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20:53:40

시외버스 대구북부-구미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북부구미진안1358.jpg 파일:해운대고속 1013 파크웨이.jpg
진안고속[1]에서 운행하던 시절 해운대고속에서 운행하던 모습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시간표4.2. 요금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시외버스 대구북부-구미
기점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대구북부시외버스터미널) 종점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동(구미종합터미널)
종점행 첫차 07:30 기점행 첫차 08:50
막차 19:40 막차 21:10
배차 1일 4회 운수사명 해운대고속
노선 대구북부시외버스터미널 ( → 서대구역정류소 ) - 서대구IC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금호JC - 경부고속도로 - 남구미IC - 구미복지정류장 - 구미공단정류장 - 구미종합터미널

2. 개요

대구북부시외버스터미널과 구미종합터미널을 잇는 노선이다.

3. 역사

  • 과거 배차간격이 짧은 시절에는 15~30분 배차간격으로 다녔다.
  • 2017년 12월 1일에 1일 45회에서 1일 32회로 감회되었다.
  • 2018년 6월 28일에 1일 32회에서 1일 23회로 감회되어 대구북부-선산 노선도 1일 1회만 남고 선산종착이 폐지되었으며, 도개, 옥성, 안동, 영주종착도 폐지되었다.[2]
  • 2018년 11월 23일에 12회로 감회되었다.[3][4]
  • 2019년 2월 12일에 인천공항행이 개통되자 대구 → 구미 한정으로 1일 12회에서 1일 13회로 증회되었다.[5]
  • 2020년 2월에 코로나19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5월 15일부터 운행을 재개했으며, 현재 운행횟수는 4회다.
  • 2021년 9월 1일부터 다시 4회로 감회된다.
  • 2023년 3월 21일 폐선되었다. 거기에 2024년 연말 대경선 개통으로 북부정류장에서 서대구역을 통해 구미역으로 저렴한 가격에 환승하여 이동 가능하기에 운행 재개가 힘들다고 봐도 무방하다.[8]

4. 특징

  • 진안고속의 주력 노선이였다. 주력노선인 만큼 배차간격도 제일 짧은편이었으나 2018년 11월 23일부터 12~13회로 대폭 감회되었다. 그리고 1일 4회로 더 감회되다가, 2021년 5월 1일부터 아예 해운대고속에 떠넘긴다. 그러다가 2021년 9월 1일 부터 다시 4회로 감회되었고, 2023년 3월 21일부터는 아예 운휴에 들어갔다.
  • 배차간격이 짧았던 시절에는 절반 정도가 선산에 시종착했고 혹은 상주, 점촌 안계종착도 있었고 안동, 영주 종착도 있었으며, 1일 2회 충주까지 완행으로 운행했으나[9], 대폭 감회된 이후로는 구미행 1회 서비스 우등이 인천공항터미널 제2터미널까지 운행하는걸 제외하면 전부 구미종합터미널에서 시종착한다.[10]
  • 구미에서 강원도 방면 버스가 부실한 탓인지[11] 구미에서 강원도로 갈 때 이 노선을 타고 북부에서 강원도 방면 버스를 타는 경우가 있었다.
  • 대구-구미간 시외버스 중 요금이 가장 싼 3,900원이다.[12]
  • 실제로 대구-구미 구간은 기차로도 많은 이동이 있는 구간이다 보니 이 노선에도 사람이 많이 몰리는 편이다.
  • 대구-구미 구간을 다니는 무궁화호로도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보니 이 노선에도 사람이 많이 몰리는 편인데 그래서인지 일정 시간대에는 표가 매진되는 것은 기본이다. 사실상 시외버스 버전의 무궁화호라고 봐도 무방하다.
  • 다만 대구 시내구간과는 거리가 꽤 있는 편으로 이동할 때는 대구북부시외버스터미널 앞에 있는 버스정류장이나 환승센터를 이용해서 시내버스를 이용해 가거나 도보로 약 10분 정도 걸어서 만평역으로 가서 도시철도로 타고 가야 한다. 동성로를 끼고 있는 대구역과는 다르게 바로 시내로 이동할 수 없다는 건 단점.[13]

