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일반 | 스토리 / 가이드 / 이동 수단 / 전략 및 팁 / 랭크 / 업적 시스템 / 서바이버 패스 / 흥행 / 평가 / e스포츠 / 문제점 (핵 문제) / 사건 사고 / 시리즈 내 타 작품과의 차이점 |
기타 모드 | 이벤트 모드 / 팀 데스매치 / 실험 모드(Labs) | |
패치 | 최신버전 / 얼리 액세스 / 1.0 / 사녹 테스트서버(1.0) | |
맵 | 개요 / 에란겔 / 미라마 / 사녹 / | |
아이템 | 무기 (무기 전체) / 총기 부착물 / 아이템 / 무기 스킨 / 의상 스킨 | }}}}}}}}} |
1. 개요
확대가 가능한 웹사이트 [1]PUBG: BATTLEGROUNDS의 맵 및 그 주요 지점들에 대한 소개를 다룬 문서이다.
맵의 가로와 세로로 그어져 있는 큰 격자는 1km를, 작은 격자는 100m를 나타낸다. 대부분의 건물은 맵에 건물 모양에 맞게 노란 실루엣으로 표시된다. 다만 방범 초소나 지하 벙커와 같이 맵 상에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건축물도 존재한다. 맵의 주요 지점들에 대한 소개는, 큰 그리드를 나타내는 알파벳 좌표 순서(서쪽→동쪽 / 북쪽→남쪽)대로 정렬했고, 여러 그리드에 걸쳐 있는 경우 가장 서쪽에 위치한 좌표만 기재하였다. 또한 주요 지점들의 이름은 각 맵의 설정에 맞는 원어 표기법을 따랐다.
건물이 많은 도심 지역일수록 파밍할 아이템도 많고, 그만큼 초반에 많은 플레이어들이 몰려 헬게이트가 열리기 쉬워진다. 반대로 건물이 적은 지역(마을 수준의 도시)에는 비교적 플레이어가 적게 몰리거나 아예 아무도 찾지 않는 경우도 있어, 일부러 그런 곳을 노려 착지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섬의 가장자리에 위치할수록 안전지대 밖으로 설정 될 확률이 높아 차고가 있는 몇몇 마을을 제외한 대부분의 외곽지역들은 인기가 없는 편이다.
맵마다 해당 지역에 어울리는 아이템, 장비, 탈것이 스폰된다.
한글화된 미라마, 에란겔
장르별 구분은 현재 맵 크기를 기준으로 정리되어 있다. 크기로 맵을 구분한다.
현재 시리즈 전체 총 10개의[2] 맵이 존재하며, 3개가[3] 출시 예정이다.
PC에는 8+1종류[4], 모바일에는 6+2종류[5], 뉴스테이트에는 2+1종류[6]가 등장한다.
PC 버전에는 맵 로테이션이 적용되어, 일반전은 5개의[7] 맵만 플레이 가능하다. 업데이트 때마다 다른 맵으로 변경된다.
PC 버전 경쟁전 맵은 현재 에란겔, 미라마, 태이고 총 3개다.
2. 8x8
8x8 사이즈의 맵으로 자기장의 시간이 길고 속도가 빠른 편이다. 이 크기의 맵들은 e스포츠 맵으로 채택된다.2.1. 에란겔 (Erangel)
2.2. 미라마 (Miramar)
2.3. 태이고 (Taego)
2.4. 트로이 (TROI)
2.5. 데스턴 (DESTON) (출시 예정)
3. 6x6
6x6 크기의 맵으로 자기장 대기 시간과 아이템 드롭율, 자기장 속도 등은 8x8과 4x4의 중간 정도이다.3.1. 비켄디 (Vikendi)
4. 4x4
4x4 사이즈의 맵으로 자기장의 시간이 짧지만 8x8에 비하면 느린 속도로 다가온다.4.1. 사녹 (Sanhok)
4.2. 아킨타 (Akinta) (출시예정)
5. 3×3
어중간한 크기이지만 2×2 크기의 맵처럼 매치가 금방 끝난다.5.1. 파라모 (Paramo)
6. 2×2
엄청나게 작은 사이즈로 거의 70%가 넘는 확률로 적이 같이 내린다. 너무 작아 기존 고도를 유지했다면 언제 내려도 기본 이동으로 맵 끝까지 갈수 있을 정도. 다만 이걸 감안해서 비행기 고도가 매우 낮다.드롭율은 엄청나다. 이른바 정거장에서도 에란겔 한 집 정도의 아이템이 쏟아지며 한 두 건물만 털어도 웬만한 파밍은 끝마칠 정도. 템포가 빨라 여포 메타를 선호하는 유저들과 가득한 파밍을 선호하는 유저들이 몰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