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두브라프카ㆍ2 워커ㆍ3 하르트만ㆍ4 워럴ㆍ5 에스테브ㆍ6 튀앙제브ㆍ7 브룬 라르센ㆍ8 우고추쿠ㆍ9 포스터ㆍ10 에드워즈ㆍ11 앤서니ㆍ12 험프리스 13 바이스ㆍ14 로버츠ㆍ16 플로렌티누ㆍ17 차우나ㆍ18 에크달ㆍ19 플러밍ㆍ20 그린 22 소네ㆍ23 피레스ㆍ[[조쉬 컬렌|24 컬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f0041; font-size: .8em"]]ㆍ25 암도우니ㆍ27 브로야ㆍ28 메브리ㆍ29 로런트 31 트레소르ㆍ32 흘라드키ㆍ34 바넬ㆍ35 반스ㆍ36 바이어ㆍ44 델크루아ㆍ48 아계이 |
|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colbgcolor=#5f0041> | |||
<colcolor=#fff> 번리 FC No. 8 | |||
레슬리 우고추쿠 Lesley Ugochukwu | |||
본명 | 레슬리 치무아냐 우고추쿠 Lesley Chimuanya Ugochukwu | ||
출생 | 2004년 3월 26일 ([age(2004-03-26)]세) | ||
프랑스 브르타뉴 레지옹 일에빌렌 렌 | |||
국적 |
|
| ||
신체 | 키 190cm[1] / 체중 88kg | ||
포지션 | 수비형 미드필더, 중앙 미드필더[2] | ||
주발 | 오른발 | ||
소속 | <colbgcolor=#5f0041><colcolor=#fff> 유스 | ASPTT 렌 (2010~2011) 세클 폴 베 (2011~2012) 스타드 렌 FC (2012~2021) | |
선수 | 스타드 렌 FC B (2020~2021) 스타드 렌 FC (2021~2023) 첼시 FC (2023~2025) → 사우스햄튼 FC (2024~2025 / 임대) 번리 FC (2025~ ) | ||
국가대표 | 4경기 (프랑스 U-21 / 2023~ ) | ||
SNS |
1. 개요
프랑스 국적의 번리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미드필더.2. 클럽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슬리 우고추쿠/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슬리 우고추쿠/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국가대표 경력
나이지리아와 프랑스 이중 국적자이기 때문에 프랑스 국가대표팀에서 자리를 차지하지 못하면, 나이지리아 쪽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단 유소년 단계에서는 U-18 대표팀 시절부터 프랑스에 소집되고 있으며, U-19 대표팀을 짧게 거친 후, 2023년 9월부터 티에리 앙리 감독이 부임한 프랑스 U-21 대표팀에 당당히 월반 소집되어 무려 주전으로 활약하고 있다.이후 2024 파리 올림픽 프랑스 대표팀에도 소집되었다.
4. 플레이 스타일
4.1. 리그앙 시절
수비적인 능력치와 공격적인 능력치가 고루 돋보이는 수비형 미드필더 유망주이다.190cm의 큰 키와 88kg의 압도적인 피지컬을 갖고 있고 무엇보다 그 피지컬을 활용할 줄 안다.[3] 거구의 피지컬을 갖고 있어 느릴 것 같지만 스피드와 민첩성이 좋고 유연하다.
이런 강력한 피지컬을 바탕으로 4백 보호를 잘하고 공중볼 경합과 세컨볼 싸움, 수비 커버 등 여러 가지 수비 상황에 능통한 모습을 보여준다. 상대를 사이드 라인으로 몰아 세워 뛰어난 태클 능력으로 공격을 막는 플레이를 즐긴다. 특히 태클에 좋은 재능을 보여주는데 나이답지 않은 침착함과 피지컬을 앞세워 정확하게 공만 컨택하여 끊어낸다. 또한 양발을 가리지 않고 태클을 시도하고 뒷발로 막아세우기도 하는 등 다양하고 정확한 수비를 보여준다.
위의 설명만 보면 투박할 것 같다는 이미지가 강하지만 패스도 나름 준수한 선수라서 후방 빌드업에 약하지도 않다. 본인이 빌드업을 주도하지는 않지만 수비진과의 원터치 패스를 즐기고 좌우로 벌려주는 롱패스를 잘한다고 하긴 어렵지만 못하는 수준도 아니다.
볼키핑 능력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피지컬과 테크닉을 겸비했기 때문에 공을 키핑하는 능력이 굉장히 뛰어나다. 공을 탈취한 직후 들어오는 압박에 대해서도 뛰어난 탈압박을 보여준다.
때문에 우고추쿠는 역습을 진행할 때 굉장히 위협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뛰어난 태클과 인터셉트 능력으로 상대방의 공을 끊어낸 뒤, 좋은 시야와 이를 뒷받침하는 전진 패스 능력으로 침투하는 선수에게 한번에 패스를 찔러주고 나서 본인은 좋은 체력과 준수한 스피드를 바탕으로 상대 박스와 파이널 서드 부근으로 전진해 공격에 가담해준다. 그 이후에 박스 부근에서도 유려한 드리블 실력으로 직접 득점하거나 킬패스를 통한 결정적 찬스를 혹은 그에 가까운 찬스를 열어주는데 능통하다.
