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01:42:30

로맨틱 정체성


인간의 성(性) 특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bebeb>생물학적 성별
(Sex)
<colbgcolor=#f5f5f5>분류남성 · 여성 · 인터섹스
같이 보기성 지정 · 성결정계 · 생식(동성생식) · 생식 기관 · 무성별
성 정체성
(Gender identity)
분류시스젠더 · 트랜스젠더(트랜스여성 · 트랜스남성 · 트랜스섹슈얼) · 논바이너리/젠더퀴어(안드로진 · 바이젠더 · 트라이젠더 · 뉴트로이스 · 에이젠더 · 젠더리스 · 데미젠더 · 팬젠더 · 젠더플루이드 · 젠더플럭스 · 제노젠더) · 제3의 성 · 중성
같이 보기성별 · 젠더 · 젠더 시스템(젠더 이분법)
성적 지향
(Sexual orientation)
분류이성애 · 동성애(레즈비언 · 게이) · 남성애/여성애 · 양성애 · 무성애 · 유성애 · 다성애 · 전성애 · 범성애
같이 보기성적 끌림 · 성소수자 · 비성소수자 · 성적 정체성
로맨틱 지향
(Romantic orientation)
분류유로맨틱 · 이성로맨틱 · 동성로맨틱 · 여성로맨틱 · 남성로맨틱 · 양성로맨틱 · 다성로맨틱 · 전성로맨틱 · 범성로맨틱 · 무로맨틱 · 무로맨틱 스펙트럼
같이 보기로맨틱 끌림 · 연애(이성연애 · 동성연애 · 양성연애 · 비연애) · 로맨틱 정체성
성적 특성 질문
(Question)
분류퀘스처닝
같이 보기성 정체성 · 성적 정체성 · 로맨틱 정체성 · 젠더 표현 · 성별 비순응
}}}}}}}}} ||

1. 개요2. 설명3. 젠더 이분법(gender binarism)적 구분에 따른 분류4. 비이분법적 구분에 따른 분류

1. 개요

한자: -
영어: Romantic identity

로맨틱 정체성(Romantic identity)이란 어떻게 개인이 스스로 어떠한 상대에게 로맨틱 끌림[1]을 느끼는가에 대해 이해하고 정체화 하는지에 대한 개념, 즉 로맨틱 지향[2]을 의식하고 정체화 한 것을 말한다.

2. 설명

로맨틱 지향 정체성이라고도 한다. 로맨틱 지향과 큰 연관이 있지만 개인이 스스로를 어떻게 생각하냐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기에 개인이 가지는 로맨틱 지향과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예로 동성로맨틱이라는 로맨틱 지향에 해당하지만, 스스로 그런 감정을 인정하지 않고 이성로맨틱으로 자신을 정체화 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런 경우를 디나이얼이라고 한다.

로맨틱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 개인의 감정(로맨틱 지향)을 제대로 이해하고 인정하는 데에는 보통 오랜 시간이 걸리고 수많은 자기의심의 과정이 동반된다.

유성애자에 해당하는 성 지향성[3]으로 정체화하고 있는 많은 성 소수자들이 로맨틱 끌림성적 끌림의 방향이 일치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로맨틱 정체성은 굳이 따로 정체화 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4], 누구에게도 성적 끌림을 느끼지 않는 무성애자들은 대개 성 지향성로맨틱 지향성이 일치하지 않으므로[5], 로맨틱 지향성이나 로맨틱 정체성을 비교적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영어 'Romantic'에는 '낭만적인'이라는 뜻 외에 '연애의, 연애에 관한'이라는 뜻이 있다. 예를 들어 'Romantic relationship'은 '낭만적인 관계'라고 옮길 수도 있겠지만 그냥 '연애 관계'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젠더 이분법(gender binarism)적 구분에 따른 분류

  • 무로맨틱(aromantic): 타인에게 로맨틱 끌림을 느끼지 않는다.
  • 이성로맨틱(heteroromantic): 이성에게 로맨틱 끌림을 느낀다.
  • 동성로맨틱(homoromantic): 동성에게 로맨틱 끌림을 느낀다. 한국에서 동성연애자는 동성애자들이 양성애자나 동성간의 성교를 하는 이성애자를 경멸조로 이르는 표현이기도 하기 때문에 동성연애자라고 번역하지 않는다.
  • 양성로맨틱(biromantic): 동성과 이성에게 로맨틱 끌림을 느낀다.

4. 비이분법적 구분에 따른 분류

  • 다성로맨틱(polyromantic): 여성, 남성 외에도 논바이너리, 젠더퀴어 등 다수의 성별에 로맨틱 끌림을 느낀다.
  • 범성로맨틱(panromantic): 성별에 상관없이 사람에게 로맨틱 끌림을 느낀다. 범성로맨틱과 양성로맨틱을 다르게 구분할 수 있는 가장 큰 특징은 범성로맨틱은 젠더블라인드(gender blind)라고 하여 성별에 상관없이 사람에게 로맨틱 끌림을 느낀다는 차이가 있다. 말하자면 채팅을 하다가 남자인 줄 알았는데 실제로 만나보니 여자였다고 해도 상관하지 않는 식.
  • 남성로맨틱(androromantic): 남성에게 로맨틱 끌림을 느낀다.
  • 여성로맨틱(gyneromantic): 여성에게 로맨틱 끌림을 느낀다.
  • 스콜리오로맨틱(skolioromantic): 논바이너리 젠더에 로맨틱 끌림을 느낀다. 접두사 skolio-의 어원은 구불구불하다는 뜻의 그리스어 스콜리온(σκόλιον)으로 퀴어(queer)에 대응하는 표현으로 수용되었다. 일각에서는 스콜리오로맨틱(skolioromantic) 대신 다르다는 뜻의 그리스어 알로트로폰(αλλότροπον)을 차용한 조어인 알로트로포로맨틱(allotroporomantic)이라는 표현을 쓰자고 주장하기도 한다.


[1] 특정한 다른 사람과 로맨틱한 관계를 맺고 싶은 끌림. 연애적 끌림 또는 연정적 끌림이라고도 한다.[2] 연애적 지향 또는 연애 지향성이라고도 한다.[3] 동성애자, 양성애자, 범성애자 등.[4] 아예 없다는 것과는 다르다. 정체화 하지 않았다는 것은 스스로의 로맨틱 지향성이나 로맨틱 정체성이 어떻게 되는지 깊이 고민하고 생각해 본 적이 없다는 뜻이다.[5] 이를테면, 특정 성별(gender)에 로맨틱 끌림을 느끼지만 누구에게도 성적 끌림을 느끼지 않는 유로맨틱 무성애자의 경우 성 지향성로맨틱 지향성이 일치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