 전반기 동안 데뷔전 1경기에 그치며 험난한 토리노 생활을 보냈다. 그러다 23R 엠폴리 FC전에 선발 출전하면서 오래간만에 모습을 드러내더니, 다음 라운드 페스카라전에서는 데뷔골까지 넣으며 점차 기회를 늘려가는 듯 했으나..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고 불규칙한 출전 주기로 고생하다가 시즌 막바지에는 아예 명단에서 제외되면서 그렇게 첫 시즌은 5경기 출전으로 마감했다.

2.3.1. FC 크로토네 (임대)

전력 외 멤버로 전락하면서 이적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었기에 2017년 8월 1일, 크로토네와 완전 이적 옵션이 포함된 임대 계약을 체결했다. 크로토네에서는 24경기를 출전하며 기록만 봤을 때는 토리노 시절보다 나은 입지를 보여주었다. 다만, 실상은 전반기에 꾸준히 선발로 뛰며 기회를 받았지만 실망스러운 경기력으로 결국 후반기에는 벤치 멤버로 전락했고, 출전했던 경기마저도 교체 출전이 대부분이라 성공적인 임대 생활은 결코 아니었다. 그 와중에 팀은 세리에 B로 강등당했고, 당연히 시즌 종료 후 완전 이적 옵션을 발동하지 않았다.

2.4.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2018년 9월 14일, 그라스호퍼로 이적하면서 3년만에 스위스 리그로 복귀했다.

입단 후 초반에는 주전 센터백으로 꾸준히 경기에 나섰으나 부진한 경기력으로 하프타임 때 교체된 25R FC 시옹전을 기점으로 주전에서 밀리며 지난 크로토네 임대 시절 때 전철을 다시 한번 밟았다.

2.5. 바일레 BK

2018-19 시즌 종료 후 자유계약 상태로 반 년 넘게 지내다가 2020년 2월 18일, 덴마크 수페르리가 팀인 바일레와 계약했다.

2.6. AC 레지아나 1919

바일레에서 반년을 뛰고 2020-21 시즌에는 다시 이탈리아로 건너가 세리에 B에 있던 AC 레지아나로 이적했다.

레지아나에서 잦은 부상 및 경고 누적/퇴장 징계로 인해 빠진 경기가 몇 있긴 했지만 그래도 준주전으로서 25경기에 출전했고, 2골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팀을 떠났다.

2.7. 칼초 파도바

2021년 11월 16일, 세리에 C의 파도바 칼초와 단기 계약을 체결했다. 그리고 계약 기간 동안 주전으로 26경기를 소화했고, 파도바의 세리에 B 승격을 이끌었다.

2.8. 포르데노네 칼초

2022년 7월 12일, 포르데노네 칼초와 2년 계약을 맺고 이적했다. 포르데노네에서도 주전 멤버의 자리를 유지했으며, 리그에서만 6골이나 넣는 수트라이커 면모를 선보이면서 데뷔 이래로 최다 득점 시즌을 보냈다.

2.9. CFR 1907 클루지

2023년 여름, 루마니아 명문 클루지에 입단했다.

2.10. 보드룸 FK

2024년 9월 10일, 3년 계약을 맺고 보드룸 FK에 입단하였다.

3. 국가대표 경력

혈통은 알바니아계지만, 나고 자란 곳은 스위스였기 때문에 연령대 시절에는 스위스 U-17부터 U-21까지 연령대 대표팀을 차례대로 거쳐왔었다. 그러다 2014년 10월 14일에 열린 세르비아 vs 알바니아 UEFA 유로 2016 예선 경기에서 알바니아 선수들이 보여준 자세[3]에 감명을 받아 알바니아 대표팀에 뛰는 것을 열망했고, 시간은 오래 걸리지 않아 당장 11월 A매치를 앞두고 알바니아 대표팀에 발탁되었다. 그리고 11월 14일에 열린 프랑스와의 친선 경기에서 후반 24분 아미르 아브라시 대신 교체 투입되며 알바니아 대표팀에 데뷔했다.

