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서울특별시 | 월드모노레일ㆍ대현산배수지공원 모노레일 |
| 인천광역시 | | |
| 부산광역시 | 목장원 모노레일ㆍ영주동 모노레일ㆍ소망계단 모노레일懸 | |
| 울산광역시 | 장생포 모노레일 | |
| 대구광역시 | | |
| 광주광역시 | 무등산 모노레일 | |
| 경기도 | 예봉산관측소 모노레일ㆍ포천아트밸리 모노레일ㆍ화담숲 모노레일 | |
| 강원특별자치도 | 가리산관측소 모노레일ㆍ대금굴 모노레일ㆍ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 모노레일ㆍ철원평화전망대 모노레일ㆍ화암동굴 모노레일ㆍ환선굴 모노레일ㆍ소이산 모노레일 | |
| 충청북도 | 강변수변로 모노레일ㆍ만천하 모노레일ㆍ말티재 모노레일ㆍ청풍호 관광모노레일 | |
| 충청남도 | 예당호 모노레일ㆍ서대산관측소 모노레일 | |
| 경상북도 | | |
| 경상남도 | 거제 계룡산 관광모노레일 ㆍ제황산공원 모노레일카ㆍ대봉산휴양밸리 모노레일ㆍ합천영상테마파크 모노레일 | |
| 전북특별자치도 | 태권도원 전망대 모노레일 | |
| 전라남도 | 땅끝 모노레일ㆍ모후산관측소 모노레일ㆍ빛가람전망대 모노레일ㆍ완도타워 모노레일ㆍ가우도 모노레일 | |
| 폐지된 노선 | 서울어린이대공원 모노레일懸ㆍ부산 168계단 모노레일ㆍ고한읍 모노레일 | |
| 懸: 현수식 모노레일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닥밭골 소망계단 모노레일 Somang Stairway Monorail | }}} | ||
| 노선 정보 | ||||
| 분류 | 궤도운송수단 | |||
| 기점 | 산복도로 인근 | |||
| 종점 | 중앙공원로 인근 | |||
| 역 수 | 1라인 2개, 2라인 2개 | |||
| 개업일 | 2022년 7월 1일 | |||
| 소유 | 부산광역시 서구 | |||
| 운영 | ||||
| 노선 제원 | ||||
| 노선연장 | 불명 | |||
| 선로구성 | 단선 | |||
| 지상구간 | 전구간 | |||
| 개통 | 2022. 05. 23. 시범운행 시작 2022. 07. 01. 1라인 2라인 동시개통 | |||
1. 개요
부산광역시 서구에서 운행되고 있는 대한민국 최초의 현수식 모노레일.[1] 3개소의 정류장이 있다.2022년 5월 23일부터 시험운행을 시작하여 동년 7월 1일부터 정규운행을 시작했다.
2. 배경
부산광역시 구 시가지에는 산이 많고 평지가 좁은 지형에[2] 6.25 전쟁 당시에 전국 각지에서 몰려든 피난민촌으로부터 이어지는 달동네가 많이 형성되어있다. 이 일대에는 부산의 명물(...) 산복도로가 촘촘히 들어서 있어 의외로 대중교통편은 그리 나쁘지는 않지만 도로와 도로 사이 계단은 경사가 몹시 급하다. 더군다나 구 시가지는 고령화가 진행되어 노인 인구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동하는 데 어려움이 컸다.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조 교통수단을 설치한 홍콩[3], 포르투갈 리스본[4], 강원도 정선군[5] 등을 참고하여 모노레일을 설치하였다.3. 이용정보
급경사 계단을 오르내리기 힘든 지역주민들을 위한 노선으로, 지역주민의 탑승이 우선시 된다.망양로175번길인 계단길에 건설되었다. 요금은 무료이며, 급경사계단길을 따라 지어졌기 때문에 이용의 가치는 충분하다. 최대 이용인원은 2명으로 매우 적으며, 이용시간은 평일 07:30 ~ 22:00, 휴일 10:00 ~ 17:30.
3.1. 정류장
승강장은 총 3곳이 존재하며, 특이하게도 기점부터 종점까지 바로 갈수없고 중간역에서 하차하여 상부(혹은 하부)로 가는 모노레일로 환승해야 한다. 아무래도 해당노선의 중간에 차도가 관통하는데 건널목 문제로 분리해놓은듯하다.4. 기타
- 일반적인 소규모 모노레일과는 달리 특이한 형태인데 바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운행되고 있는 현수식 모노레일이다. 본래는 단 2년 전만 해도 서울 어린이대공원에도 놀이기구로 현수식 모노레일이 운행되고 있었으나 폐지되었다.
- 대한민국 최초의 현수식 모노레일이라는 타이틀과 함께 또다른 타이틀도 가지고 있는데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건널목이 존재하는 모노레일이다. 일반적으로 과좌식 모노레일은 구조상 대부분 고가로 다녀 애초에 도로와 만날 일이 없지만, 해당 노선은 현수식 모노레일인데다가 계단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인도가 만나는 등 여러 요인이 겹쳐 특이한 사례가 생겼다.
- 지역주민들을 위해 만들어졌지만 정작 이용객의 대부분은 관광객들이다. 또한 지역주민이 우선일뿐 관광객들의 이용이 제한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모노레일 정거장에 배치된 관리원들도 관광객이냐는 질문을 할뿐 따로 탑승을 제지하지 않는다.[6]
[1] 엄밀히 말하면 상업용으로는 최초이다. 국내 최초의 현수식 모노레일은 서울어린이대공원에 있는 폐지된 하늘열차가 최초이다.[2] 사실 부산광역시 전역이 군데군데 솟은 산으로 인하여 평지가 거의 없다.[3] 고도가 높은 동네를 연결하는 피크트램과 미드레벨 에스컬레이터는 홍콩을 찾는 관광객들이 한 번씩 꼭 이용하는 명물이 되었다.[4] 엘레바도르 산타 후스타라는 야외 엘리베이터가 시가지의 저지대와 고지대를 연결하고 있다.[5] 앞서 2009년에 주거지역과 재래시장 사이를 잇는 고한읍 모노레일이 개통하였다.[6] 모노레일 인근에 위치한 명소를 알려주시는 분도 계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