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9 19:25:26

소화 기관

소화계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소화계/곤충
,
,
,
,
,

1. 개요2. 구성 요소3. 미디어

1. 개요

포유 동물의 기관계
골격계 근육계 생식계 호흡계 순환계 피부계
내분비계 림프계 신경계 소화계 배설계 면역계

소화계()는 소화(消化)를 담당하는 기관계이다. 소화란, 동물이 섭취한 음식에서 영양분을 흡수하기 위해 신체 내부의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통하여 음식물을 잘게 섞거나 혼합하는 과정을 말한다. , 식도, , 십이지장, , 쓸개, 이자, 소장, 대장, 항문이 모두 소화계에 속하는 기관들이다. 이외에 치아를 소화기관에 추가하기도 한다. 입부터 항문까지의 소화기관의 길이는 보통 4.5m로 알려져있다.

입으로 들어간 음식물이 항문을 통해서 나올 때까지는 보통 16시간에서 길게는 36시간까지 걸린다. 이는 음식물의 종류와 양, 그리고 소화기관의 능력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소화 흡수가 빠른 이나 , 감자, 설탕, 과일, 우유[1] 등의 경우 식후 1시간이면 위에서 분해가 완료되며, 밀가루고기, 잡곡 종류는 2시간 이상이 걸린다. 가장 소화하기 힘든 음식은 기름에 튀긴 밀가루 음식으로, 치킨, 튀김, 인스턴트 식품(라면 등)의 경우 위 속에서 4~5시간까지 들어있는 경우도 있다. 늦은 밤에 기름진 음식을 먹고 자면 다음 날 속이 뒤집힐 수 있는 이유가 뱃속에 먹은 튀김들이 뎅뎅 불어 그대로 들어있기 때문이다. 위에서 소화된 음식물은 십이지장으로 이동하는데 이곳에서 이자액과 쓸개즙이 더해진다. 그후 소장으로 이동해서 융털을 통해 영양분을 흡수하고, 남은 찌꺼기는 대장에서 수분을 완전히 없애고 항문을 통해 배변으로 배출된다.

소화기는 작동할 때에 신체의 에너지를 음식물에 따라 50%~80%까지 끌어다 쓴다.

수술 시 환자에게 금식을 시키는 이유는 마취 시 소화기능이 정지하고, 위 속에 있는 음식물이 역류해서 기도로 흡인되어 호흡곤란 및 폐렴이 발생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2. 구성 요소

파일:digest.png
  • 식도(esophagus): 입으로 삼킨 음식물은 식도를 통하여 위로 전달된다. 자세한 구조는 식도 문서 참조.
  • (stomach): 위는 인체에서 가장 산성도가 높은(pH 2) 위산을 분비하여 음식물을 분해한다. 음식물은 위에서 약 1~5시간 동안 머물며 연동운동을 통해 위산과 섞여 액체상태로 바뀐다.
  • (liver): 체내에서 재생력이 제일 높다. 체내 유입되는 독의 해독 작용을 수행하고, 쓸개즙을 만들고 분비하며, 비타민, 철분의 저장 역할까지 수행한다.
  • 쓸개(담낭, gallbladder): 간에서 만들어진 쓸개즙을 농축하여 보관한다. 일반적으로 쓸개에 보관되어 있던 쓸개즙은 식사를 시작한 후 30분 정도가 지나면 모두 소진되는데, 그 이후에는 간에서 직접 쓸개즙을 분비한다. 따라서 쓸개를 절개하더라도 소화 과정에서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 이자(췌장, pancreas): 외분비샘에서는 아밀레이스, 트립신, 라이페이스 등의 소화효소들이 포함되어있는 이자액을 분비해 십이지장으로 내려보내고, 내분비샘인 랑게르한스 섬에서는 글루카곤, 인슐린, 소마토스타틴을 분비한다. 특히 글루카곤과 인슐린은 길항작용을 통해 혈당량을 조절한다. 췌장암은 치사율이 굉장히 높은 질병으로 유명하다.
  • 소장(작은창자, small intestine): 약 7미터 길이인 소장에서는 알칼리성(pH 8) 소화액과 이자액, 쓸개즙으로 음식물을 완전히 분해한다. 액체상태가 된 음식물은 소장에서 약 5~8시간 동안 머물며 융털을 통해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의 영양분을 흡수한다. 사람들의 인식과 다르게 소장은 대장보다 훨씬 많은 수분을 흡수한다. 그 이유는 소화를 돕기 위해 체내에서 분비된 여러가지 소화액을 소화 과정에서 다시 흡수하기 때문이다. 소장을 지난 음식물은 흡수가 안되는 일부 찌꺼기와 약간의 수분만 남게 된다.
    • 십이지장(샘창자): 쓸개즙과 이자액이 분비되는 곳.
    • 빈창자(공장)
    • 돌창자(회장)
  • 대장(큰창자, large intestine): 약 1.5미터 길이인 대장에서는 소장에서 흡수되지 않은 찌꺼기들의 수분을 완전히 제거해서 대변으로 만든다. 음식물은 대장에서 약 10~30시간 동안 머문다. 흔히 변비라고 부르는 증상은 음식물이 대장에서 지나치게 오래 머무는 증상을 말한다.
    • 맹장(cecum)
    • 충수(충수돌기, 막창자꼬리, appendix): 흔히 맹장염이라고 불리는 충수염은 충수에 염증이 생기는 질병이다. 과거 충수는 특별한 역할이 없는 퇴화된 장기라는 오해를 받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유익한 박테리아들을 보관하여 면역기관에 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충수를 제거한 사람들에게 신경계 질환인 파킨슨병의 발병률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연구 결과가 존재하여 파킨슨병과의 연관성에 대한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 결장(구불창자)
    • 직장(rectum)

3. 미디어

보통 미디어에서는 남성의 경우 잘 묘사되는 편이지만 여성의 경우 잘 묘사되지 않는다. [2]

[1] 유당불내증 환자의 경우는 제외.[2] 그러나, 여성의 경우에도 가 있고, 화장실 개그가 등장하는 경우나 배설이 스토리 전개에 필요한 경우, 방귀를 뀌거나 똥을 싼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