왕성한 활동량을 보여주진 않지만 그래도 부지런히 움직이고 그 움직임 하나하나를 유의미하게 가져간다. 활동량과는 별개로 체력도 좋은 편이다.
종합하자면 이런 평가를 100% 객관적이라고 하긴 어렵지만 뚜렷한 단점이 없는 육각형 수비형 미드필더이다. 굳이 하나를 꼽자면 중거리 슛을 통한 직접적인 골문 타격은 잘하지 않는다. 만약 이 선수가 위협적인 중거리 슛을 장착하게 된다면, 정말 엄청난 선수가 될 수 있을 것이다.[4]
4.2. 첼시 시절
다만 첼시 입성 이후에는 발밑이 불안정하고 플레이에 뇌를 뺀듯한 판단력이 단점으로 드러났는데 첼시 입장에서는 과거 비슷한 스타일의 티에무에 바카요코를 영입하고 대차게 실패한 경력이 있기 때문에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더욱 성장해야할 필요가 있다.결국 23~24시즌 전반기에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와의 경기에서 팀의 대패에 일조한 최악의 모습을 보이고, 만회할 기회도 없이 장기부상으로 출전 기회를 잃어 부정적인 평가를 뒤집지 못한 데다가, 사우스햄튼 임대 시절에도 구단에서 기대했던 프로필과는 다른 프로필로 정착을 하는 바람에 스쿼드에 들지 못하고 첼시를 떠났다.
5. 여담
- 나이지리아계 프랑스인이다.
- 첼시 이적 소식이 나오자마자 한국 한정으로, 발음을 조심해야 할 선수로 거론되고 있다.[5] 몇몇 첼시 팬들은 8년 전에 영입되었던 한 선수의 재림이라는 이야기까지 했다.
- 묘하게 배우 김찬형을 닮았다.
6. 같이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번리 FC 2025-26 시즌 | ||||
| | | | ||
1 | 2 | 3 | 4 | 5 | |
마르틴 두브라브카 Martin Dubravka 1989.1.15 2025~2026 | 카일 워커 Kyle Walker 1990.5.28 2025~2027 | 크빌린치 하르트만 Quilindschy Hartman 2001.11.14 2025~2029 | 조 워럴 Joe Worrall 1997.01.10 2024~2028 | 막심 에스테브 Maxime Esteve 2002.05.26 2024~2030 | |
| | | | | |
6 | 7 | 8 | 9 | 10 | |
악셀 튀앙제브 Axel Tuanzebe 1997.11.14 2025~2026 | 야콥 브룬 라르센 Jacob Bruun Larsen 1998.9.19 2025~2029 | 레슬리 우고추쿠 Lesley Ugochukwu 2004.3.26 2025~2030 | 라일 포스터 Lyle Foster 2000.09.03 2023~2028 | 마커스 에드워즈 Marcus Edwards 1998.12.3 2025~2029 | |
| | | | | |
11 | 12 | 13 | 14 | 17 | |
제이든 앤서니 Jaidon Anthony 1999.12.01 2025~2029 | 코너 로버츠 Connor Roberts 1995.09.23 2021~2025 | 네이선 레드먼드 Nathan Redmond 1994.03.06 2023~2025 | 라일 포스터 Lyle Foster 2000.09.03 2023~2028 | 지안 플러밍 Zian Flemming 1998.08.01 2024~2025[1] | |
| | | | | |
18 | 19 | 20 | 21 | 22 | |
에티엔 그린 Etienne Green 2000.07.19 2024~2027 | 에런 램지 Aaron Ramsey 2003.01.21 2023~2028 | 에티엔 그린 Etienne Green 2000.07.19 2024~2027 | 루카스 피레스 Lucas Pires 2001.03.24 2024~2028 | 조쉬 컬렌 Josh Cullen 1996.04.07 2022~2027 | |
| | | | | |
23 | 24 C | 25 | 26 | 27 | |
루카스 피레스 Lucas Pires 2001.03.24 2024~2028 | 조쉬 컬렌 Josh Cullen 1996.04.07 2022~2027 | 조쉬 로런트 Josh Laurent 1995.05.06 2024~2026 | 루카 콜레오쇼 Luca Koleosho 2004.09.15 2023~2029 | 마이크 트레소르 Mike Trésor 1999.05.23 2024~2028 | |
| | | | | |
28 | 29 | 31 | 34 | 35 | |
한니발 메브리 Hannibal Mejbri 2003.01.21 2024~2028 | 제이든 바넬 Jaydon Banel 2004.10.19 2025~2029 | 애슐리 반스 Ashley Barnes 1989.10.30 2025~2025 | 조던 바이어 Jordan Beyer 2000.05.19 2023~2027 | 에녹 아계이 Enock Agyei 2005.01.13 2024~2027 | |
<colbgcolor=#5F0041> 구단 정보 | |||||
회장: 앨런 페이스/ 감독: 스콧 파커 / 홈 구장: 터프 무어 | |||||
출처: 번리 FC 웹사이트 | |||||
번리 FC U-23팀 스쿼드 보기 / 번리 FC U-18팀 스쿼드 보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