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Karmine Corp 2025 시즌 로스터 | }}}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colbgcolor=#000><colcolor=white> 감독 | [[레하레하 라마나나|레하레하 라마나나 Reha ]] | ||
| 코치 | [[지가 예레프|지가 예레프 Apples ]]|[[와디 베나르비아|와디 베나르비아 Wadi ]]|[[클레망 틸리에|클레망 틸리에 Clement ]] | |||
| 분석 | 벤자민 캐스탯 Xenesis | |||
| 로스터 | ||||
| TOP | Canna ]] | |||
| JGL | Yike ]] | |||
| MID | Vladi ]] | Nisqy ]] | ||
| BOT | Caliste ]] | |||
| SPT | Targamas ]] | |||
| LEC 참가팀 로스터 | }}}}}}}}} | |||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Karmine Corp No.10 Vladi | |
| 블라디미로스 쿠르티디스 (Βλαδίμηρος Κουρτίδης | Vladimiros Kourtidis) | |
| 출생 | 2005년 8월 12일 ([age(2005-08-12)]세) |
| 국적 | |
| ID | J1HUIV #000 # |
| 포지션 | 미드 |
| 소속 |
(2024.05.02 ~ 2027.11.16예정) |
1. 개요
그리스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EC의 Karmine Corp 소속 미드 라이너.2. 플레이 스타일
단단한 라인전 체급을 바탕으로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중후반 교전에서도 유불리를 가리지 않고 각종 메이킹을 해내는 만능형 미드라이너다. 챔피언 풀도 세계구급 미드라이너의 기본소양이라 할 수 있는 아지르와 탈리야부터, 정통파 메이지인 빅토르나 AD 칼챔인 요네까지 능숙하게 다루는 등 넓은 편이다. 어린 선수가 후반 스탠딩 메이지인 빅토르를 능숙하게 다룬단 점에서 매우 특이하다고도 볼 수 있다.특정 부분에서 유난히 두각을 드러내지는 않지만 반대로 특별히 부족한 부분 역시 없으며, 무엇보다 기본 체급이 좋고 팀이 불리한 상황에도 잊을 만하면 차력쇼를 펼쳐 역전의 단초를 마련한다는 게 가장 큰 장점으로 평가받는다. 라인전이 강하다는 점 때문에 일각에선 쵸비나 제카를 연상하기도 하는데, 챔피언 풀이나 팀에서의 역할, 그리고 클러치 능력을 생각하면 LCK 선수 중에선 비디디와 가장 비슷한 편이다.
놀라운 것은 위의 평가가 1부리그 데뷔 1년도 채우지 못한 시점의 평가라는 사실에 있다. 세계적으로 03년생 이하의 유망한 신인 미드라이너들을 찾기가 어렵고 대회 적응이 오래 걸리는 추세라 그 희소성이 특히 돋보인다. 대회 스케줄 문제가 있지만 APA의 유럽인 둘째아들로 입양되기도 했고(…) 유력한 세체미 컨텐더 제카와 블라디 자신보다도 더 어리고 경력이 짧은 홍큐 상대로 라인전에서 고전하거나 FST 챔피언 한화생명의 파괴전차에 휩쓸리는 모습도 보였지만 아직 다방면에 발전 가능성이 닫히지 않았다는 점에서 더욱 미래가 희망차다. 무엇보다 저러면서도 제카의 면전에서 탈리야로 하드캐리를 선보이거나, 홍큐를 코르키로 솔킬내버리는 등 포텐 자체가 허상이 아님은 여실히 증명했다.
다만 FST 이후 특유의 제카병에 걸리고 여러 이슈에 휘말리면서 포텐이 꺾이고 제 2의 베테오가 될 위기에 쳐했다. 2026년에는 카르민코프를 떠나서 다른 팀에서 활약하게 될 확률이 매우 높으며, 만약 블라디까지 유럽 특유의 유망주 멸망 케이스에 탑승하게 된다면은 LEC의 미드풀은 꿈도 희망도 없어질 것이라는게 정설이다.
