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배틀그라운드 틀 보기 {{{#!folding 맵/모드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배틀로얄 | 에란겔[P][M][N] / 미라마[P][M] / 비켄디[P][M] / 태이고[P] / 데스턴[P] / 트로이[N] |
미니로얄 | 사녹[P][M] / 카라킨[~P][M] / | |
| ||
훈련장 | PC 버전 / 모바일 버전 / 뉴스테이트 | |
팀 데스매치 | PC 버전 / 모바일 버전 / 뉴스테이트(라운드 데스매치) | |
Play Lab(모바일) | ||
기타 모드 | 실험 모드(Labs)(구 이벤트 모드) / 아케이드 모드(모바일) / 테마 모드(모바일) / 메트로 로얄(모바일) / 실험실(뉴스테이트)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 플레이 정보 | 가이드 / 전략 및 팁 / 무기 · 랭크 |
모드 | 클래식 모드 / 아케이드 모드 / 테마 모드 / 팀 데스매치 / 서바이벌 모드 / 메트로 로얄 | |
맵 | 에란겔 / 미라마 / 사녹 / 비켄디 / 리빅 / 카라킨 / | |
업데이트 내역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기타 | 캐릭터&버디 / 개인 업적 · 로얄패스 / 시리즈 내 타 작품과의 차이점 / 스킨 / Going Dumb(OST) / 문제점 및 사건 사고 | }}}}}}}}} |
지도
-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1.1. 1차 리메이크
2. 재탄생3. 드랍되는 차량4. 드랍무기5. 주요 스폿5.1. 북서쪽 섬
6. 철도7. 평가8. 여담5.1.1. BJ-탄광(Coal Mine)
5.2. 남쪽 섬5.2.1. AM-나즈노바(Naznova)5.2.2. BL-다이노 랜드(Dino Land)5.2.3. BO-파빌카(Pavilka)5.2.4. CM-목재 저장소(Lumber Yard)5.2.5. DJ-관측소(Observatory)5.2.6. DK-나로스(Naros)5.2.7. DN-데카 메스토(Deka Mesto)5.2.8. DO-양조장(Winery)5.2.9. EL-기차역(Train Station)5.2.10. FK-라베니(Laveni)5.2.11. FN-성(Castle)5.2.12. FO-크라닉(Kranik)5.2.13. GJ-우주기지(Cosmodrome)5.2.14. GL-별장(Villa)5.2.15. GM-트리카(Trika)
5.3. 복귀전 전용 섬5.3.1. HP-복귀(Comeback)
1. 개요
원인을 알 수 없는 폭설과 눈보라로 인하여 한때 온화했던 비켄디가 황폐화되었습니다. 이 가혹한 조건에서는 다른 생존자 외에도 매서운 추위와 야생 동물 또한 염두에 두고[1] 있어야 합니다.
게임 내 맵 설명
게임 내 맵 설명
배틀그라운드에서 출시한, 설원을 배경으로 하는 맵.
2018년 12월 7일 오후 3시(KST)부터 테스트서버에서 플레이가 가능하며 2018년 12월 19일 라이브서버에도 업데이트되었다.
2022년 11월 29일부터 새롭게 바뀐 비켄디를 테스트 서버에서 먼저 시범적으로 공개하였으며 2022년 12월 6일 업데이트됐다.
맵은 남부의 눈이 없는지역, 중부의 눈이 쌓인 지역, 북부의 얼음 지역이 있다. 발매 전 한 레딧유저가 이 맵을 유출했는데 그 정보에 의하면 프로톤 로켓과 그 발사대로 우주 센터와 아치교 등 몇몇 다리, 그리고 중간중간 구멍이 뚫려있는 얼어붙은 강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맵 사이사이에 창문 없는 소규모 건물들이 위치해 있다. 거대한 시멘트 공장도 존재한다.
개발 일지와 소개 영상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섬으로 한때 무역업과 시멘트 산업 등으로 번성했었고, 관광지로도 각광받던 곳이었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폐허가 된 섬이라고 한다.
게임 시작 전에 사녹에서 사과를 던지듯이 눈덩이(20개)를 투척할 수 있다. 눈덩이를 던져서 눈덩이가 사물에 맞으면 부서지면서 맞은 부분에 눈이 묻는다. 헬멧을 쓰지 않은 사람의 머리에 맞히면 머리 색깔이 점점 짙어진다.
