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浪 물결 랑 |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水,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10획 |
| 중학교 | |||
| - | |||
| 일본어 음독 | ロウ, ラン | ||
| 일본어 훈독 | なみ, みだ-りに | ||
| - | |||
| 표준 중국어 | làng | ||
1. 개요
浪은 '물결 랑'이라는 한자로, '물결', '파도', '방종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fff,#1c1d1f>물결 |
| 음 | 량 | |
| 중국어 | 표준어 | làng |
| 광동어 | long6 | |
| 객가어 | long | |
| 민북어 | lō̤ng | |
| 민동어 | lông | |
| 민남어 | lōng | |
| 오어 | laan (T3) | |
| 일본어 | 음독 | ロウ, ラン |
| 훈독 | なみ, みだ-りに | |
| 베트남어 | lãng | |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良(어질 량)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HKS 3급한자이다. 현대중국어에서 '파도, 낭비하다, 방탕하다, 무모한 플레이를 하다[1], 방랑하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김사랑(金泗浪): 김아윤의 막내 여동생
- 나미구치 오사무(浪口 修)
- 나미오카 츠네키치(浪岡 常吉)
- 나미카와 다이스케(浪川 大輔)
- 이해랑(李海浪)
- 타츠나미 카즈요시(立浪 和義)
- 하로우키테이 키구루미(波浪浮亭 木胡桃)
- 후지나미 신타로(藤浪 晋太郎)
- 후지나미 토모코(藤浪 朋子)
3.4. 지명
- 한국
- 일본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娘(계집 낭/랑)
- 𤗀(상앗대 라)
- 稂(가라지/강아지풀 랑)
- 桹(광랑나무 랑)
- 𩛡(국 랑)
- 駺(꼬리 흰말 랑)
- 䯖(넓적다리뼈 랑)
- 硠(돌 부딪는 소리 랑)
- 誏(뜬소문 낼 랑)
- 埌(무덤 랑)
- 䡙(병거 랑)
- 烺(빛 밝을 랑)
- 蜋(사마귀 랑/쇠똥구리 량)
- 鋃(사슬 랑)
- 㟍(산 이름 랑)
- 𢽂(심할 랑)
- 琅(옥소리 랑)
- 狼(이리 랑)
- 㱢(죽은 것 랑)
- 𥍫(짧은 창 랑)
- 𩷕(큰 게 랑)
- 艆(큰 배 랑)
- 躴(키가 클 랑)
- 𧚅(해어질 랑)
- 㫰(햇볕 쬘 랑)
- 羪(기를 량)
- 踉(높이 뛸 량)
- 䀶(눈병 량)
- 哴(목 쉴 량)
- 悢(슬퍼할 량)
- 粮(양식 량)
- 俍(어질 량)
- 斏(량)
- 𢭗
- 𦀬
- 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