3. 선수 경력
베테오와 뉵의 2002년생 프랑스 듀오 이후 갑자기 거물급 신예 미드 라이너의 씨가 말라버렸던 ERL에 혜성처럼 등장한 2005년생 그리스인 미드 라이너이다. 2023 스프링에 위러브게이밍 소속으로 그리스 리그인 GLL 우승, 2023 서머 북유럽/영국 통합 리그인 NLC 우승, 2024 스프링 카르민 코프 블루 소속으로 프랑스 리그인 LFL을 우승하는 등 3시즌 연속으로 점점 수준을 높여가며 ERL에서 우승컵을 착착 수집하였다.사일러스, 요네 등 2000년대생 미드가 당연히 선호할 법한 캐리력 높은 근접 챔피언으로 번뜩이는 교전 능력을 탑재하고 있지만, 모스트 5에 빅토르가 들어있을 정도로 프로 미드 라이너의 필수 덕목인 컨트롤 메이지 챔피언 숙련 또한 등한시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 끊어진 유체미 계보를 되살릴 유망주로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2023 서머 EM 4강으로 주목받던 스웨덴인 2004년생 미드 식스텐이 LFL 진출과 동시에 프랑스를 대표하는 명장 듀크의 마수에 걸려들어 커리어가 꼬여버린 시점에서 예상을 벗어난 LEC 조기 콜업으로 화제가 된 재키스와 함께 미드 유망주 투톱을 형성하고 있다 봐도 무방하다.
다만 LEC에서 고생하고 있는 재키스와 마찬가지로 LEC 수준의 라인전 경험이 축적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물론 LFL 진출과 동시에 육각형이 크게 수축하며 LEC 콜업 전망이 어두워졌던 선배 유망주 차예크에 비하면 LFL에서 개인 활약과 팀 커리어 양쪽을 다 잡으며 순항하고 있지만, 특유의 번뜩이는 교전 능력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다. 아무래도 카르민 코프 블루의 경우 오더 체계는 2부 기준으로도 다소 부실하여 EM에서 무너졌다고 하지만 린서스와 칼리스테라는 든든한 팀원들이 게임 초반을 담당해줄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경력이 짧은 블라디의 단점은 가려지고 장점이 쉽게 부각되는 환경이었다.
반면 카르민 코프 1군의 경우 전면적인 리빌딩을 실시하긴 했지만 한때의 유체원 업셋을 완벽하게 억제하고 있는 LEC 최악의 서포터 타르가마스가 바텀에 그대로 존재하고, 클로저는 좋지 못한 전년도 폼에 더해 반 년의 실전 공백이 있는데다, LEC 탑 생태계 파괴자가 되어줄 것으로 기대받는 특급 외인 용병 칸나는 캐리력과 게임 지능은 의심할 여지가 없지만 LCK에서는 라인전 수행 능력이 그에 비해 애매해서 과투자를 유발한다는 평가가 있었기에 스프링 LFL에서와 같이 블라디가 팀의 배려와 백업을 받을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 즉 블라디의 경험 부족이 팀적으로도 모 아니면 도의 결과를 가져다줄 가능성이 꽤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우려 끝에 치른 서머 시즌에는 시즌 초반 칸나가 의사소통 문제로 생각보다 힘을 못 쓰는 가운데 팀의 중심을 꽉 잡아주며 모 아니면 도에서 모의 경기력을 뽑아주고 있다. 거기에 플레이오프에서도 클러치 플레이를 여러 번 보여주며 간만에 진짜 역대급 미드 신인이 나왔다는 평을 받고 있다. 서머와 시즌 파이널에 놀라운 성장을 보여주며 시즌 신인왕을 타간 1살 위 재키스와 비교해도 단순한 교전 활약 말고 챔피언 폭이나 종합적인 미드 라이너로서의 역할 수행에 있어서 반 년 이상 늦게 올라온 블라디가 더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때마침 카르민 코프 2군에는 역대급 원딜 유망주로 주목받고 있는 칼리스테가 있는 만큼 2025 시즌에는 블라디-칼리스테 딜러 쌍포진의 활약을 기대해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2025 윈터 시즌. 예정대로 칼리스테가 콜업된 가운데 정글에도 유체정 후보로 손꼽히는 야이크가 들어오며 팀의 전력이 크게 강화됐다. 블라디 본인은 정규 시즌부터 이전보다 진일보한 모습을 시즌 내내 보여주었고, 결승에선 유럽의 왕 캡스를 꺾고 우승한 데다 MVP로 선정되며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 팀에서도 윈터 시즌의 활약상을 인정받아 바로 2027년까지 계약을 연장한 것은 덤.