4.1. 시간표

시외버스 대구북부 ↔ 구미 운행시간표
2021년 9월 1일 기준 / 출처 미상
횟수 대구북부 구미
1 07:30 08:50
2 10:30 12:30
3 16:00 18:00
4 19:40 21:00

4.2. 요금

서대구역요금은 북부정류장 요금에서 300원 할인되어 적용한다.
성인 중,고생(10% 할인) 초등생 이하(50% 할인)
대구북부-구미 4,100 3,700 2,100
대구북부-구미공단 3,600 3,200 1,800
대구북부-구미복지 3,300 3,000 1,700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구미시 CI.svg 문서가 존재하는 구미시 고속버스, 시외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colbgcolor=#0033a0><colcolor=#fff> 고속버스 ↔ 서울경부 ↔ 동서울
대구/경북 ↔동대구 ↔대구서부 ↔대구공항
↔ 예천,울진(직행) ↔상주,점촌 ↔안동,영주
↔포항,경주 ↔상주,점촌,문경 ↔영천,하양,대구대
군위,도리원,의성(직행) ↔안동(직통)
수도권 ↔성남 ↔신갈,용인 ↔인천공항 (대구북부발) (경산발)
↔인천,안산,수원,오산 ↔구리,의정부 ↔이천,여주
부산/울산/경남 ↔부산동부 ↔해운대 ↔마산, 창원
↔ 울산 ↔거제(고현) ↔김해
충청 ↔충주,수안보 ↔청주
강원 ↔원주
호남 ↔광주 ↔목포 전주
운행중단 ↔충주(완행) ↔ 경기광주,하남 ↔문산
↔유성 ↔세종,평택 ↔부천,고양
폐지 ↔김천(완행) ↔대구북부(직통)
↔안계(완행) ↔거창 ↔통영
↔포항(완행) ↔김해공항 ↔천안
}}}}}}}}} ||


[1] 코리아와이드 진안 시절 촬영된 사진이다.[2] 최후로 남은 대구-선산 노선에 대한 정보는 시외버스 대구북부-안계(선산) 문서 참조.[3] 같은 날에 동대구-구미도 8회로 감회되었다.[4] 동시에 대구에서 고아, 선산, 옥성, 도개, 용댐이, 낙정, 낙동, 생물, 생송행이 폐지되었으며, 마성, 문경, 연풍, 수안보행도 폐지되었다.[5] 일반요금으로 우등투입.[6] 사실 선산행 부활이유가 없다. 이유는 선산의 인구도 굉장히 많이 줄어들었고, 주 52시간제로 인하여 배차가 굉장히 많이 감축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완행노선이 감축추세이다.[7] 구미에서 용산역을 하차때만 경유하는 서부정류장행과 달리 서대구역을 구미로 나갈때만 경유하고 돌아올때는 경유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 요금은 3600원이며 돌아오는 방향은 시간때가 안맞으면 구미역에서 열차를 이용해 대구역으로 가는게 시간적으로 빠르고 요금도 훨씬 싸다.[8] 현재는 구미로 갈 경우 대구역, 동대구역에서 열차편을 이용하거나 서부정류장으로 가서 환승해야 한다.[9] 북부정류장에서는 수안보까지 발급이 가능했다.[10] 그러나 인천국제공항행도 운행이 중단된 이후에는 전부 구미에서 시종착한다.[11] 원주행이 1일 6회만 있으며 그것도 안동,영주를 거쳐 시간도 오래 걸리고 요금도 매우 비싸다.[12] 시외버스 대구서부-구미 4,200원, 시외버스 동대구-구미 5,000원, 다만 구미-동대구간 무궁화호가 3,200원(대구역은 3,000원)으로 더 싸다. 단, 대구북부는 철도교통이 불편하므로 이 점은 유의해야 한다.[13] 그래서 구미 주민들이 대구로 쇼핑갈때 시외버스 보다는 구미역~대구역 혹은 동대구역 열차편을 선호하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