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Stingray |
1. 개요
냉전기에 미국의 텍스트론 마린 & 랜드 시스템즈[1]에서 개발한 경전차. 태국 육군이 운용하고 있다.2. 제원
| Textron/Cadillac Gage Stingray | |
| 개발사 | 캐딜락 게이지 |
| 생산 기간 | |
| 생산량 | 106대 |
| 전장 | 9.3m |
| 전폭 | 3m |
| 전고 | 2.7m |
| 중량 | 22.6톤 |
| 승무원 | 4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장전수/무전수) |
| 주포 | 105mm L7 기반 저반동포×1 |
| 부무장 | 7.62mm M240 공축기관총×1 12.7mm M2HB 차재기관총 x1 연막탄 발사기 |
| 엔진 | 디트로이트 디젤-앨리슨 8V-92TA 수랭식 터보 V8 디젤 엔진 (535hp) |
| 변속기 | SNT 다이내믹스/앨리슨 XTG411-2A 자동변속기 |
| 현가장치 | 독립 트레일링암 토션바 서스펜션 |
| 항속거리 | 480km(300마일) |
| 최고속도 | 70km/h(43mph) |
3. 개발사
1980년대에 수출시장을 공략할 용도로 계획되었다. 가격을 저렴하게 유지하기 위해 기존에 개발된 미국의 경 기갑차량들의 부품들을 최대한 유용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었다. 1983년에 개발에 들어가 1984년에 포탑과 차체가 따로 완성되었다. 완성된 시제차는 1985년에 제작되었으며 이후 대중에 공개되었고, 1986년에 두 번째 시제차가 제작되었다.첫 시제차들은 1986년에 태국, 1987년에 말레이시아, 1988년에 에콰도르, 1992년에 칠레에 보내져 시험을 받았다. 그 중 태국 정부는 스팅레이 경전차에 관심을 가졌고, 1987년에 스팅레이 106대의 도입을 결정했다. 태국군은 현재까지 유일하게 스팅레이 경전차를 도입한 군대이자 운용하고 있는 군대이다.
수출시장 외에도 미국의 차기 경전차/공수전차 프로젝트에도 입찰했다. 1990년대 초에 M551 셰리든을 대체하기 위해 실시된 AGS 프로젝트에 캐딜락 게이지 사는 스팅레이 기반 설계안을 제안했지만, 미군의 요구사항보다 지나치게 무겁다는 이유로 탈락했다. 이후 캐딜락 게이지 사는 스팅레이 II의 개발에 전념하여, 1994년에 시제차를 완성했다.
2010년에 FDI는 스팅레이에 대한 사후 지원과 부품 조달 등의 지원을 위해 Textron Marine & Land Systems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FDI가 예비 부품에 대한 기술 라이브러리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1년에 Napco는 Stingray에 대한 공인 사후 부품과 기타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Textron과 계약을 체결했다.
4. 특징
105mm 로열 오드넌스 L7의 저반동포 버전을 주포로 장착했다. 탄약 분배는 다양하게 알려졌다.[2]장갑은 23~25mm 수준으로 얇았지만 개발사의 Cadaloy 합금으로 구성되었다.
포탑은 M41 워커 불독, M551 셰리든과 호환된다. 실제로 나온 사진 중에서 스팅레이 경전차의 포탑이 장착된 셰리든 테스트 차량도 있다.
5. 형식
5.1. 스팅레이
기본형 모델. 105mm 강선포가 장착되었고 순항 속도는 44mph(71km/h)다. 최대 등반 경사는 60%다. 초호 성능은 최대 2.7피트(82cm), 도하 성능은 최대 3.5피트(107cm)다. C-130 화물기로 공중 수송도 가능하다.포탑은 M41 워커 불독, M47 패튼 또는 M551 셰리든 전차나 V600 장갑차에 장착할 수 있도록 별도로 판매되기도 했다. 장갑재는 CG의 Cadaloy로 만들어졌다.
저렴한 개량을 통해 사격 통제 장치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CG 사격 통제 및 안정화 업그레이드 키트를 적용할 수 있다.
5.2. 스팅레이 AGS
| |
| Stingray AGS |
미 해병대용 LAV-105 포탑을 연장한 스팅레이 차체에 장착한 차량으로, 코만도 스팅레이라고도 불렸다. 주포도 미국제 저반동포인 105mm XM35로 교체되었고 유압식 자동 장전 장치가 추가되면서 기존 스팅레이와 달리 승무원 구성은 탄약수가 빠진 3인으로 바뀌었다. 포탄은 30발을 적재하며 그중 16발은 준비탄으로 즉시 사용 가능하다.
동력원으로는 2300rpm에서 550마력(410kW)을 발휘하는 디트로이트 디젤 6V92 DDEC TA 엔진과 General Electric HMPT-500-3 변속기가 사용되었다. 장갑으로는 Cadloy 강철 장갑이 사양되어 기본 경사 장갑만으로도 정면에서 14.5mm 기관총탄을 방호할 수 있다. 그러나 지나친 무게로 인해 탈락하면서 훗날 M8 뷰포드가 된 FMC사의 CCVL에게 패배했다.