윈터 시즌을 우승하고 참가한 FST에선 팀은 결승까지 진출해 바닥까지 떨어졌던 LEC의 위상을 되살리는 데에 성공했지만, 블라디 본인은 리그에서 보여줬던 단단묵직한 모습이 많이 사라지는 등 전반적으로 퍼포먼스가 낮아졌다. 대회 결과만 보면 한화생명과 결승에서 맞붙어 준우승했다는 상당한 호성적이지만, 그 이전에 대회 시작부터 연패를 꼴아박으며 탈락 위기에 처했던 것도 사실이고, 팀이 벼랑끝에 몰린 데에 블라디의 지분이 상당히 컸다.
이어진 2025 스프링 시즌부터는 본격적으로 슬럼프를 겪기 시작했다. 정규시즌엔 FNC를 제외한 모든 팀을 상대로 매치승을 따내며 1위를 차지했지만, 플레이오프 1라운드 상대로 지목한 MKOI와 2번 붙어서 전부 5꽉 끝에 패배하면서 결승 진출도 못하고 시즌을 마감했다. 이 과정에서 블라디는 대오각성한 조조편에게 완벽하게 서열정리를 당했다. 탑의 칸나가 사실상 상수로서 활약하는 와중에 팀의 핵심인 블라디와 야이크가 부진한 것이 특히 치명적이었다. 블라디 본인도 스프링 시즌에 보여준 본인의 퍼포먼스가 매우 불만족스러웠는지, 시즌이 종료되고 다른 동료들이 다 휴식 중인 가운데 홀로 미친듯이 솔랭을 돌리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그러나 서머 시즌에 들어서도 딱히 폼이 회복되지는 않았고, 칸나의 차력쇼 덕분에 플레이오프 승자조까지는 진출했으나 플옵 첫 경기 G2전에서 캡스를 상대로 시리즈 내내 어마어마한 미드 차이를 보여주며 마찬가지로 치매가 온 야이크와 함께 매치 패배에 크게 일조했다. 이후 패자조 1경기에서는 바이탈리티의 역대급 발밴픽을 받아먹으며 승리하기는 했지만 폼이 좋다고 보기는 힘들었고, 월즈 진출 및 결진전이 걸린 2경기에서는 폼이 절호조에 달한 포비에게 완벽하게 밀린 것도 모자라 시즌 내내 통나무를 들던 칸나까지 저점을 찍으며 윈터 및 FST 당시의 기대가 무색하게 월즈도 진출하지 못하고 플옵 탈락을 당했다.
2027년까지 계약을 연장한 것과 별개로 2025 시즌도 월즈 진출에 실패하고 팀 내부에서도 코치 애플스와 관련된 불미스런 사건이 터진 가운데, 현지시간으로 10월 6일 타팀 접촉이 허가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KC를 떠나는 것이 사실상 확정되었다. FST 이후로 화려하게 꼬라박기는 했어도 여전히 충분히 긁어볼 만한 로컬 신인인 데다 고점일 때 보여준 게 있어서, 실제로 접촉허가 소식과 동시에 블라디에게 관심을 보인 팀이 여럿 나왔다고 한다. 한편 KC 측에선 블라디의 대체자로 한국인 용병을 원한다고.[1]
3.1. 주요 경력
| 우승 기록 | ||||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Winter 2025 우승 | ||||
| G2 Esports | → | Karmine Corp | → | Movistar KOI |
| 준우승 기록 | ||||
| 2025 First Stand Tournament 준우승 | ||||
| 대회 출범 | → | Karmine Corp | → | 미정 |
| 수상 경력 | ||||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Winter 2025 파이널 MVP | ||||
| 스티븐 리브 (G2 Esports) | → | 블라디미로스 쿠르티디스 (Karmine Corp) | → | 하비에르 프라데스 (Movistar KOI) |
4. 여담
- 비록 미르윈, 스큐몬드 등과 마찬가지로 넓은 이마 탓이 크긴 하지만 이쪽도 2005년생이라고는 믿기 힘든 노안이다.
