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13 02:48:10

무스타파 하사나기치

유고슬라비아의 前 축구 감독
파일:Mustafa_Hasanagić.jpg
<colbgcolor=#eee><colcolor=#000,#e5e5e5> 이름 무스타파 하사나기치
Мустафа Хасанагић|Mustafa Hasanagić
출생 1941년 4월 20일
이탈리아령 몬테네그로 프리보이
사망 2023년 11월 12일 (향년 82세)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세르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세르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0cm|체중 미상
직업 축구 선수 (공격수[1] / 은퇴)
축구 감독 (은퇴)
소속 <colbgcolor=#eee> 선수 FK FAP (1956~1958 / 유스)
FK FAP (1958~1962)
FK 파르티잔 (1962~1969)
세르베트 FC (1969~1970)
FC 라쇼드퐁 (1970~1971)
감독 MKE 앙카라귀쥐 (1974~1976)
시리아 대표팀 (1979)
국가대표 5경기 (유고슬라비아 / 1966~1969)
1. 개요2. 선수 경력
2.1. 파르티잔
3. 국가대표

1. 개요

유고슬라비아축구 선수 출신 前 축구 감독. 공격수로 활약하며 1960~70년대 파르티잔에서 주전으로 활동했다.

그는 1966년 레알 마드리드 CF와의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 파르티잔의 골을 넣은 벨리보르 바소비치를 어시스트하기도 했다.

2. 선수 경력

2.1. 파르티잔

하사나기치는 FK FAP에서 축구를 시작하여 프로 데뷔를 이룬 후에 파르티잔으로 왔고, 파르티잔에서 프로 축구 경력의 다음 9년을 보냈다. 하사나기치는 파르티잔에서 총 337경기에 출전하여 148번의 리그 경기를 포함해 355골을 기록했으며, 이 중 112골은 리그 득점이었고, 친선전에서 105경기를 뛰며 기록한 190골이 있었다.

파르티잔과 함께 하사나기치는 유고슬라비아 챔피언 타이틀 두 개를 획득했는데, 1962-63 시즌과 1964-65 시즌이었다.

팀과 함께 그의 가장 큰 성공을 달성했는데, 1966년 브뤼셀에서 레알 마드리드를 상대로 유러피언컵 결승전에 출전한 것이다.

1964-65 시즌 유고슬라비아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함으로써 파르티잔은 유러피언컵에 출전할 권리를 얻었다. 당시 마테칼로 감독이 이끌었던 '파르티잔의 아기들'은 당시 어떤 유럽 클럽에게도 만만치 않은 상대였다.

파르티잔은 예선에서 프랑스 챔피언 FC 낭트를 상대했다. 베오그라드에서 2-0 승리, 원정에서 2-2 무승부를 기록하며 총합 4-2로 첫 번째 관문을 통과했다. 하사나기치는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골을 기록했다.

다음 상대는 독일 브레멘의 챔피언 SV 베르더 브레멘이었다. 베오그라드에서 3-0 승리, 브레멘에서 0-1 패배를 기록하며 베르더 브레멘은 파르티잔에게 총합 3-1로 탈락했다. 하사나기치는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골을 기록했다.

8강전에서 파르티잔은 체코슬로바키아 챔피언 AC 스파르타 프라하를 상대했다. 프라가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파르티잔은 1-4로 패했지만,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5-0으로 승리하며 총합 6-4로 4강에 진출했다. 하사나기치는 프라하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파르티잔의 유일한 골을 기록했고,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두 골을 넣었다.

4강전에서 파르티잔은 잉글랜드 챔피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를 만났다. 하지만 '파르티잔의 아기들'은 이번에도 성공적으로 임무를 완수하며 하사나기치와 베체야츠의 골로 총합 2-1[2]로 이 난관을 극복하고 결승에 진출했다.

유러피언컵 결승전은 1966년 5월 11일 브뤼셀에서 열렸으며, 파르티잔의 상대는 스페인 마드리드의 챔피언 레알 마드리드였다. 경기는 유명한 헤이젤 스타디움에서 55,000명의 관중 앞에서 열렸다. 파르티잔은 모든 면에서 레알 마드리드와 동등한 상대였고, 55분에 벨리보르 바소비치의 골로 앞서나갔다. 안타깝게도 파르티잔 선수들이 할 수 있는 것은 그것이 전부였다. 아만시오세레나의 골로 레알 마드리드는 파르티잔을 꺾고 대륙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

하사나기치는 레알 마드리드와의 결승전을 제외하고 모든 라운드에서 최소 한 골을 기록했다. 그는 총 6골을 기록하며 유러피언컵 득점 순위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존 코넬리와 함께 공동 2위를 차지했다. 7골을 기록한 득점 1위는 헝가리 페렌츠바로시플로리안 알베르트포르투갈 벤피카에우제비우가 공동으로 차지했다. 그 해 하사나기치 뒤에는 레알 마드리드푸슈카시 페렌츠아만시오 아마로가 각각 5골,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조지 베스트가 4골을 기록하는 등 많은 유명한 유럽 골잡이들이 있었다.

파르티잔을 떠난 후, 1969년 하사나기치는 스위스의 세르베트 FC에 1년 동안 합류했고, 다음 시즌인 1970년에는 스위스 라쇼드퐁FC 라쇼드퐁으로 이적했다. 그는 그곳에서 현역 선수 경력을 마감했지만, 선수 겸 감독으로 시리아에서도 뛰었다.

3. 국가대표

유고슬라비아 성인 대표팀에서 하사나기치는 5경기에 출전했다. 데뷔전은 1965년 11월 7일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1966년 월드컵 예선 노르웨이와의 경기였다. 유고슬라비아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국가대표팀 은퇴 경기는 1967년 5월 3일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1968년 유럽 선수권 대회 예선 서독과의 경기였다. 유고슬라비아는 이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했다.
[1] 센터 포워드[2] 베오그라드에서 2-0 승리, 맨체스터에서 0-1 패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