이듬해 3월에는 알바니아 시민권을 받으면서 공식 경기를 출전할 수 있었고, 6월에 열린 UEFA 유로 2016에도 참가해 스위스와의 첫 경기는 벤치를 지켰으나 그 경기에서 로리크 차나알바니아산 미친개 다운 파울로 퇴장 당하며 프랑스와의 2차전에서 선발로 출전하며 국제 메이저대회에 데뷔했다. 그리고 이 경기에서 그리즈만을 위시로 한 프랑스의 공격진을 상대로 훌륭한 수비력을 선보이며 85분 부상으로 교체 아웃될 때까지 무실점 방어를 이끌었으나 그가 아웃된 뒤 알바니아는 두 골을 연달아 허용하면서 0-2로 패해 조별 리그 탈락을 맞이하고 말았다.

3차전 루마니아와의 경기에서도 선발 출전해 지난 경기와 마찬가지로 단단한 수비력을 선보이며 1-0 무실점 승리를 이끔과 동시에 역대 유로 역사상 첫 승을 거두는데 성공했다.

유로 대회 이후에도 꾸준히 대표팀에 소집되며 레귤러 멤버로 뛰다가 2018년 말부터는 여러 팀을 옮겨 다니는 동안 썩 좋지 않은 경기력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이전과 달리 꾸준히 발탁되지 못했다.

그러다 2023년 말을 기점으로 하여 소속팀 클루지에서 보여준 활약상을 바탕으로 현재는 다시 대표팀에서 주전 센터백으로 활약 중이다.

4. 여담

  • 그와 형제 모두 스위스에서 태어나고 자라왔지만 알바니아어를 능숙하게 구사해 평소에도 서로 알바니아어로 대화한다고 한다.
  • 그의 아버지 아프림 아예티는 코소보 지방 출신 알바니아인으로 현역 시절 골키퍼로 활약했던 축구인이었다.