그리고 추운 날씨를 반영한 것인지 비켄디에서 플레이할 경우, 캐릭터가 기침하는 모션과 입김, 몸의 열을 올리기 위해 제자리에서 뛰거나 심지어 의상이 반팔이거나 홀딱 벗은 수준일 경우 덜덜 떠는 모션까지 표현되어 있어서 리얼리티를 높여준다.
눈/얼음지형에서는 차량이 더 잘 미끄러진다. 따라서 일반 지형에서 주행할 때보다 초반 가속이 느리고, 고속 주행에서 방향 전환 시 미끄러질 확률이 높다. 눈이 덮힌 지형에서 차량이나 도보로 이동하면 바퀴자국이 남거나 발자국이 남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근처에 적이 지나갔는지 확인도 가능하다. 발자국과 바퀴자국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사라진다.
아이템 스폰 밸런스는 에란겔과 사녹의 중간 정도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체감상 사녹 보다는 에란겔에 가까운 드랍률을 보였지만 12월12일 테스트서버 점검후 중간값으로 올라간듯 하다. 짤파밍의 경우 두세 구역을 탈탈 털어야 겨우 AKM이나 M16A4가 보이는 수준이며 G36C와 M416은 아주아주 드물게 나왔지만 12월17일 점검후 의 드랍률이 더 올라갔다. 드랍율 관련 피드백이 이루어진 1월 이후에는 그럭저럭 나오는 추세. 그러나 2019년 중순 이후로 DMR과 고배율 스코프의 드랍률은 대단히 형편없다. SR은 그럭저럭 보기 쉬운 편이고 SR파츠나 AR파츠는 굉장히 잘 나오는 편이다. 게다가 회복아이템, 특히 진통제나 에너지 드링크가 쏠쏠하게 나오는 편이다. 다른 맵과는 다르게 3레벨 헬멧이 월드에서 스폰되고, 3레벨 조끼 역시 타 맵보다 많이 스폰된다. 보급상자에서는 하얀 길리슈트도 등장하고 연막탄의 스폰 비율이 높게 설정되어 있으며, 눈 덮인 지형이 많기 때문에 하얀 연막이 상대적으로 눈에 덜 띈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에서는 그 후로 커스텀에서만 이용이 가능했다. 2021년 10월 8일부터 비켄디를 모바일 배그에서 이용이 가능하다.[2]
1.1. 1차 리메이크
비켄디 리메이크 정리 영상
2. 재탄생
비켄디 두번째 리메이크 정리 영상
기존에 없었던 눈이 다시 생기고 케이블카, 복귀전등 많은것이 새로 생겼다.
2.1. 신규 피처
리메이크로 인해 새로 추가된 요소는 다음과 같다.2.1.1. 케이블카
비켄디의 산악 지역에 새로 추가된 이동 수단으로, 지도의 빨간색 점선 부분을 이동한다. 케이블카 내부 공간이 넓다 보니 해당 클립 영상처럼 차를 싣고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블카 탑승장과 케이블카 안에는 SR과 판처파우스트가 등장한다.
2.1.2. Lab Camp
|
전체 외관[3] |
|
내부에 있는 상자 |
노란색 상자 | 투척물, 부스트 아이템, M79, 3레벨 방어구 및 배낭 |
빨간색 상자 | 비켄디 스폰 총기(탄약 포함[탄약])[6] |
파란색 상자 | 비켄디 스폰 부착물 |
이 상자들은 복귀전에서 보급상자로 나온다.
2.1.3. 쇠지렛대 상호 작용
|
쇠지렛대로 열 수 있는 문/선반의 모습 |
|
쇠지렛대로 문/선반의 자물쇠를 따는 모습 |
그동안 별로 쓸모가 없었던 쇠지렛대가 그나마 비켄디에서 쓸모 있게 됐다. 일부 문과 일부 선반을 쇠지렛대를 이용해 딸 수 있어, 문 너머로 들어가거나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카라킨의 점착폭탄과 엇비슷한 역할을 하는 셈.
2.1.4. 블리자드 존
레드존을 대신해 나오는 것으로, 21.2 패치로 추가됐다.