메이지 숙련도 말고 이것도 끊어진 유체미 계보를 이을 조건을 충족한다. - 2025 윈터 시즌을 우승하고 퍼스트 스탠드 참가를 위해 대한민국에 방문했는데, 한국 서버 솔로랭크를 시작한 첫날부터 영어로 'ssibal' 채팅을 쳤다가 광속으로 랭겜 3경기 정지를 당했다. 더 골때리는 것은 당시 라이브 스트리밍을 켠 채 팀 동료 야이크와 배치고사를 함께 치르는 중이었고, 블라디가 랭겜 정지를 당하자 야이크는 "이런 돼지같은 놈이랑은 같이 못하겠다"며 그대로 탈주해 솔로큐를 돌리러 갔다는 것.
- 유럽 서버 솔랭 ID가 J1HUIV으로 이는 쵸비의 본명이다. 인터뷰에서 밝힌 바로는 "쵸비를 좋아해서 솔랭 아이디도 쵸비 이름에서 따와서 지었다"고.
- 단단묵직한 인게임 플레이와 달리 팀 내에서 광대 기질이 가장 강하다. 어지간히 장난을 많이 치는지 위의 솔랭 일화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점잖은 성격인 야이크조차 아주 질색을 할 정도. 같은 팀 탑라이너 칸나에게 주먹질을 하거나 엉겨붙는 모습이 KC 공식 영상에서 잊을 만하면 나온다. 2025 FST에 참가했을 당시 대기실에서 칸나에게 시비를 걸었다가 역으로 밑에 깔리기도 했는데, 해당 짤을 첨부한 트윗에 '게임을 이기려면 팀원과 X스를 해라'라고 직접 멘션을 달기까지 했다. 한 번으로 끝내지 않은 게 광기.
- 2025 FST 이후 스프링 시즌에 접어들며 안정적인 메이지 챔피언을 멀리하고 요네나 아칼리 같은 칼챔을 선호하기 시작했는데, 이에 국내 LEC 시청자들 사이에선 FST에서 제카에게 얻어터진 뒤 '제카병'에 걸려서 그러는 거라는 농담이 나돌았다. 그런데 2025 스프링 플레이오프 패자조 FNC전에서 승리한 뒤 진행한 인터뷰에서 본인 입으로 "FST 이후로 제카의 플레이를 보고 배우는 중이다."라고 말해 진짜로 제카병에 걸렸음이 밝혀졌다.
5. 둘러보기
| 블라디미로스 쿠르티디스 관련 틀 | ||||||||||||||||||||||||||||||||||||||||||||||||||||||||||||||||||||||||||||||||||||||||||||||||||||||||||||||||||||||||||||||||||||||||||||||||||||||||||||||||||||||||||||||||||||||||||||||||||||||||||||||||||||||||||||||||||||||||||||||||||||||||||||||||||||||||||||||||||||||||||||||||||||||||||||||||||||||||||||||||||||||||||||||||||||||||||||||||||||||||||||||||||||||||||||||||||||||||||||||||||||||||||||||||||||
| ||||||||||||||||||||||||||||||||||||||||||||||||||||||||||||||||||||||||||||||||||||||||||||||||||||||||||||||||||||||||||||||||||||||||||||||||||||||||||||||||||||||||||||||||||||||||||||||||||||||||||||||||||||||||||||||||||||||||||||||||||||||||||||||||||||||||||||||||||||||||||||||||||||||||||||||||||||||||||||||||||||||||||||||||||||||||||||||||||||||||||||||||||||||||||||||||||||||||||||||||||||||||||||||||||||
[1] 슈퍼전트와 계약을 함으로써 해외진출의지를 밝힌 지니가 유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