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7 03:38:47

센느 라먼스

세니 라먼스에서 넘어옴

1 바이은드르 · [[디오구 달로|2 달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60c2a; font-size: .8em"]] · [[누사이르 마즈라위|3 마즈라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60c2a; font-size: .8em"]] 파일:부상 아이콘.svg · 4 더리흐트 · [[해리 매과이어|5 매과이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60c2a; font-size: .8em"]] · [[리산드로 마르티네스|6 마르티네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60c2a; font-size: .8em"]] 파일:부상 아이콘.svg
7 마운트 · [[브루노 페르난데스|8 B. 페르난데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60c2a; font-size: .8em"]] · 10 쿠냐 · 11 지르크지 · 12 말라시아 파일:부상 아이콘.svg · 13 도르구
15 요로 · 16 아마드 · 18 카세미루 · 19 음뵈모 · [[톰 히튼|22 히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60c2a; font-size: .8em"]] · 23 쇼 · 25 우가르테
26 헤븐 · 30 셰슈코 · 31 라먼스 · 32 오비 · 33 프레드릭슨 · 35 레온 · 37 마이누
파일:UEFA POR.png 후벵 아모링 {{{#!folding [ 스태프 더보기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센느 라먼스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로열 앤트워프 FC 로고.svg
베스트팀
}}} ||
파일:Senne Lammens(25-26).png
<colbgcolor=#da020e><colcolor=#fff>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No. 31
센느 라먼스
Senne Lammens
출생 2002년 7월 7일 ([age(2002-07-07)]세)
오스트플란데런주 조테헴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기에|{{{#!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기에}}}{{{#!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93cm / 체중 92kg
포지션 골키퍼
주발 오른발 (양발)
소속 <colbgcolor=#da020e><colcolor=#fff> 유스 KRC 밤브뤼헤 (2007~2010)
FCV 덴더르 EH (2010~2014)
클뤼프 브뤼허 KV (2014~2020)
선수 클뤼프 브뤼허 KV (2020~2023)
로열 앤트워프 FC (2023~2025)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025~ )
국가대표 0경기 (벨기에 / 2025~ )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da020e><colcolor=#fff> 등번호 클뤼프 브뤼허 KV - 91번
로열 앤트워프 FC - 91번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31번
가족 톰 라먼스[1]
}}}}}}}}} ||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2.2. 국가대표 경력
3. 플레이 스타일4. 기록
4.1. 대회 기록
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벨기에 국적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골키퍼.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센느 라먼스/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센느 라먼스/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센느 라먼스/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국가대표 경력

각 급의 연령대 대표팀을 두루 거쳐 왔고 2025년 3월 A매치를 앞두고 처음으로 성인 대표팀에 소집되었다.

3. 플레이 스타일

193cm에 92kg이라는 골키퍼로서도 상당히 이례적으로 건장하다 못해 매우 큰 체격을 가졌다. 큰 체격에 비해 유연한 움직임과 빠른 반사 신경은 대표팀 선배인 쿠르투아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라먼스의 가장 큰 장점으로는 탄탄한 기본기를 토대로 동나이대 최고 수준의 선방률을 기록하는 선방 능력을 지녔다. 특히 니어 포스트로 오는 슈팅에 있어선 압도적인 반사 신경을 통한 선방을 보여주기도 한다. 더불어 좋은 체격을 바탕으로 준수한 공중볼 장악 능력을 보여주는 편이다. 또한 빌드업하는 골키퍼를 많이 요구하는 현대 축구에 부합하게 패스를 활용한 빌드업과 더불어 끊임없는 수비 라인 조정, 적절한 위치 선정 능력 등 기본적으로 클래식한 골키퍼에 현대 축구에서 요구되는 능력은 두 스푼 정도 섞은 유형의 선수이다. 여기에 훌륭한 페널티킥 선방 능력을 지니고 있기도 한데 2024-25 시즌 벨기에 프로리그에서 무려 4회의 페널티킥 선방을 기록한 바 있다.

리치가 긴 덕분인지 선방 시 모션이 그다지 크지 않아 2차선방 역시 곧잘 해 내지만[2] 캐칭과 펀칭 능력도 준수하여 불필요한 세컨볼을 많이 내주지는 않는다.

라먼스의 단점으론 아직 경험이 부족하다보니 공중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판단 미스를 내기도 한다. 피지컬을 앞세운 다양한 세트피스 전술을 구사하는 프리미어 리그에선 적응기에 고전을 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경험을 쌓아 나가며 반드시 개선해야 할 부분이다.

