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22:09:40

수플렉스

슈플렉스에서 넘어옴
<nopad> 파일:수플렉스.jpg
Suplex

1. 개요
1.1. 안아던지기
2. 나무 위키에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수플렉스의 바리에이션3. 수플렉스와 관련된 가상인물4. 수플렉스 장인

1. 개요

파일:wwe-20250725-122052-000.gif
상대를 잡아들어서 시전자의 머리 뒤로 넘겨[1] 등으로 떨어지도록 메치는 기술의 총칭. 위 예시 이미지의 로데릭 스트롱이 시전한 기술은 ‘수플렉스’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기술인 “버티컬 수플렉스(Vertical Suplex)”이다. 워낙 이 기술이 수플렉스로 유명하다 보니 버티컬 수플렉스라는 정식 명칭 대신 그냥 수플렉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국내에선 잘못된 일본어 번역의 영향으로 ‘플렉스’라고 잘못 표기 되기도 했다.
트리플 H딜레이드 버티컬 수플렉스
상대를 수직으로 오래 들고 있는 자세는 시전자의 힘을 과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연출 방법이기도 하다. 다만 피폭자도 상당히 접수가 까다로운데, 시전자의 힘 뿐만 아닌 피폭자도 코어 힘을 이용해 몸을 수직으로 높게 쭉 뻗어 자세를 유지해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파일:external/pm1.narvii.com/94b02394eb153c6e5e7cbf56c920fc09acab5abf_hq.jpg
브록 레스너저먼 수플렉스.
그가 이를 연속으로 시전할 경우 통칭 수플렉스 시티라 불린다.

수플렉스는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한 번에 다 설명하기 어려우므로, 해당 설명글(열람 시 데이터 주의)을 참조하길 바란다.

빌 골드버그의 피니쉬 무브인 잭 해머는 수플렉스 자세에서 시작하지만 파워슬램으로 마무리하기 때문에 수플렉스가 아니다. 반대로 피폭자를 수평으로 들어올린 다음 누우면서 넘기는 '폴어웨이 슬램'(Fallaway Slam)은 슬램의 자세로 시작하지만 피폭자를 머리 뒤로 넘겨 메치므로 엄밀히 따지자면 슬램이 아닌 수플렉스 계열의 기술이다.

경기 도중 가벼운 일반기로도 시전 되는 기술임에도 에지는 처음 수플렉스를 맞았을 때 잠시 숨을 못 쉬는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하물며 프로레슬링 특집 무한도전 편에선 “수플렉스를 당한 사람은 묘하게 말수가 적어지고 겸손해진다”고 한다.

1.1. 안아던지기




원래 아마레슬링에도 있는 기술이다. 버티컬이 아닌 경우, 그대로 뒤로 눕는 게 아니라 몸을 옆으로 돌려준다. 보다 보면 뒤보다는 옆으로 돌린다는 느낌이 더 강하다. 프로레슬링으로 치면 벨리투벨리 수플렉스와 유사하다. 위 영상들처럼 뒤로 눕는 동작은 시전자에게 리스크가 크고, 잘못하면 아래 포지션을 허용하는 등 여러모로 비효율적이다. 그러므로 실제 격투기에서는 이렇게 몸을 180° 회전시켜 자신에게 오는 데미지를 차단하고 상위 포지션을 점해야 한다.

2. 나무 위키에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수플렉스의 바리에이션

3. 수플렉스와 관련된 가상인물

4. 수플렉스 장인

주로 아마추어 레슬링이나 유도 출신 레슬러들이 수플렉스 장인으로 꼽힌다.
[1] 이 점이 슬램과의 차이점이다. 슬램은 앞으로 던지는 것을 말한다.[2] 이건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갈리는데 현실의 근육버스터는 피셔맨 버스터의 일종으로 수플렉스의 바리에이션이 맞지만 근육맨에 등장하는 근육버스터는 수플렉스보다는 브레이커 쪽에 더 가까운 기술이다.[3] 실사영화판 한정[4] 주력기가 대놓고 무한 수플렉스이다.[5] 파일:잔 가도 - 수플렉스.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