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0-16 03:09:14

바레인-이라크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서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아프리카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다자관계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이라크·시리아·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튀르키예·시리아·이라크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이란·이라크·시리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유럽 · 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바레인 이라크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고대2.2. 중세2.3. 근현대2.4. 21세기
2.4.1. 2000년대2.4.2. 2010년대2.4.3. 2020년대
3. 문화 교류4. 대사관5. 상호 교류, 교통 교류6. 관련 문서

1. 개요

바레인이라크의 대외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양국은 언어, 문화, 종교 등에서 공통점이 많이 있다. 그리고 이슬람 협력기구, 아랍 연맹의 회원국들이다.

2. 역사적 관계

2.1. 고대

바레인을 비롯한 페르시아 만 남부 일대에는 딜문 문명이 있었던 곳으로, 고고학 연구 결과 딜문 문명이 오늘날의 이라크를 포함하는 메소포타미아 평원의 메소포타미아 문명인더스 문명과 동시에 교역한 것이 확인되었다. 딜문 문명은 기원전 8세기 아시리아 제국에게 정복되었다. 딜문 문명에 대한 기록은 신바빌로니아 제국 시대까지 확인되나 이후에 언급이 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딜문 문명은 아시리아와 신바빌로니아의 정복 이후 외부 세력에 동화 등을 거치며 해체된 것으로 보인다.

2.2. 중세

7세기에는 아라비아 반도의 아랍인들이 이라크 번역으로 이주해왔으며, 아랍인들은 이슬람 제국을 세웠다.

이라크 남부 해안과 가까운 도시인 바스라를 통해 무역 왕래가 자주 있었다.

2.3. 근현대

이라크와 바레인은 근대시대에는 오스만 제국, 페르시아, 영국의 각축장이 되었던 곳이며, 최종적으로 영국의 지배를 받았다. 이라크는 1932년 10월 3일에 독립되었으며, 바레인은 1971년 8월 15일에 독립되었다.

2.4. 21세기

2.4.1. 2000년대

2002년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바레인 국왕은 이라크와 팔레스타인을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는 아랍권의 능력에 대해 스스로는 물론 이라크와 팔레스타인 국민을 속이지 말아야 한다며 주장했다. #

그러면서도 2002년 10월 23일 바레인은 이라크 침공을 반대했다. #

2003년 2월 이라크 주재 바레인 대사관도 이라크에서 철수했다. #

2005년 이라크에서 파키스탄, 바레인 대사도 피격을 받았다. #

2008년 9월, 바레인은 2003년 이후 5년만에 이라크 주재대사관을 임명했다. #

2.4.2. 2010년대

2011년 아랍의 봄이 나타난 이후 예멘, 바레인, 이라크에서 반정부 시위들이 일어났다. # 이라크에서도 일어났지만 얼마 안 되어 시위가 끝났으며, 바레인에서는 여러 차례의 시위들이 나타났다. 2011년 3월, 바레인 정부가 시아파 주민들을 억압하자 이라크에서는 이를 반대하는 시위가 나타나기도 했다 #, #, #.

이후 이라크에서는 바레인 시위의 영향을 받은 시위들이 나타나기도 했다. #, #

2012년 2월에는 바레인은 이라크에서 열린 아랍연맹 정상회의에 불참할 것이라고 했으며 3월에는 이라크 시아파 시민들이 바레인 국왕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 #


2019년 5월 바레인은 이란과 이라크 안의 자국민들에게 철수하라고 권고했다. #, #

2019년 6월 28일, 바그다드에 있는 바레인 대사관에서 바레인이 이스라엘과 외교관계를 맺으려 하는 계획 때문에 반이스라엘 시위가 나타나기도 했다#, #

2019년에도 아랍권에서 다시 시민들의 저항이 불었는데 바레인에서는 7월에 나타났다가 시위가 끝난 반면, 이라크에서는 10월부터 11월 말까지 대규모 시위들이 나타났으며, 결국 11월 29일, 알 마흐디 총리가 물러났다.

2019년 10월, 이라크에서 시위가 일어나자 바레인, 카타르, 쿠웨이트는 이라크에 거주하는 자국민에 철수를 권고하고 여행을 자제하라고 했다. #

2.4.3. 2020년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아시아)에서 조추첨에서 B조로 바레인과 이라크가 뽑히면서 같은조가 되었다.

3. 문화 교류

양국은 아랍어가 공용어이고 이슬람교의 비중이 매우 높다. 그리고 메카로 성지순례하러 자주 가고 있다. 문화 교류가 매우 활발한 편이다.

4. 대사관

바레인의 수도 마나마에는 이라크 대사관이, 이라크의 수도 바그다드에는 바레인 대사관이 설치되었으며, 이라크 남부 지역의 도시 중 하나인 나자프 시에는 바레인 총영사관이 있다.

5. 상호 교류, 교통 교류

이라크에는 시아파 성지가 있는데, 바레인에도 시아파 신자들이 많기에 이라크에 있는 시아파 성지 중 한 곳인 나자프를 방문한다. 이라크 역시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이후 각종 인프라가 파괴되기도 했고 경제도 악화된 적도 있었기에 바레인과 무역을 하며 발전을 하고 있다.

바레인 국제공항과 이라크 나자프, 바그다드를 잇는 항공노선이 존재한다.

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