2.1.5. 야생 동물 (미출시)
2.2. 태이고에서 가져온 피쳐
2.2.1. 비밀의 방
|
외부의 모습 |
|
내부의 모습 |
2.2.2. 복귀전
태이고에 있는 그 복귀전이 비켄디에 추가되었다. 하지만 총 3번 진행된다.
3. 드랍되는 차량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배틀그라운드 틀 보기 {{{#!folding [ 이동수단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이동수단 | 이륜, 삼륜차 / 사륜차 / 해상 및 공중 / 무인운전 |
- 사륜차
- 다시아
- 지마 [비켄디한정]
- 이륜, 삼륜차
- 해상, 공중 이동수단
- 모터글라이더
- 보트
- 아쿠아레일
4. 드랍무기
- AR
- SMG
- DMR
- 7.62mm
- Mk14[보급]
- SKS
- SLR
- 5.56mm
- 미니14
- 9mm
- VSS
- SR
- LMG
- 5.56mm
- M249
- 7.62mm
- MG3[보급]
- SG
- 12게이지
- S1897
- S686
- S12K
- DBS
- 권총
- 9mm
- P92
- 스콜피온
- .45 ACP
- Deagle
- P1911
- 플레어
- 플레어 건
- 기타
- 석궁
- 판처파우스트
- 60mm 박격포탄
- 박격포
5. 주요 스폿
공식 지역 소개 동영상
다른 맵에 비해서 눈에 띌 만큼 중소도시와 랜드마크가 많다. 또한 소규모 마을도 사녹을 떠올리게 할 만큼, 오히려 사녹 이상으로 밀도가 높은 것이 특징. 지명에 별다른 의미가 없는 경우도 많지만 유달리 러시아어, 루마니아어 등에서 따온 지명이 많다.
5.1. 북서쪽 섬
5.1.1. BJ-탄광(Coal Mine)
파일:Reborn Coal Mine.png북서쪽 끝자락에 있는 마을. 이름 그대로 석탄 광산이다. 파밍 장소가 생각보다 아주 많은 편은 아니다.
5.2. 남쪽 섬
5.2.1. AM-나즈노바(Naznova)
5.2.2. BL-다이노 랜드(Dino Land)
Dino Land는 한 때 비켄디가 얼마나 번성했었는지를 상상할 수 있게 해주는 적절한 장소입니다. 이 곳은 공룡을 컨셉으로 하는 70년대의 테마 파크로 롤러코스터, 범퍼카, 미로 등 각종 놀이기구의 흔적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이은 전투로 지쳤다면 간간이 Dino Land에 들러 기분전환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중서부에 위치한 1970년대 쯤으로 되어 보이는 테마파크. 이름답게 거대한 공룡 모형이 있다. 테마파크답게 범퍼카와 롤러코스터도 있다. 미로 내에서 교전할 수 있는 이색적인 장소. 파밍은 다소 빈약한 편이나 아이템은 잘 나온다.[20]롤러코스터 레일은 올라갈 수 있고, 잘하면 차량을 올릴 수도 있어서 스노우모빌로 롤러코스터를 탈 수도 있다. 영상
리메이크 이후로 '다이노 파크'에서 ‘다이노 랜드’라는 이름의 대형 테마파크가 되었다.
15.1 패치에서 카카오와의 콜라보로 카카오프렌즈 랜드로 탈바꿈하였다. 곳곳에 카카오 프렌즈의 캐릭터 조형물이 설치되고, 포토존도 여러 곳에 생성됐다. 그리고 다음 패치인 15.2 패치에서 테마가 제거되고 다시 다이노 랜드로 돌아왔다.
5.2.3. BO-파빌카(Pavilka)
5.2.4. CM-목재 저장소(Lumber Yard)
살짝 남쪽에 위치한 중소도시. 원래 이름이 붙어있는 도시인데도 규모가 짤파밍했지만 현재는 위치가 옮겨지며 파밍 구역이 상당히 넓어졌다. 하지만 그만큼 사람들이 적지 않게 가는 곳이므로 초반 교전을 대비해야 한다.
5.2.5. DJ-관측소(Observatory)
5.2.6. DK-나로스(Naros)
5.2.7. DN-데카 메스토(Deka Mesto)
5.2.8. DO-양조장(Winery)
Winery는 비켄디에서 가장 따뜻한 곳으로, 유일하게 포도가 생산되어 비켄디의 귀족과 부자에게 인기가 많은 지역이었습니다. 어느날 원인 모를 지반 붕괴로 인해 마을은 급격히 쇠락했지만 아직까지 마을 곳곳에서 과거에 번창했던 흔적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무너진 포도주 양조장이 있는 지역이다. 유일하게 포도가 자라는 지역이였다고 한다.