양발을 활용한 롱킥을 구사하지만 정확도엔 기복이 있어 이 역시 발전해야할 부분이다. 하지만 프리미어 리그 데뷔전에서 맨유의 롱킥 위주 전술에도 나쁘지 않은 킥력을 보여주었다.

결과론적으로 성장할 구석이 많지만 그만큼 성장을 다하면 매우 좋은 육각형 골키퍼가 될 수 있는 재목으로, 탄탄한 기본기와 선방 능력을 바탕으로 후방에서부터 시작되는 빌드업을 가진 전술을 구사하는 팀에서도 충분히 활약할 수 있는 올라운더 키퍼이다.

4. 기록

4.1. 대회 기록

5. 여담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025-26 시즌 스쿼드
파일:Diogo Dalot(25-26).png
파일:Noussair Mazraoui(25-26).png
파일:Matthijs de Ligt(25-26).png
파일:Harry Maguire(25-26).png
1 2 (3C) 3 (6C) 4 5 (VC)
알타이 바이은드르
Altay Bayındı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GK
1998.04.14
2023~2027
디오구 달로
Diogo Dalot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DF
1999.03.18
2018~2028
누사이르 마즈라위
Noussair Mazraoui

파일:모로코 국기.svg | DF
1997.11.14
2024~2028
마테이스 더리흐트
Matthijs de Ligt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1999.08.12
2024~2029
해리 매과이어
Harry Maguir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3.03.05
2019~2026
파일:리산마2526.png
파일:Mason Mount(25-26).png
파일:Bruno Fernandes(25-26).png
파일:Matheus Cunha(25-26).png
파일:Joshua Zirkzee(25-26).png
6 (4C) 7 8 (C) 10 11
리산드로 마르티네스
Lisandro Martínez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DF
1998.01.18
2022~2027
메이슨 마운트
Mason Mount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1999.01.10
2023~2028
브루노 페르난데스
Bruno Fernandes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MF
1994.09.08
2020~2027
마테우스 쿠냐
Matheus Cunha

파일:브라질 국기.svg | FW
1999.05.27
2025~2030
조슈아 지르크지
Joshua Zirkzee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FW
2001.05.22
2024~2029
파일:말라시아 24-25.png
파일:Patrick Dorgu(25-26).png
파일:Leny Yoro(25-26).png
파일:Amad Diallo(25-26).png
파일:Casemiro(25-26).png
12 13 15 16 18
타이럴 말라시아
Tyrell Malacia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1999.08.17
2022~2026
파트리크 도르구
Patrick Dorgu

파일:덴마크 국기.svg | DF
2004.10.26
2025~2030
레니 요로
Leny Yoro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2005.11.13
2024~2029
아마드 디알로
Amad Diallo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 MF
2002.07.11
2020~2030
카세미루
Casemiro

파일:브라질 국기.svg | MF
1992.02.23
2022~2026
파일:Bryan Mbeumo(25-26).png
파일:Tom Heaton(25-26).png
파일:Luke Shaw(25-26).png
파일:Manuel Ugarte(25-26).png
파일:Ayden Heaven(25-26).png
19 22 (5C) 23 25 26
브라이언 음뵈모
Bryan Mbeumo

파일:카메룬 국기.svg | FW
1999.08.07
2025~2030
톰 히튼
Tom Heat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GK
1986.04.15
2021~2026
루크 쇼
Luke Sha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5.07.12
2014~2027
마누엘 우가르테
Manuel Ugarte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MF
2001.04.11
2024~2029
에이든 헤븐
Ayden Heave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2006.09.22
2025~2029
파일:Benjamin Sesko(25-26).png
파일:Senne Lammens(25-26).png
파일:오비2425.png
파일:Tyler Fredricson(25-26).png
파일:Diego León(25-26).png
30 31 32 33 35
베냐민 셰슈코
Benjamin Šeško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 FW
2003.05.31
2025~2030
센느 라먼스
Senne Lammens

