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22:17:18

수단 공화국-이라크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서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아프리카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다자관계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이라크·시리아·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튀르키예·시리아·이라크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이란·이라크·시리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서아시아·북아프리카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유럽·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다자관계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이집트·수단·에티오피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이집트·리비아·수단
}}}}}}}}} ||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이라크 수단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이전2.2. 21세기
2.2.1. 2000년대2.2.2. 2010년대
3. 상호 교류, 교통 교류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이라크, 수단의 대외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이전

오늘날 이라크에 해당하는 지역과 수단 공화국에 해당하는 지역 사이에는 이집트가 있었고 양 지역은 이집트 혹은 에티오피아의 해안 지대를 통한 간접 교류가 이어졌다. 고대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는 쿠시 왕국 등 수단에 있는 왕국들로부터 노예를 조공받았다.

중세에는 이라크에 이어 수단도 점차 이슬람화되었고 양 지역은 이슬람 순니파 문화권으로 엮이게 되었다.

근세 및 근대시대에는 양 지역 모두 오스만 제국, 대영 제국의 통치를 받았다.

두 나라는 영국으로부터 독립 이후 반서방 체제가 들어서면서 긴밀한 정치적 외교관계를 수립하기도 했었다.

1990년과 1991년 걸프전쟁이 발발했을 때 수단은 이라크를 지원했다. #, #

1995년 수단과 이라크는 석유공동개발을 협정했다. #

2.2. 21세기

2.2.1. 2000년대

2003년 1월과 3월, 수단 수도 하르툼에서 이라크 침공을 반대하는 시위와 반미 시위가 일어났다. #, #, #, #

2003년 3월 21일 바그다드에서 일하던 수단인 270명이 오전 1시쯤 수단대사관이 마련한 버스로 이라크를 빠져나왔다. #

2003년 사담 후세인 정권이 붕괴되었을 때 수단은 미국과 서방 국가들을 비난하였으며, 사담 후세인 정권이 몰락한 이후에도 두 나라 간의 교류는 이어졌다.

2003년 8월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수단, 시리아 등에서 이라크로 오는 아랍인 출신 전사들이 오기도 했다. #, #

2004년 911테러 진상조사의원회의 보고서에 의하면 1994년 오사마 빈 라덴이 수단에서 이라크 고위관리들을 만나 협력 가능성을 타진했지만 이라크로부터 아무런 협조도 얻지 못했다고 밝혔다. #

2004년 10월, 이라크에 거주하던 수단인들이 무장단체들에 의해 피랍되었으나 #, 나중에 11월 석방되었다. #

2005년 12월, 2006년 1월에도 이라크 알카에다 및 저항세력에 수단인들이 납치되었다가 석방되었다. #, #

2007년 1월 바그다드에서 무장민병대 30명이 사살되었고 수단인 5명을 비롯한 8명이 이라크군으로부터 체포받았다. #

2.2.2. 2010년대

2012년 오마르 알 바시르 수단 대통령은 이라크를 방문했다.#

2017년 다에시에 합류했던 수단계 영국인 대학생 2명이 이라크군 공습에 사망했다. #

2019년 4월 수단에서 오마르 알 바시르 정권이 무너졌고 2019년 10월에는 이라크에서 반정부 시위가 일어나 총리가 사퇴했다.

3. 상호 교류, 교통 교류

두 나라들은 모두 아랍권과 이슬람권 국가에 해당되다보니 양국 간의 무역과 문화교류들이 있다. 이라크에는 아프리카계 아랍인들이 거주하는데 그 중 수단계 아랍인들도 적지 않다.

두 나라들을 이어주는 공항이 없다보니 이집트나 아랍에미리트, 카타르를 경유하여 지나간다.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