시멘트 공장처럼 이곳도 플레어건이 잘나온다는 곳 중 하나다.
5.2.9. EL-기차역(Train Station)
새로운 비켄디의 주요 지역. 기차의 시종점이기도 한 이 곳에는 차량사업소처럼 기차들이 모여있는 건물도 있고, 기차역 플랫폼도 위치해 있다.
5.2.10. FK-라베니(Laveni)
5.2.11. FN-성(Castle)
큰 강 중심에 떠 있는 Castle은, 비켄디의 과거를 상기시켜주는 이 지역의 랜드마크입니다. 해자로 둘러쌓여 있고 성으로의 진입로가 몇 없기 때문에 수비하는 입장에서는 이곳만큼 든든한 구조물이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높은 첨탑 위에 올라가서 주변을 살펴 보기에도 안성맞춤입니다.
작고 얼어붙은 호수에 둘러싸인 중세 시대풍 성. 내부에는 배경에 걸맞게 갑옷이 장식되어 있다. 이곳은 아이템이 대부분 건물안에 밀집되어 있고, 담장 바깥지역에는 아이템이 거의 안 뜨다시피 하기에,[21] 낙하산 싸움에서 밀렸다면 그냥 다른 지역으로 재빨리 도망치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영상 50초부터와 같이 버그가 많았다.[A]5.2.12. FO-크라닉(Kranik)
파일:Kranik.png5.2.13. GJ-우주기지(Cosmodrome)
Cosmodrome은 이제 폐허가 된 우주기지입니다. 발사대에 걸쳐져 미처 비행하지 못한 로켓으로도 알 수 있듯, 코스모드롬은 시간이 멈춰버린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큰 돔 형태의 작업장과 정비 중인 우주 비행선, 그리고 높게 쌓아 올린 파괴된 타워가 매우 인상적인 지역입니다.
러시아어로 우주선 발사 기지를 뜻한다. 이름처럼 로켓이 세워져 있는 큰 시설로, 여타 맵의 군사시설과 같은 역할을 할 것으로 보였으나 쓸데없이 넓은 면적에 비하면 낮은 파밍 효율로 사람들이 많이 가지는 않는다. 그러나 비행기 동선에 겹친다면 사람들이 꽤 내릴 때도 많다.
이곳에 세워진 로켓은 러시아의 프로톤 로켓과 유사한 로켓인것으로 보인다.[23] 여담으로, 우주기지의 큰타워[24][25]는 절대로 착지해서는 안된다. 타워가 높은데 아이템은 하나도 안나온다. 그리고 내려갈 길 또한 없어 이곳에 착지한다면 100% 사망 확정이다.
오른쪽 격납고에는 우주왕복선이 있다.[26]
그런데 이름은 러시아식인데 부란이 아닌 미국의 우주왕복선이 있다.
5.2.14. GL-별장(Villa)
중세풍의 거대한 저택이 있는 지역. 에란겔의 학교, 미라마의 델 파트론과 비슷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였으나, 아이템 파밍이 생각보다 부실한 편. 메인 건물도 심플한 구조의 1층 건물이기 때문에 주 교전은 울타리 안팎에서 벌어진다. 심지어 동쪽 외곽으로 자리가 옮겨진 뒤부터는 방문하는 사람들도 많이 줄어들었다.
5.2.15. GM-트리카(Trika)
5.3. 복귀전 전용 섬
5.3.1. HP-복귀(Comeback)
6. 철도
2020년 초 패치로 추가되었다. 남부와 북부에 동서축 노선이 한 개씩, 그리고 맵 전체를 한 바퀴 도는 순환선 노선이 한 개 존재하였으나 재탄생 리메이크 이후 모든 노선이 사라지고 탄광과 기차역을 잇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맵 상에 푸른색으로 노선이 표시되어 있다.
사플에 방해된다는 평가가 많았으나 이것도 재탄생 리메이크 이후 소리가 줄어들었다.