5. 같이 보기

{{{#!wiki style="color:#fff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000000
<rowcolor=#222222>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득점소속 클럽
GK 1 에트리트 베리샤
(Etrit Berisha)
1989년 3월 10일 ([age(1989-03-10)]세) 80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엠폴리 FC
12 엘한 카스트라티
(Elhan Kastrati)
1997년 2월 2일 ([age(1997-02-02)]세) 2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S 치타델라
23 토마스 스트라코샤
(Thomas Strakosha)
1995년 3월 19일 ([age(1995-03-19)]세) 25 0 파일:그리스 국기.svg AEK 아테네 FC
DF 2 이반 바이우
(Iván Balliu)
1992년 1월 1일 ([age(1992-01-01)]세) 11 0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요 바예카노
3 마리오 미타이
(Mario Mitaj)
2003년 8월 6일 ([age(2003-08-06)]세) 10 0 파일:러시아 국기.svg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4 엘세이드 히사이
(Elseid Hysaj)
1994년 2월 20일 ([age(1994-02-20)]세) 81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 라치오
5 프레데리크 베셀리
(Frédéric Veseli)
1992년 11월 20일 ([age(1992-11-20)]세) 45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티흐 카라귐뤼크 SK
6 베라트 짐시티
(Berat Djimsiti)
1993년 2월 19일 ([age(1993-02-19)]세) 55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13 존 메르시나이
(Jon Mersinaj)
1999년 2월 8일 ([age(1999-02-08)]세) 1 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NK 로코모티바 자그레브
18 아르디안 이스마일리
(Ardian Ismajli)
1995년 9월 30일 ([age(1996-09-30)]세) 36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엠폴리 FC
MF 7 케이디 바레
(Keidi Bare)
1997년 8월 28일 ([age(1997-08-28)]세) 28 2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사라고사
8 클라우스 자술라
(Klaus Gjasula)
1989년 12월 14일 ([age(1989-12-14)]세) 27 0 파일:독일 국기.svg SV 다름슈타트 98
10 네딤 바이라미
(Nedim Bajrami)
1999년 2월 28일 ([age(1999-02-28)]세) 19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S 사수올로 칼초
14 카짐 라치
(Qazim Laçi)
1996년 1월 19일 ([age(1996-01-19)]세) 23 2 파일:체코 국기.svg AC 스파르타 프라하
20 윌베르 라마다니
(Ylber Ramadani)
1996년 4월 12일 ([age(1996-04-12)]세) 32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S 레체
21 크리스티얀 아슬라니
(Kristjan Asllani)
2002년 3월 9일 ([age(2002-03-09)]세) 16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4 아르브노르 무콜리
(Arbnor Muçolli)
1999년 9월 15일 ([age(1999-09-15)]세) 4 0 파일:스웨덴 국기.svg IFK 예테보리
FW 9 야시르 아사니
(Jasir Asani)
1995년 5월 19일 ([age(1995-05-19)]세) 9 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광주 FC
11 뮈르토 우주니
(Myrto Uzuni)
1995년 5월 31일 ([age(1995-05-31)]세) 35 5 파일:스페인 국기.svg 그라나다 CF
15 타울란트 세페리
(Taulant Seferi)
1996년 11월 15일 ([age(1996-11-15)]세) 17 3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바니야스 SC
16 소콜 치칼레시
(Sokol Cikalleshi)
1990년 7월 27일 ([age(1990-07-27)]세) 59 1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콘야스포르
17 어니스트 무치
(Ernest Muçi)
2001년 3월 19일 ([age(2001-03-19)]세) 7 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베식타스 JK
19 미를린드 다쿠
(Mirlind Daku)
1998년 1월 1일 ([age(1998-01-01)]세) 5 1 파일:러시아 국기.svg FC 루빈 카잔
22 아르브노르 무자
(Arbnor Muja)
1998년 11월 29일 ([age(1998-11-29)]세) 5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삼순스포르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2월 27일
}}}}}}}}}}}} ||

1 베리샤 · 2 바이우 · 3 미타이 · 4 히사이 · 5 아예티 · 6 짐시티 · 7 마나이 · 8 자술라 · 9 아사니 · 10 바이라미
11 브로야 · 12 카스트라티 · 13 미하이 · 14 라치 · 15 세페리 · 16 베리샤 · 17 무치 · 18 이스마일리
19 다쿠 · 20 라마다니 · 21 아슬라니 · 22 아브라시 · 23 스트라코샤 · 24 쿰불라 · 25 알리지 · 26 호자
파일:UEFA BRA.png 시우비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파일:UEFA ARG.png 파블로 사발레타 · 파일:UEFA BRA.png 도리바우 · 파일:UEFA EURO ALB.png 에르빈 불쿠



[1] 2024년 11월 20일 기준[2] 골키퍼 출신의 前 축구 선수였다.[3] 전반 막판에 웬 무인기가 날아들었는데, 그 무인기에는 알바니아 극우 민족주의를 상징하는 그레이터 알바니아기와 함께 세르비아를 자극할만한 문구가 있었다. 이를 세르비아 수비수가 잡아 뜯어내자 알바니아 선수들이 극렬히 항의했고 뒤이어 양팀 선수들과 일부 흥분한 세르비아 관중들(그중 한명은 플라스틱 의자를 들고 체어샷으로 알바니아 선수를 폭행했다...)까지 난입하며 그야말로 난장판이 되었다. 알바니아 선수단은 급히 빠져나갔는데, 객석에 앉아있는 세르비아 관중들이 의자와 각종 쓰레기를 투척한다. 경기 중단 후 알바니아 측은 마치 개선장군을 맞이하듯 선수들을 환영했으며 세르비아측은 정치적 음모가 있다며 알바니아를 디스했다. 그것도 그럴것이 드론을 쏴올린 장본인은 당시 알바니아 총리의 친형제였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