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5 20:30:24

벨라만 해전

<colkeepall>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아시아·태평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3px"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둘러보기 : 유럽 및 아프리카 전선 전투목록
<rowcolor=#fff> 전투 이름 교전 국가 및 세력
<rowcolor=#FFF> 공격 측 방어 측
<nopad> 1937년
<colbgcolor=#b31c31> 루거우차오 사건
상하이 전투
장인 전투
우쑹 전투
난징 전투
<nopad> 1938년
충칭 대공습
쑹산 공습
<nopad> 1939년
1939년 동계공세작전
할힌골 전투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1924–1940).svg 몽골 인민 공화국
창사 전투
남광시 전투
<nopad> 1940년
백단대전
<nopad> 1941년
코 창 해전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 태국
진주만 공습
홍콩 전투
남방작전
제1차 괌 전투
웨이크섬 전투
싱가포르 전투
말레이 해전
<nopad> 1942년
마셜-길버트 공습
다윈 공습
로스엔젤레스 전투 공격측 불명
자바 해전
엘우드 포격
실론 해전
둘리틀 특공대
산호해 해전
미드웨이 해전
알류샨 열도 전역
코코다 트랙 전투
과달카날 전역
툴라기 전투
테나루 전투
사보섬 해전
마타니카우 작전
동부 솔로몬 해전
에스페란스 곶 해전
산타크루즈 해전
과달카날 해전
타사파롱가 해전
<nopad> 1943년
비스마르크해 해전
일-독 잠수함 합동작전
뉴조지아 전역
쿨라만 해전
콜롬방가라 해전
벨라만 해전
창더 전투
부건빌 전역
엠프레스 오구스타만 해전
세인트조지곶 해전
타라와 전투
마킨 전투
<nopad> 1944년
글로스터 곶 전투
헤일스톤 작전
임팔 전투
대륙타통작전
사이판 전투
필리핀해 해전
제2차 괌 전투
펠렐리우 전투
모로타이 섬 전투
앙가우르 전투
오보에 작전
대만 항공전
필리핀 탈환전
레이테 만 해전
일본 본토 공습
풍선폭탄 공격
<nopad> 1945년
람리 섬 전투
이오지마 전투
도쿄 대공습
오키나와 전투
페낭 해전
시탕 굽이 전투
구레 군항 공습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만주 전략 공세 작전
남사할린 침공
슘슈 섬 전투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
{{{+1 벨라만 해전
ベラ湾夜戦
Battle of Vella Gulf}}}
뉴조지아 전역의 일부
날짜
1943년 8월 6일~7일
장소

솔로몬 제도 벨라 만
교전국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지휘관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프레더릭 무스브루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레더릭 무스브루거}}}{{{#!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문서명}}}{{{#!if 출력 != null
}}}}}}]]
스기우라 카주
결과
미국의 승리
전력
구축함 6척 구축함 4척
피해 규모
없음 구축함 3척 침몰
1,210명 전사
1. 개요2. 배경3. 전투

1. 개요

뉴조지아 전역의 일부로, 렌도바로 병력을 수송하려던 일본군을 사전에 간파하고 요격한 미국의 완승이다.

2. 배경

콜롬방가라 해전에서 성공적으로 병력을 수송하는데 성공한 일본은, 지속적인 구축함을 이용한 도쿄 익스프레스보급으로 미군의 수레바퀴 작전을 저지코자 하였다. 7월 19일, 7월 29일, 8월 1일에는 뉴조지아의 수비군에게 보급하는데 성공하였고,[1] 8월 6일 증원군 950명과 보급품을 수송에 나서기로 하였다.

미국이 사전에 간파하고 요격 함대를 보낸 줄은 전혀 모른 채 말이다.

3. 전투

알레이 버크 당시 중령이 고안한 구축함 전술을 써볼 요량이던 무스브루거는, 31.2임무전대를 세 척씩 12구축대, 15구축대 둘로 나눠 12구축대는 콜롬방가라 방면에 매복하고, 15구축대는 일본 해군이 나타나면 정면에 나타나 진로를 가로막게 하였다.

정면에 나타난 12구축대를 본 일본 해군은 예상되는 어뢰를 회피하고자 움직였고, 그대로 매복중이던 15구축대 측면에 노출되어 어뢰에 명중탄을 허용하였다.

15구축대가 어뢰를 쏘는것을 본 12구축대는 접근하여 함포 사격으로 마무리를 놧고, 일본 구축함들은 명중탄이 불발되어 빠져나간 시구레를 제외하고 전부 침몰하였다.

[1] 8월 1일 보급에서는 훗날 미국의 대통령이 되는 존 F. 케네디가 함장인 배를 포함 15척의 PT 보트가 보급저지에 나섯으나 실패했고, 케네디가 탄 배는 침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