7. 평가
2022년 12월 이후 새롭게 바뀐 비켄디는 평가가 극과 극이다.전에 출시한 태이고와 데스턴의 기능을 가져왔는데, 3번의 복귀전과 지마 패치에 대한 평가가 많이 갈린다.
8. 여담
- 테스트 서버에 첫등장 했을 때에는 권장사양 이상의 고사양 컴퓨터에서도 50프레임 방어조차 안될 정도로 끔찍한 최적화를 보여주었지만 테스트 서버에서 식생 렌더링 방식을 변경하는 등의 최적화 패치를 통해 발매 초창기에 비해 프레임이 다소 나아졌다. 다만 여전히 다른 맵에 비해 최적화 상태에 부족함이 많고, 서버의 문제인지 서버렉이 나타나서 끊김으로 인해 낮은 프레임이 출력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계속된 최적화 패치로 초창기의 발적화는 다소 벗어났지만 여전히 모든 맵 중에서 가장 낮은 프레임을 출력하는 중. 비켄디 리메이크후 프레임이 매우 향상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하얀 지형의 경우 도트류의 레티클[27]이 보이지 않을 수 있다. 교전시 무배율~저배율 도트로 원거리 사격을 할 때 어느정도 불편할 수 있다. 이 경우화면 밝기와 도트 밝기를 조절하는 것이 좋다.
- 맵 공개 이전에는 배틀그라운드와 아무 관련 없는 게임인 워 썬더의 얼어붙은 산길 맵 스크린샷을 찍어 배그에 겨울 맵이 나온다는 티저 낚시가 등장하기도 했다.
- 현재 배틀그라운드는 운영상의 문제, 경쟁작의 유행 등으로 인해 유저들이 대거 이탈하여 하락세를 겪고 있으며, 신규 맵이 테스트 서버에 올라왔을 당시 동시접속자가 90만명을 다시 넘어섰기 때문에 사실상 배틀그라운드의 마지막 희망이라고 볼 수 있다. 제작진도 이를 의식한것인지, 맵 자체는 매우 고퀄리티이며 스킨이나 감정표현 등 추가 컨텐츠도 많이 준비한것으로 보인다.
- PC버전 밤 맵에 대한 떡밥을 개발사측에서 뿌렸는데. 언제 어떻게 출시될지 정확히 공개된 것은 없다. 단 2018년 12월 15일에 테스트 서버 파일에서 스콜과 밤, 눈, 맑음 등의 맵 목록이 확인되었다.
- 중요하지는 않지만 비행기에서 끝까지 내리지 않고 있다가 자동으로 내리게 될때 낙하산을 일찍 펴서 맵 끝까지 갈 경우 낙하산이 자동으로 끊어지면서 추락한다. 추락을 하면 땅이나 물에 착지하는데 낙뎀이 안 들어가면서 맵 밖으로 갈 수 있다. 맵밖에는 구현이 덜 된 거대한 오르막, 또는 바다에 떨어지면 물 밖에 없는데 계속 가다보면 아직 출발을 안한 자기장을 볼 수 있다... 물론 당연히 들어가면 데미지를 입는다.
- 이름으로 추정되는 것이 유출되었다. 맵 사진 오른쪽 위에 Dihor Otok(디호르 오토크)라고 적혀 있는데, 유출된 파일에
"XB:MAP": "맵",
"XB:ERANGEL": "에란겔",
"XB:DESERT": "미라마",
"XB:SAVAGE": "사녹",
"XB:DIHOROTOK": "비켄디",
"XB:RANGE": "캠프 자칼",
이 주소에서 유출되었다. 로비가 패치되면 과거 링크는 삭제되므로 접속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비공개 클라이언트 데이터마이닝 결과에서 DihorOtok이라는 폴더가 발견되었다."XB:ERANGEL": "에란겔",
"XB:DESERT": "미라마",
"XB:SAVAGE": "사녹",
"XB:DIHOROTOK": "비켄디",
"XB:RANGE": "캠프 자칼",
이 주소에서 유출되었다. 로비가 패치되면 과거 링크는 삭제되므로 접속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디호르 오토크는 사녹의 이전 이름이던 새비지(Savage)처럼 코드네임이고 정식 명칭은 비켄디(Vikendi)이다. 슬로베니아어로 주말이라는 뜻이 있다.
