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7 17:05:04

심해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만화에 대한 내용은 심해어(만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동명의 소설에 대한 내용은 심해어(소설)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봉준호 감독 연출 영화에 대한 내용은 심해어(애니메이션)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심해 생물의 종류에 대한 내용은 심해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초롱아귀1.jpg
심해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떠올리는 초롱아귀

1. 개요2. 설명3. 특징4. 목록
4.1. 실존 생물4.2. 가공 생물

1. 개요

심해어 (深海魚, Deep sea fish)

햇빛이 비치지 않는 심해에 서식하는 어류를 총칭하는 단어로 심해어들도 당연히 바닷물고기에 속한다. 해양학에서는 수심 2000m 이상을 심해로 구분하지만, 생태학에서는 수심 200m부터 심해로 구분한다. 0~200m는 천해층(표층, 유광층), 200~1000m는 중심해수층(중층, 박광층), 1000~3000m는 점심해수층, 3000~6000m는 심해수층, 6000m 이상은 초심해수층이라고 한다.

2. 설명

파일:갈치1.jpg
파일:명태 large.jpg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심해어인 갈치명태.


원래 인류는 그다지 깊지 않은 바닷가에서 얻을 수 있는 어자원만으로도 충분히 연명할 수 있어 굳이 잘 보이지도 않는 험난한 환경인 심해까지 진출할 일이 없어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기술의 발달 이후 학술적 목적으로 심해까지 진출하는 게 가능해지면서 새로운 심해어가 계속 발견되고 있다.

특히 이 '깊은 바다'라는 곳이 전체 바다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고, 인간이 이곳까지 못 갈 정도는 아니어서 심해 잠수정을 이용해 작정하면 들어갈 수 있지만, 잠수 자체가 무지막지하게 힘들기 때문에 현재 밝혀진 심해어의 종류는 추측하고 있는 종류보다 극히 적다. 현재까지 밝혀진 심해어는 약 1,300여 종이라고 하는데 한 번 잠수할 때마다 새로운 종이 떼거지로 발견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은 개체수가 적다.

현재까지 확인된 가장 깊은 바다에 사는 물고기는 2014년 12월 20일에 보도된 8,143m 깊이에서 사는 꼼치류의 심해어였으나,기사 2017년 8월 25일에 8,178m 깊이에서 꼼치류의 심해어가 발견되었다.기사

심해어는 바다에만 살 것 같지만 세계에서 가장 깊은 호수인 바이칼호의 밑바닥에는 심해어와 비슷한 담수어들이 다수 서식하고 있다. 고압 저온의 환경에 맞춰 바다의 심해어와 비슷한 경향의 수렴 진화를 한 것이다.

