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MRT | LRT | ||
| | [[싱가포르 MRT 동서선| EWL ]] · [[싱가포르 MRT 남북선|NSL ]] 공용차량C151A · C151B · C151C · R151 | [[싱가포르 LRT 부킷판장선| BPLRT ]] | |
| [[싱가포르 MRT 서클선| CCL ]]C830 · C830C · C851E |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 TEL ]]T251 | ||
| | [[싱가포르 MRT 동북선| NEL ]]C751A · C751C · C851E | [[싱가포르 MRT 다운타운선| DTL ]]C951 · C951A | [[싱가포르 LRT 셍캉선| SKLRT ]] · [[싱가포르 LRT 풍골선|PGLRT ]] 공용차량C810 · C810A · C810D |
| 미개통 노선 (운영사 미정) | [[싱가포르 MRT 주롱지역선| JRL ]]J151 | [[싱가포르 MRT 크로스아일랜드선| CRL ]]CR151 | |
| 회색 처리된 취소선은 전 편성이 퇴역한 차량, 밑줄 표시는 퇴역 중인 차량, 이탤릭체는 도입 예정 차량을 의미함. | |||
| 싱가포르 LRT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싱가포르 LRT C810형 전동차 Mitsubishi Heavy Industries Crystal Mover C810 | }}} | |||
| | |||||
| ▲ C810D형 전동차 조감도 | |||||
| 차량 정보 | |||||
| 용도 | 도시철도 입선용 경전철 전동차 |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 편성 | 2량 1편성 | ||||
| 운행노선 | | ||||
| 도입시기 | 2024 ~ 2027년 (예정) | ||||
| 제작사 | 미쓰비시 중공업 | ||||
| 소유기관 | Land Transport Authority | ||||
| 운영기관 | SBS Transit | ||||
| 운행시기 | 2025년 7월 15일 ~ 운행 중 | ||||
| 차량 제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3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전장 | 11,750㎜ | |||
| 전폭 | 2,690㎜ | ||||
| 전고 | 3,615㎜ | ||||
| 궤간 | 1,850㎜[1] | ||||
| 급전방식 | 직류 750V 제3궤조 집전식 | ||||
| 운전보안장치 | 교산 APM ATC/ATO/ATS/ATP | ||||
| 제어방식 | 미쓰비시 VVVF-IGBT | ||||
| 동력장치 | 농형 3상 유도 교류전동기 | ||||
| 주전동기 출력 | 80㎾ | ||||
| 편성출력 | 320㎾ | ||||
| 최고속도 | 영업 | 70㎞/h | |||
| 설계 | 80㎞/h | ||||
| 가속도 | 3.6㎞/h/s | ||||
| 감속도 | 상용 | 3.6㎞/h/s | |||
| 비상 | 4.68㎞/h/s | ||||
| MT비 | 2M 0T | }}}}}} | |||
1. 개요
1. 개요
C810D형 전동차는 싱가포르 LRT 셍캉선과 풍골선의 수송력 증강 및 기존의 C810형 차량의 대차를 위해 제작될 예정인 차량으로, 이전에 도입한 C810/C810A형과 마찬가지로 미쓰비시중공업에서 개발한 자동운전 고무차륜 경전철(APM; Automated People Mover) 표준모델인 크리스탈 무버(Crystal Mover)를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타 노선 MRT/LRT 차량들과 마찬가지로 소유는 LTA 산하이며, 운영 및 유지보수는 노선의 운영사인 SBS Transit에서 담당하고 있다. 총 25개 편성(50량)이 생산될 예정이다.2024년부터 생산에 들어갈 예정으로, 2027년까지 모든 차량을 반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차량 자체는 기존의 C810형과 C810A형과 같은 차량이나, 병결운행/단량운행 겸용인 기존 차량과 다르게 이쪽은 애초부터 2량 1편성 고정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차량 간 이동은 불가능하며, 통로문은 있으나 비상시 대피용으로만 쓰이는 문이다.
2025년 7월 15일에 두개 편성을 시작으로 운행을 개시하였다.
[1] 콘크리트 광궤 및 고무차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