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양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군함 분류의 일종에 대한 내용은 순양함 문서 참고하십시오.[[재벌집 막내아들(드라마)|]]
- [ 등장인물 ]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4B546A><bgcolor=#333C50><color=#fff><-4> 주요 인물 ||
순양 家 사람들 주변 인물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 방영 목록 ]
- ||<tablewidth=100%><tablebgcolor=#4B546A><width=1000> ||
방영 목록 전체 보기
- [ OST ]
- ||<tablewidth=100%><tablebgcolor=#020226><tablecolor=#ffffff><width=25%> ||<width=25%> ||<width=25%> ||<width=25%> ||
[[재벌집 막내아들(드라마)/음악#s-2.1| Part 1
GRAVITY]]
종호 (ATEEZE)
2022. 11. 26.[[재벌집 막내아들(드라마)/음악#s-2.2| Part 2
MOTHER]]
신용재
2022. 11. 28.[[재벌집 막내아들(드라마)/음악#s-2.3| Part 3
너를 사랑하고 있어]]
서다현 (tripleS)
2022. 12. 03.[[재벌집 막내아들(드라마)/음악#s-2.4| Part 4
LIKE A STAR (별처럼)]]
문수아 (Billlie)
2022. 12. 10.[[재벌집 막내아들(드라마)/음악#s-2.5| Part 5
IN THE END]]
김우진
2022. 12. 13.[[재벌집 막내아들(드라마)/음악#s-2.6| Part 6
기적 같은 너]]
폴킴
2022. 12. 17.[[재벌집 막내아들(드라마)/음악#s-2.7| Part 7
LOVE ME]]
포맨
2022. 12. 22.[[재벌집 막내아들(드라마)/음악#s-2.8| Full Track
재벌집 막내아들 OST]]
Various Artists
2022. 12. 26.그 외 삽입곡은 음악 문서 참고.
순양 順洋 | SOONYANG | |
<colbgcolor=#96303A><colcolor=#ffffff> 명칭 | 순양그룹 Soonyang Group / 順洋그룹 |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설립일 | 1943년[1] |
창업주 | 진양철 |
본사 | 서울특별시 |
직원수 | 200,000명 이상 |
유형 | 기업집단 |
규모 | 대기업 |
[clearfix]
1. 개요
JTBC의 동명의 드라마에 등장하는 가공의 기업으로 모티브는 삼성이다. 특히 순양자동차 로고는 삼성자동차 특유의 태풍 로고가 연상되기도 한다. 윤현우 세계관 기준 재계서열 1위인 대한민국 제일의 기업이다.[2]본 문서의 내용은 드라마판을 기준으로 하기에 원작과 다른 내용이 상당히 많다.[3] 원작의 설정에 대해선 순양그룹을, 원작과 드라마의 차이에 대해서는 드라마의 원작과의 차이점 문서를 참조할 것.
2. 상세
2.1. CI
<rowcolor=#ffffff> 1943~2002[4] | 1999~[5] |
<rowcolor=#ffffff> 순양자동차 | 순양백화점 및 유통그룹 계열 |
3. 오너 일가
3.1. 가계도
[[재벌집 막내아들(드라마)|]] 순양그룹 가계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할머니 이필옥 | ㅜ | 1대 회장 할아버지 진양철 | ─ | · ─ · ─ · | ─ | · ─ · ─ · | ㅜ | 진윤기의 친모 | ||||||
┌ | ─ | ─ | ─ | ㅜ | ─ | ─ | ㅗ | ┐ | ┌ | 」 | |||||