심해어가 잡히면 지진이 난다는 속설이 있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3. 특징

  • 상당수가 어두운 곳에서 살기 위해 이 아주 크거나 발광 기관[1]을 내장하고 있어서 야광처럼 빛이 난다. 생식 시 짝을 찾거나 먹이를 유인하거나 반대로 포식자를 쫓아내거나 먼 곳으로 유인하는 용도로 쓰인다. 하지만 수심 3000~6,000m인 심해저대까지 가면 너무 광활한데다 빛이 전혀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반대로 심해어들이 눈이 퇴화해버린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옆줄 등 다른 감각기관이 발달해 있으며 때문에 발광 기관을 쓰지 않는다. 6000m 이하의 초심해수층까지 도달하면 포식자 자체가 없는 경우가 많아 비교적 평범하게 생긴 경우도 있다.
  • 천적의 눈에 띄지 않기 위해 몸 색깔은 어두운 심해의 색과 똑같은 검은색이 많다. 하지만 이것도 심해 윗부분에 사는 동물들만 해당되며 심해저대에 사는 동물들은 하얗거나 빨간색인 경우가 많다.
  • 먹이가 별로 없어 뭐든지 많이 먹어 두고 많이 저장하기 위해 입과 위가 엄청나게 크다.
  • 심해가 어마어마하게 넓다보니 돌아다니면서 먹이를 찾는 것보단 한 자리에 죽치고 앉아서 먹이가 오길 기다리는 쪽이 더 효율이 좋기 때문에 근육 대부분이 퇴화한 경우가 많다. 그래서 심해어들은 물질대사를 낮추고 아주 오랫동안[2] 먹이를 먹지 않아도 버틸 수 있도록 진화했다.
  • 심해의 환경이 일정하다보니 환경의 변화에 적응할 필요가 없고 수명이 매우 길다. 30년에서 길게는 200년 이상 사는 종들도 있다.[3]
  • 공기 부레가 아닌 기름 부레.(#) 또는 부레가 없는 경우도 있다.
  • 개체수는 적지만 종류는 많다.[4]
  • 심해라는 극한의 생존본능을 시험하게 만드는 특수한 환경에서 생존을 위해 진화했고, 심해 환경은 사람에게 익숙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환경과 심히 다른 여건이기에, 진화양상이 달라 사람의 관점으로 보면 상당수가 무섭거나 징그럽게 생겼다.[5]
  • 양식이 어렵다. 심해어의 기본적인 습성상 양식이 굉장히 힘들기 때문에 심해 수산자원은 대부분 어획으로 확보한다.[6][7] 다만 돗돔은 예외로 양식을 시도 중에 있다. 하지만 아직은 치어부터 성어까지 길러내는 단계에 머물러있는 중이다.
  • 심해에는 먹이가 적으므로 오랫동안 먹이를 먹지 못해도 버틸 수 있도록 진화하여 지방량이 많다.
  • 깊은 수심에 서식하는 종일수록 식용으로 부적합한 종의 비율이 높다. 징그러운 외형으로 인한 거부감이 가장 큰 요인이며 햇빛이 들지 않는 심해에만 살아서 비린내도 매우 심하고, 지방량이 매우 많아 설사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8] 강한 수압을 받으며 살기 때문에 식감이 억세거나 정반대로 지나치게 물컹거리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대체적으로 심해어는 과 같은 민물에서 사는 어종들과 생물들, 육지에서 사는 생물들, 얕은 표해수층의 천해 등에서 사는 어류나 생물들에 비하면 식용으로 부적합한 어종들이 많지만 그런 심해어 중에서도 일부는 사람의 식용으로 이용이 된다. 대표적으로 심해어 중에서 메로는 매우 고급스러운 식재료로 취급된다. 이외에 은대구돗돔도 심해어지만 사람이 식용할 수 있는 어종이다. 또한 심해어 중에 초롱아귀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못먹는다는 편견이 있지만 생선 소비량이 많은 일본에서는 심해어 초밥집에서 식용으로 이용이 된다.
    • 반면 비교적 얕은 수심에 살거나 얕은 바다와 심해를 오갈 수 있는 심해어 중에는 외형이 평범하고 맛이 좋으며 고급 생선에 해당되는 흰살생선이 상당히 많다. 대표적으로 앞서 나온 갈치, 대구명태, 임연수어, 달고기, 금눈돔 등이 있다.

많은 사람들이 심해어가 엄청 큰 줄 알지만, 모습만 무섭게 생겼지 거의 대부분 크기는 작다. 덩치가 크면 그만큼 몸을 유지하기 위해 많이 먹어야 하기 때문이다. 심해에는 먹이가 드물어서 적은 먹이로도 생존할 수 있어야 하므로 크기가 커지지 않는 쪽으로 진화한 것이다. 다만 대왕오징어, 큰지느러미오징어,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와 같은 거대한 두족류나 그린란드상어, 마귀상어, 여섯줄아가미상어, 넓은주둥이상어, 산갈치, 돛란도어, 바다거미, 거미게 등, 심해 서식 종이 이상하게 커지는 예외가 있기는 하지만 (심해거대증) 이들 중에서도 대부분은 200~1000m의 중심해에서 서식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1000m이하의 점심해수층부터는 크기가 30cm를 넘는 종이 많이 없다. 즉 바다에서 몸집이 큰 생물들은 대부분 수심 200m까지의 표해수층에서 살아가며 심해에 사는 동물들 중에서도 몸집이 큰 생물들은 대다수가 200~1000m의 중심해에서 살아가는게 일반적이다.

