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개
미완성 노선. 건설을 시도했지만 완전 개통에 이르지 못하고 중단된 철도 노선. 철도 동호인들 사이에선 일본에서 수입해온 미성선未成線(みせいせん)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한다.2. 종류
- 건설 도중 완공에 실패하고 버려진 경우
- 부분개통은 했지만 전구간 완공되지 못하고 모종의 이유로 전 노선이 폐선당한 경우
- 부분개통을 시켜서 운행 중이지만 공사를 포기한 연장구간
- 서류상으로만 완공된 경우
- 공사 직전 설계 및 부지 확보까지 한 경우
일본처럼 민간에서 면허를 받아서 자력으로 철도를 건설할 수 있는 국가의 경우, 면허를 취득했으나 건설하지 못한 것도 가장 낮은 등급의 미성선으로 보기도 한다.
3. 이유
- 원래 수요가 낮지만 안이한 정책이나 정치적인 압력으로 건설을 시작하다 제정신 차리고 중단
- 일본의 많은 로컬선들
- 건설 시작 당시는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건설 하는 동안 동네가 망해서 수요가 줄어듦
- 수요 조사에 실패해 실질적 수요보다 높게 책정됨
- 국가의 재정 파탄, 전쟁, 지방 독립등 비상사태.
- 일제강점기에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거의 모든 노선이 불요불급선으로 건설이 중단되고 자재는 전쟁물자로 쓰였다.
- 주변 주민의 격렬한 반대
- 나리타 신칸센은 부지도 확보해놨지만,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취소되었다.
- 예상치 못한 난공사
- 규슈의 타카치호선은 원래 타카모리역까지 연장되어 타카모리선과 연결될 예정이었으나 도중에 터널 공사 중에 수맥을 건드려버려서 주택 1,000여 채가 단수, 농작물이 모두 말라죽는 사고를 일으키고 공사가 중단되었다.
- 사철의 경우 공사를 다 하지 못한 채 파산하는 경우도 있다.
4. 기타
[1] 흥해역을 제외하고는 동해선 포항역~장사역으로 계승되었지만 기존 노반을 닦던 구간하고는 선형이 많이 다르다. 이설된 노선으로 2027년 전구간 재개통 및 남북 철도 연결 예정.[2] 광주역~담양역 구간이 우선 개통되었고 담양역~금지역 구간도 건설이 거의 완료되어 개통 직전이었으나 일제가 물자 부족으로 광주역~담양역 구간의 선로를 뜯어가면서 폐선되었고 담양역~금지역 구간은 공사가 중단되었다. 광주대구선으로 2030년 부활 예정.[3] 안변역~양양역 구간이 우선 개통되었고 양양역~경포대역 구간도 건설 중이었으나 도중에 일제가 패망하면서 공사가 중단되었고 우선 개통한 구간 중 남한 부분의 구간인 초구역~양양역 구간마저도 6.25 전쟁으로 파괴되어 폐선되었다. 이후 정부에서 동해북부선 전 구간을 복구시키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정치적인 문제로 실현되지 못했다. 상술한 동해중부선과 마찬가지로 이설된 노선으로 2027년 전구간 재개통 및 남북 철도 연결 예정.[4] 이 노선은 J프로젝트를 의식하고 과다하게 수요를 책정했으나 재조사 결과 수요가 빈약하여서 사업이 중단되었고 강력한 미성선 후보였으나, 현재는 착공식을 거쳐 2024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