파일:벨기에 국기.svg | GK
2002.07.07
2025~2030
치도 오비 마틴
Chido Obi Martin

파일:덴마크 국기.svg | FW
2007.11.29
2025~2030
타일러 프레드릭슨
Tyler Fredrics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2005.02.23
2024~2030
디에고 레온
Diego León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 DF
2007.04.13
2025~2030
파일:Kobbie Mainoo(25-26).png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37 # # # #
코비 마이누
Kobbie Mainoo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2005.04.19
2022~2027
- - - -
<colbgcolor=#da020e> 구단 정보
회장: 조엘 글레이저, 에이브럼 글레이저, 제임스 래트클리프 / 감독: 후벵 아모링 / 홈구장: 올드 트래포드
출처: 공식 웹사이트, 트랜스퍼마크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9월 13일
}}}}}}}}} ||
파일: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wiki style="color: #FBD96C;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000000"
<rowcolor=#fbd96c>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1 티보 쿠르투아
(Thibaut Courtois)
1992년 5월 11일 ([age(1992-05-11)]세) 105 0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
12 마르턴 판더보르트
(Maarten Vandevoordt)
2002년 2월 26일 ([age(2002-02-26)]세) 0 0 파일:독일 국기.svg RB 라이프치히
13 마츠 셀스
(Matz Sels)
1992년 2월 6일 ([age(1992-02-26)]세) 11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노팅엄 포레스트 FC
DF 2 제노 데바스트
(Zeno Debast)
2003년 10월 24일 ([age(2003-10-24)]세) 22 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스포르팅 CP
3 아르투르 테아테
(Arthur Theate)
2000년 5월 25일 ([age(2000-05-25)]세) 27 1 파일:독일 국기.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4 브랜던 메헬러
(Brandon Mechele)
1993년 1월 28일 ([age(1993-01-28)]세) 4 0 파일:벨기에 국기.svg 클뤼프 브뤼허 KV
5 막심 더카위퍼르
(Maxim De Cuyper)
2000년 12월 22일 ([age(2000-12-22)]세) 12 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15 토마 뫼니에
(Thomas Meunier)
1991년 9월 12일 ([age(1991-09-12)]세) 73 9 파일:프랑스 국기.svg LOSC 릴
16 코니 더빈터르
(Koni De Winter)
2002년 6월 12일 ([age(2002-06-12)]세) 4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밀란
19 디에구 모레이라
(Diego Moreira)
2004년 8월 6일 ([age(2004-08-06)]세) 1 0 파일:프랑스 국기.svg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21 티모시 카스타뉴
(Timothy Castagne)
1995년 12월 5일 ([age(1995-12-05)]세) 56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풀럼 FC
MF 6 니콜라 라스킨
(Nicolas Raskin)
2001년 2월 23일 ([age(2001-02-23)]세) 5 1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레인저스 FC
7 케빈 더 브라위너
(Kevin De Bruyne)
1991년 6월 28일 ([age(1991-06-28)]세) 113 3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8 유리 틸레만스 파일:주장 아이콘.svg
(Youri Tielemans)
1997년 5월 7일 ([age(1997-05-07)]세) 79 1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톤 빌라 FC
14 말릭 포파나
(Malick Fofana)
2005년 5월 31일 ([age(2005-05-31)]세) 3 1 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리옹
17 샤를 더케텔라러
(Charles De Ketelaere)
2001년 3월 10일 ([age(2001-03-10)]세) 23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18 샤를 반호트
(Charles Vanhoutte)
1998년 9월 16일 ([age(1998-09-16)]세) 1 0 파일:프랑스 국기.svg OGC 니스
20 한스 파나컨
(Hans Vanaken)
1992년 8월 24일 ([age(1992-08-24)]세) 28 5 파일:벨기에 국기.svg 클뤼프 브뤼허 KV
22 알렉시스 살레마키어스
(Alexis Saelemaekers)
1999년 6월 27일 ([age(1999-06-27)]세) 18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밀란
FW 9 로이스 오펜다
(Loïs Openda)
2000년 2월 16일 ([age(2000-02-16)]세) 28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10 레안드로 트로사르
(Leandro Trossard)
1994년 10월 4일 ([age(1994-10-4)]세) 46 1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날 FC
11 제레미 도쿠
(Jérémy Doku)
2002년 5월 27일 ([age(2002-05-27)]세) 35 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23 미시 바추아이
(Michy Batshuayi)
1993년 10월 2일 ([age(1993-10-02)]세) 55 27 파일:독일 국기.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일정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2025년 9월 4일(목) 원정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2025년 9월 7일(일)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9일
}}}}}}}}} ||
[1] 형도 축구 선수다.[2] 다이빙 모션이 매우 큰 편이라 2차 선방에 대한 반응 속도가 떨어지는 안드레 오나나와는 비교되는 단점이라 이는 맨유에게 상당히 고무적인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