2대 회장 진도준 세계관 부회장 큰아버지 진영기 | ㅜ | 큰어머니 손정래 | 큰아버지 진동기 | ㅜ | 큰어머니 유지나 | 고모 진화영 | - | 고모부 최창제 | 아버지 진윤기 | ㅜ | 어머니 이해인 | ||||
┌ | 」 | ┌ | 」 | ┌ | ㅗ | ┐ | |||||||||
윤현우 세계관 부회장 사촌형 진성준 | ㅜ | 형수 모현민 | 사촌누나 진예준 | ㅜ | 매형 남편 문씨 | 형 진형준 | 나 진도준 | ||||||||
┌ | ㅗ | ┐ | ┌ | 」 | |||||||||||
사촌조카 진해성 | 사촌조카 진하경 | 사촌조카 문유석 |
부친 진찬호(1892~1968)[원작]모친 김옥분(1895~1975)[원작]형 진순철(1925~2000)[원작]창업주 진양철(1927~2002, 초대 회장)아내 이필옥(1929~2017)장남 진영기(1949~2022, 2대 회장)- 며느리 손정래(1951~)
- 손자 진성준(1974~, 부회장)
- 손부 모현민(1975~)
- 증손자 진해성(2003~)
- 증손녀 진하경(2007~)
- 손녀 진혜경(1975~)[원작]
- 손자 진경준(1976~)[원작]
- 손자 진영준(1977~)[원작]
- 차남 진동기(1950~, 부회장)
- 며느리 유지나(1952~)
- 장녀 진화영(1951~, 순양 F&B)
- 사위 최창제(1950~, 당 대표)
내연녀 ○○○(1938~2018)
3.2. 돌림자
순양가 | 돌림자 |
1세 | ○철(喆) |
2세 | ○기(基)/○영(榮) |
3세 | ○준(俊) |
4세 | ○성(成) |
3.3. 일가 코드명
드라마판상에서 등장하는 코드명. 그룹 임직원은 순양그룹 총수 일가의 성함을 함부로 부를 수 없기에 순양그룹 임직원들이 총수 일가를 지칭할 때 사용한다. 가령 1-0은 '일 다시 영', 4-α은 '사 다시 알파'로 소리 낸다. '-'는 원래 '대시(dæʃ)'로 읽지만, 대한민국에서는 '다시(dɑʃ)'로 소리 내는 경우가 많다. 위 코드에는 규칙이 존재하는데 'n-m'에서 n은 진양철 회장의 몇 번째 자식인지와 m은 그 사람의 몇 번째 자식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n에서 본인인 경우에는 0을, 배우자의 경우에는 α를 사용한다.- 진영기: 1-0
- 손정래: 1-α
- 진성준: 1-1
- 모현민: (코드명 불명)
- 진동기: 2-0
- 유지나: 2-α
- 진예준: 2-1
- 진화영: 3-0
- 최창제: 3-α
- 진윤기: 4-0
- 이해인: 4-α
- 진형준: 4-1
- 진도준: 4-2
4. 임원
- 부회장
- 기타
5. 계열사
5.1. 윤현우 세계관 기준 계열사
1화 윤현우 팀장 자리 뒤의 그룹계열현황을 기준으로 하며, 진도준 세계관에서만 등장한 회사들은 별도로 정리한다. 원작에서 묘사된 계열사 지배구조와는 차이가 있다.- 순양공익재단
- 순양의료원
- 순양인재개발원
- 순양중공업
- 순양화학
- 순양전기
- 순양기계
- 순양해운
- 순양공조
- 순양전자
- 순양TECHNICS
- 순양NEC
- 순양디스플레이
- 순양서비스
- 순양물산
- 순양에너지
- 순양건설
- 순양철강[24]
- SY어패럴
- 순양화재보험
- 순양생명
- 순양벤처투자
- 순양자산운용
- SY증권[25]
- 순양F&B
순양마이크로[29]
5.2. 진도준 세계관에서만 등장하는 계열사
※ 작중 언급 순서 기준으로 정리. 흡수합병의 경우 존속회사명 밑에 기록.- 순양반도체[30]
영진반도체[31]- 순양경제연구소[32]
- 순양자동차[33][34]
아진자동차[35]순양운수[36]- 순양 F&C[37]
순양생활과학[38]- 순양유통그룹[39]
순양백화점[40]- 순양리조트
- 순양골프
순양금융지주 (그룹법인, 지주회사)[41]순양카드[42]- 순양역사박물관
- 순양문화재단
6. 여담
- 순양그룹은 가상기업이지만, 작중 등장하는 또다른 기업들인 '미라클 인베스트먼트'와 '영진그룹', '아진그룹'은 실제로 같은 이름의 기업들이 존재한다.(미라클 인베스트먼트, 영진그룹, 아진그룹) 물론 양측 간 관련성은 없다.