일단 인간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심해에 대한 공포[9]와 함께 심해에서 사는 생물들은 인간의 관점으로 보면 매우 징그럽거나 무섭고 기괴하게 생긴 것들이 대부분이다 보니 몽환적인 상상이 펼쳐지게 되므로 심해공포증을 가진 사람들이 많으며 옛날부터 괴물의 소재로 애용되어 왔다. 크툴루 신화가 이유 없이 생긴 게 아닌 것이다.[10]

대부분의 수족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심해 생물들은 거의 얕은 수심에 서식하거나 천해에서도 생존 가능한 생물들이 대부분이지만, 일본 시즈오카현 누마즈시의 누마즈 심해 수족관과 후쿠시마현 이와키시의 아쿠아마린 후쿠시마 수족관에서는 일반적인 수족관에서 사육이 어려운 심해 생물들의 장기 사육에 끊임없이 도전중이며, 심해 생물에 대한 연구도 굉장히 활발하다. 다만 양쪽 모두 저인망에 걸리는 생물들을 잡아다가 전시하는 것이다보니 한계는 있는 편이다.

4. 목록

4.1. 실존 생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심해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가공 생물


[1] 발광 박테리아라는 특수 박테리아가 공생하는 녀석들도 있다.[2] 몇개월 동안 먹이를 먹지 않아도 버티는 독한 종들도 있다.[3] 우연히 심해에서 잡아보니 먹기 좋고 손질이 편해서 남획한 오렌지러피가 수명이 150년 정도의 장수종에 속한다. 수명이 길고 성장이 매우 느린 이 물고기를 '어 꽤 많네?' 하면서 저인망으로 싹쓸이 하다 보니 수십 년도 지나지 않아 멸종 위기 동물이 되었다. 그린란드상어 역시 수백년을 살 정도로 장수하는 종이다.[4] 단, 몇몇 생물들은 개체수가 매우 많다.[5] 사람은 본능적으로 사람과 닮은 요소가 많은 포유류에게 친밀감을 느끼며, 그 반대인 심해어, 곤충, 무척추동물에는 거부감이나 혐오감을 느끼기 때문.[6] 암컷 대게와 체장미달 대게를 잡는 것을 금지하는 이유도 이것 때문이다.[7] 심해어는 먹이를 적게 주면 될 것 같아서 어떤 면에서는 양식하기 좋다는 사람들도 있는데, 거의 잘못된 정보이다. 물론 먹이를 적게 먹는다는 점은 엄청난 장점이다만 종에 따라 다르겠지만 극히 어두운 환경에 수천m 심해와 같은 압력과 과학적 정보가 얼마 없는 심해어의 번식 조건과 타이밍 등을 모두 알아야 양식 가능하다는 것을 생각하면 쉬울리가 없다. 게다가 맛이 있고 인간이 먹을만한 부위가 어느정도 있는 종 중에서 저런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는 것을 떠올리면... 그리고 보통 이런 생각을 갖는 이유가 먹는게 적다=지출이 적다 라고 생각하는 경우인데 이는 먹이 비용만 적을 뿐이지 관리 비용까지 합치면 심해어가 일반 어류들보다 훨씬 비싸게 든다. 따라서 심해어 양식은 수압이 약해도 살아가는 종이 좋을 듯 하다.[8] 그 악명 높은 기름치도 심해어다.[9]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어둡고 깜깜한 곳에서 기괴하게 생긴 물고기가 튀어나온다고 생각해보자.[10] 물론 엄밀히 말해 크툴루 신화는 심해어 때문에 생긴 게 아니라 단지 러브크래프트가 심해 공포증이 있어 생겨난 것이다. 연구가 진행되어 갈수록 그의 작품에 나올법한 생물이 많이 발견되었을 뿐이다.[11] 기본적으로 심해에서 활동하는 종류가 많지만 일부는 육상에서 활동하는 종류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