5.3. 스팅레이 II
1996년대에 등장한 스팅레이의 설계 업그레이드형. 1994년에 시제차가 완성되었다.포탑은 캐딜락 게이지 V-600 에 장착된 것과 동일한 것이며, 기본 장갑으로 최대 14.5mm 중기관총탄의 철갑탄을 방호할 수 있다. 증가 장갑을 장착하여 방호력도 더 강화할 수 있다. 주행 속도 약 48km/h(30mph) 기준에서 항속거리는 450km(280마일) 늘어났다. 8V-92TA 엔진도 2,300rpm에서 550hp(410kW)를 내도록 업그레이드되었고 650hp (480kW) 버전도 제공된다.
주무장은 기존과 동일하며, 수동 백업 기능이 있는 잘 각도가 맞춰진 전기 유압식 포탑에 장착되었다. 여기에 주포 2축 안정기가 옵션으로 제공되며, 포탄은 8발의 준비탄이 제공되며, 나머지 24발은 차체에 보관된다. 부무장으로는 2,400발(400발 준비)을 탑재한 M240 7.62mm 공축 기관총과 지휘관 해치에 1,100발(100발 준비)을 탑재한 12.7mm M2 브라우닝 대공 기관총이다. Stingray II에는 각 측면에 8개씩, 총 16개의 보호용 연막탄 발사관이 장착되어 있다.
포수 조준경도 안정화된 휴즈 HIRE 주간/열 야간 조준경과 레이저 거리 측정기로 구성된다.
스팅레이 2의 주요 개선 사항은 더욱 향상된 디지털 사격 통제 장치로, M1A1 에이브람스와 동급의 사통을 쓴다. 또한 장갑을 개량하여 전면 아크와 측면 스커트가 23mm 기관포탄까지 방어할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2~4시간 안에 야전 개조로 아플리케 장갑 키트를 추가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광폭 궤도 설치 작업도 포함된다.
2대의 스팅레이 2가 시전용으로 제작되었고, 사우디아라비아, 대만, 말레이시아에 제안되었지만 수출에는 실패했다.
6. 미디어
6.1. 게임
6.1.1. 강철의 왈츠
경전차로 등장한다. 전차소녀명은 빌라야 아치라사쿠르. 강철의 왈츠 최초의 태국인 전차소녀이자 전함소녀의 톤부리에 이은 코레류 게임 두번째 태국인 캐릭터다.6.1.2. 아머드 워페어
6.1.3. 워 썬더
7. 둘러보기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태국군| 타이 왕국군 (1945~현재) ]]''' กองทัพไทย | Royal Thai Armed Forces | ||
| 기타전차 | <nopad> 경전차 | 스팅레이 | FV101 스콜피온 | M41A1 워커 불독 | 83식 | |
| <nopad> MBT | <nopad> 1세대 | M48A5PI 패튼 | |
| <nopad> 2세대 | M60A1 RISE · M60A3 TTS 패튼 | ||
| 3.5세대 | VT-4 | T-84 오플롯-T | ||
| <colbgcolor=#2D2A4A> '''[[장갑차| 장갑차 ]]''' | <colbgcolor=#2D2A4A> 차륜형 | 스트라이커 | BTR-3E1 | VN-1 | AWAV 8×8 | REVA-4 | 퍼스트원 | V-100 | V-150 | |
| 궤도형 | VN-16 | M113(A1/A2/A3) | AAV-7A1 | M992A2 FAASV | 85식 | Bv 206 | 브롱코 ATTC | LVT-4 | M3 하프트랙 | ||
| 차량 | 초소형 | ATV 폴라리스 MRZR | |
| 소형 | [[소형 전술차량| IMV ]] 험비 | TR MUV4 | 벤츠 G바겐 | 랜드로버 디펜더 | KM450 | M151민수용 쉐보레 콜로라도 | 토요타 하이럭스 | 이스즈 D-맥스 | ||
| 트럭 | 군용 FMTV | M939 | M54 | M35 | 벤츠 유니목 | 베드포드 TM3250 | KM250 | KrAZ-6322 | 시노트럭 Howo | 타타 715상용 벤츠 NG | 스카니아 R730 | 르노 케락스 | 히노 500 | 이스즈 F 시리즈 |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자주곡사포 ]] | CAESAR | M758 ATMG | M109A5 | |
| 자주박격포 | M361 ATMM | M1064A3 | M106(A1/A2) | M125 | ||
| 다연장로켓 | D11AT | DTI-1(G) | DTI-2 | SR-4 |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자주대공포 ]]''' | M163 VADS | M42A1 더스터 | M16 MGMC | |
| '''[[대공미사일| 단거리 SAM ]]''' | 참고: 틀:현대전/태국 유도무기 | ||
| 지원차량 | 구난차량 | M88(A1/A2) 허큘리스 | BREM-84 | 84식 ARV | M578 LVR | FV106 샘슨 | |
| 교량차량 | 84식 AVLB | M945 부교운반차 | ||
| ※ 갈색 글자: 퇴역 차량 ※ 윗첨자T: 시범 운용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 }}}}}}}}} | |||
| 기갑차량 둘러보기 |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