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0 08:28:56

동아시아 청소년 경기 대회

동아시아 청소년 경기 대회
파일:동아시아 경기 대회 연맹 로고.svg
정식 명칭 동아시아 청소년 경기 대회
영문 명칭 East Asian Youth Games
창설 2014년
참가국 9개국

1. 개요2. 참가국3. 종목4. 역대 개최 도시5. 여담

1. 개요

2013년을 마지막으로 폐지한 동아시아 경기 대회를 대체하는 대회로 동아시아 경기 대회 연맹(EAGA)에서 주최한 국제종합경기대회이다. 14세부터 18세까지의 청소년이 참가하며 이전 대회를 모태를 했기 때문에 개최주기도 4년으로 동일하며 참가국도 9개 국가였다.

2. 참가국

<rowcolor=#fff> 참가국
파일:괌 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대한민국 마카오 몽골 일본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북한 중국 대만 홍콩

3. 종목

\ 동아시아 청소년 경기 대회 종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육상 배드민턴 볼링 사이클 축구 유도 수영
태권도 테니스 탁구 배구 우슈 농구 카누
※ 역대 대회의 모든 종목을 포함.
}}}}}}}}} ||

4. 역대 개최 도시

역대 동아시아 청소년 경기 대회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회 2회 3회 4회 5회
파일:몽골 국기.svg
2023 울란바토르
-
}}}}}}}}} ||

본래는 제1회 대회는 2019년대만타이중시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2018년 7월 24일 중국이 대만의 친독립 진영의 민간 단체가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국호를 '중화 타이베이'가 아닌 '대만'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주장을 문제 삼아 개최권 박탈을 주장했다. 이에 대한 투표 결과 중국, 홍콩, 마카오, 몽골, 북한대한민국이 찬성표를 던졌고 대만은 반대, 일본이 기권을 표결하면서 6대1로 통과되었다.

5. 여담

  • 참고로 현재 2회 대회[1] 개최지는 이상하게도 아직까지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위키피디아 영문버전에는 누군가 출처도 없이 전주시로 표기했는데 해당 지자체뿐만 아니라 어느 곳에서도 전주시에서 개최한다는 언급은 찾아 볼 수 없다. 위키피디아 영문에 이전에는 과천시에서 개최한다고 했다가 고양시, 화성시, 진천군, 용인특례시 등 수시로 바꿔 가면서 장난치다가 현재는 전주시로 바뀌어 있는데 다른 위키백과 언어와 이곳 나무위키에서도 그것만 보고 전주시로 표기하고 있었다. 위키백과 일본어와 태국어에서는 여전히 이전의 과천시로 표기되어 있다. 2023년 울란바토르 대회 폐막식 당시에도 2027년 대회 개최지가 결정이 안되었는지 다음 대회 개최지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대한민국에서 개최된다고 해도 2027년에는 충청세계대학경기대회가 개최 예정인데 대회기간이 겹칠 수가 있어 대한민국에서 개최한다는 것은 어려운 얘기다. 세계대학경기대회와 동아시아 유스게임 모두 주로 학생들이 출전하다보니 대회가 일반적으로 여름방학 기간에 개최가 되기 때문이다.

[1] 형식적으로는 3회로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