- 맵 밖의 섬은 섬 뒷 부분까지 제대로 구현되어있고 지도에서 볼 수 있듯 플레이 가능 구역보다 더더욱 크다. 사람들은 당연히 저런 부분을 제거해서 프레임을 높혀달라고 하는데 가지 못하는 섬엔 멀리 있는 만큼 모델링과 텍스쳐의 디테일이 낮고, 또 집도 차도 심지어 식생도 없는 빈 섬인지라 게임 플레이 도중엔 불러올 부분이 없어 현 비켄디의 프레임 드랍 현상과는 거리가 멀다.
- 2020년 1월 15일, 신규 2x2 맵인 카라킨이 테스트 서버에서 출시됨에 따라 비켄디가 잠시 없어지게 되었다. 펍지는 일단 비켄디를 제외한 4맵으로 운영하고 비켄디의 문제점을 개선한 뒤 다시 추가할 예정이라고 했다. 그리고 3월에 전반적인 리메이크를 거쳐서 돌아왔다. 여전히 맵이 무겁긴 하지만 리메이크 이후 프레임이 다소 나아진 편이다.
- 새로 생긴 비켄디에서 옛날에 tovar가 있었던 곳 부근의 산의 바닥 밑으로 들어갈 수 있는 버그가 발생했다.
- 리메이크 되면서 다시 설원 비중이 높아져 그냥 흰옷을 입는것만으로도 어느정도 은폐효과를 볼수 있게 되었다. 실제로 비켄디 시작전 대기인원들의 상당수가 흰옷을 입고 있다. 역효과로, 가뜩이나 엄폐물이나 짤건물이 부족한 지형이다보니 화려한 색의 옷을 입으면 설원에서 더욱 눈에 띈다.
- 맵 전체에 철길이 많다. 철도 뿐만 아니라 광산의 철길, 포트 등에서 볼 수 있다.
- 13.2 패치 까진 정규맵이였던 비켄디가 플레이어 유입이 적었던 탓인지 14.1 패치로 결국 맵 로테이션 적용이 되어 14 시즌 동안 못 만나게 됐다.
[1] 실제 맵 설명에는 '염두해두고'라고 잘못 적혀 있다.[2] 다만 리메이크가 진행되지 않았으며 다소 차이가 있다.[3] 규모가 작을 경우 중앙의 구형 구조물이 없기도 하다.[4] 경보가 울리는 중에 아이템을 빼도 경보가 울리는 시간이 늘어나지는 않지만, 경보가 울리고 난 후 다시 아이템을 빼면 경보가 다시 10초 동안 울린다.[탄약] 총기 하나에 대응하는 지급 탄약은 12게이지는 10발, 석궁용 볼트는 10발 혹은 15발, 300매그넘은 20발, 5.7mm는 200발, 나머지 탄약은 30발이다.[6] 드물게는 보급 상자 전용 총기도 등장할 수 있다![비켄디한정] 비켄디에서만 획득할 수 있는 것들[비켄디한정] [9] 1차 리메이크때 삭제되었으나 2차 리메이크때 다시 돌아왔다.[비켄디한정] [모바일] PC, 콘솔 버전에서는 사용 불가능하지만, 모바일 버전에서는 이용 가능하다.[보급] 공중 보급상자와 Lab Camp의 무기 상자, 비밀의 방에서만 드랍된다. 필드에서는 획득할 수 없다.[보급] [보급] [보급] [보급] [보급] [보급] [보급] [20] 작은 매점들을 무시하지 말자. 여기에 아이템이 미친듯이 드롭된다.[21] 그래서 이곳에 3~4 스쿼드 정도가 낙하하면 건물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단체로 주먹질이나 프라이팬, 빠루 같은 근접무기로 마치 패싸움을 하는 듯한 웃지 못할 상황들이 많이 일어난다. 연장 챙겨!![A] 정식 출시 이후로 이 버그는 삭제되었다.[23] 1단부는 프로톤이긴한데... 2단부는 영락없는 R-36 드네프르(SS-18 사탄) ICBM과 흡사하다.[24] 유튜브 등지에서는 신의 탑이라는 별명이 돌고 있다.[25] 정확한 용어는 VAB(Vehicle Assembly Building), 로켓 조립동이다.[26] 방열 타일(아래쪽 검은 타일)에 작게 적힌 글씨도 디테일하게 구현되어있다.[27] 스코프나 조준기의 붉은/초록색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