[1] 15회의 진양철 회장 1주기 추도식 묘사에서 밝혀졌다.[2] 진도준 세계관 기준으로는 대영그룹에 밀려 2등이었다.[3] 대표적으로 드라마판에서 순양의 설립연원으로 표기된 1943년은, 원작에서 아직 진순철/진양철 형제가 금은방 조수였고 몰래 금을 빼돌려 돈을 모으고 있던 때다. 원작에서 둘은 해방 이후 적산 불하로 기업 경영을 시작했다.[4] 다만 전개 흐름을 보면 2002년에도 여전히 미라클인베스트먼트 사무실에서의 장면에서 순양그룹 사옥의 구 CI가 보인다. 심지어 2022년 현재를 나타낸 1화에서도 순양그룹 정문 양 옆에 구 CI가 여전히 나타나 있다.[5] 단 2000년 이전에 순양증권 사무실에서 순양 신 CI가 나온 걸로 보아 1999년쯤부터는 구, 신 CI를 혼용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원작] [원작] [원작] [원작] [원작] [원작] [원작] [원작] [원작] [원작] [원작] [원작] [원작] [19] 15회 마지막에서 트럭과 박아 따로 확인된 얘기는 없었으나 16화에서 언급되는 내용으로 사망 확정.[20] 마지막화에서 약혼은 한 것으로 묘사되었다.[21] 미라클 인베스트먼트 인수로 인한 해임[22] 2002년 8월 7일 이사회에서 해임. 순양금융 계열분리를 원하는 진동기가 뒤에서 움직였다.[23] 공금 횡령 및 배임 혐의로 해임[24] 진도준 세계관에서 한도제철을 인수한 것으로 보아 그 후 이름을 바꿨을 가능성이 있다.[25] 진도준 세계관에서는 순양증권이 미라클 인베스트먼트에 매각된 것으로 나오는데 같은 회사인지는 불명[26] 진도준 세계관에서의 명칭은 순양호텔[27] 진도준 세계관에서의 명칭은 순양면세점[28] 진도준 세계관에서의 명칭은 순양마트[29] 비자금 조성을 위한 페이퍼컴퍼니. 윤현우 세계관에서는 이 비자금을 회수하려다가 윤현우가 죽을 뻔 했고, 진도준 세계관에서는 진도준이 진양철로부터 이를 물려받지만 순양그룹 비자금 사건이 불거지자 전액을 사회에 환원해 국민적 지지를 받는다.[30] 순양그룹의 모티브가 된 삼성그룹에서 삼성반도체가 삼성전자와 합병된 것으로 볼 때 윤현우 세계관에서도 순양반도체가 순양전자와 합병되었을 것으로 보인다.[31] 인수 이후 순양반도체에 흡수합병.[32] 작중 진양철, 진영기의 언급[33] 마티즈를 모티브한 아폴로와 "미래는 바뀝니다"라는 슬로건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대우자동차를 모티브한 것으로 보인다.[34] 진도준 세계관에서는 존속하고 있었으나 윤현우 팀장 자리 뒤 그룹계열현황에서 순양자동차의 이름이 없는 것으로 보아 윤현우 세계관에서는 진양철의 결정에 따라 외국에 매각되어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1화와 16화에서 가상의 순양차가 아닌 메르세데스-벤츠의 차량들이 엠블렘 변경 없이 사용된 건 이를 반영한 것.[35] 진도준 세계관에서 아진그룹으로부터 인수 뒤 순양자동차에 흡수합병. IMF때 기아자동차를 삼성자동차가 인수하려 했던 것에서 따온 듯.[36] 5.16 군사정변 시기에 정권에 반강제로 헌납되었다.[37] 윤현우 세계관에서도 뉴욕 미드웨이 34번가 도넛은 대한민국에서 계속 판매되고, 그 도넛을 좋아하는 오세현이 진도준 사후 그를 먹지 않아 왔던 것으로 보아 순양 계열사가 계속 도넛을 판매하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정확한 계열사명을 알 수 없다.[38] 한참 이후의 일이긴 하나 삼성가의 이야기에 대입하여 보자면, 승계절차에 필요한 순양의 비자금을 벌게 해준 순양생활과학과, 삼성전자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삼성물산의 지분을 차지하기 위해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에서 분식회계로 제일모직의 몸집을 불리는데 이용되었다는 의혹을 받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사례가 비슷하다.[39] 2000년 계열분리[40] 진도준 세계관에서 미라클 인베스트먼트에 매각.[41] 2002년 금융지주 설립 무산.[42] 진도준 세계관에서 미라클 인베스트먼트에 매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