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피겨 스케이팅 | |
| |
현재 세계대학경기대회 챔피언 | |
남자 싱글 | |
여자 싱글 | |
페어 | |
아이스 댄스 |
1. 개요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에서 진행되는 피겨 스케이팅에 관한 문서다. 1960년 대회부터 2019년 대회까지 동계 유니버시아드로 불리다가 2023년 대회부터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로 공식 명칭이 바뀌었다.2. 역사
피겨 스케이팅은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의 필수 종목이다. 역대 첫 대회인 1960 샤모니 동계 유니버시아드에서부터 공식 종목으로 치러지고 있다.3. 종목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피겨 스케이팅 종목 | ||||
대회 | 남자 싱글 | 여자 싱글 | 페어 | 아이스 댄스 |
1960 샤모니 | - | ○ | - | - |
1962 빌라스 | ○ | ○ | ○ | - |
1964 슈펜틀레류픔린 | ○ | ○ | - | ○ |
1966 세스트리에~1972 레이크플래시드 | ○ | ○ | ○ | ○ |
1975 리비그노~1978 슈펜틀레류픔린 | - | |||
1981 하카 | ○ | ○ | - | ○ |
1983 소피아~2015 그라나다 | ○ | ○ | ○ | ○ |
2017 알마티 | ○ | ○ | - | ○ |
2019 크라스노야르스크 | ○ | ○ | ○ | ○ |
2021 루체른 | 대회 취소 | |||
2023 레이크플래시드~2025 토리노 | ○ | ○ | - | ○ |
참고로 싱크로나이즈드 스케이팅은 2007년 토리노, 2009년 하얼빈, 2011년 에르주룸, 2019년 크라스노야르스크 대회에서 치러진 적 있다.
4. 출전 규정
- 2025년 기준
출전 자격 | |
국적 | - 대표하는 국가의 국적 보유자 - 페어, 아이스 댄스는 한 명만 대표 국가의 국적을 소지해도 된다. |
연령 | - 대회가 열리는 연도의 12월 31일을 기준으로 만 18세 이상이며 만 25세 이하 |
학적 | - 대학 또는 각 국가에서 동등한 자격으로 인정하는 교육기관에 재학 중인자 - 위의 대학 또는 교육기관의 졸업생으로 대회가 열리기 직전 연도에 학위를 취득하거나 수료한 자 - 인구가 200만 명 미만이거나 대학생 수가 5,000명 미만인 국가의 경우 기술학교 또는 고등학교에 2년 이상 재학 중인 학생들도 참가 가능 |
종목별 최대 참가 인원 | |
남자 / 여자 싱글 | 한 국가당 최대 3명, 총 최대 인원 36명 |
페어 | 한 국가당 최대 3팀, 총 최대 인원 20팀 |
아이스 댄스 | 한 국가당 최대 3팀, 총 최대 인원 25팀 |
세계대학경기대회 개막 3개월 전까지 제출된 Quantitative Entry가 최대 참가 인원을 초과하면 다음과 같이 선수 선발 절차를 진행한다.
- 최대 참가 인원에 도달할 때까지 1차례 이상의 선발을 진행한다.
- 개최국에게 가장 우선권이 있으며, 직전 대회 순위가 높은 국가부터 낮은 국가, 직전 대회에 참가하지 않은 국가 순서로 선발이 진행된다.
- 1차 선발에서 개최국과 직전 대회 상위 6개국은 국가당 2명(팀)까지 선발할 수 있다. 이후 선발부터는 국가당 1명(팀)씩 선발한다.
- 선발되지 않은 선수들은 국가별 예비 명단에 오른다.
- 대회 개막 7주 전까지 최종 선발 및 예비 명단이 발표되고, 이후 각 국가에서 재량으로 참가 인원을 줄이면 예비 명단에 있는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다.
5. 역대 메달 리스트
5.1. 남자 싱글
남자 싱글 메달리스트 | |||
대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1962 빌라스 | |||
1964 슈펜틀레류픔린 | |||
1966 세스트리에 | |||
1968 인스브루크 | |||
1970 로바니에미 | |||
1972 레이크플래시드 | |||
1981 하카 | |||
1983 소피아 | |||
1985 벨루노 | |||
1987 트르브게플레소 | |||
1989 소피아 | |||
1991 삿포로 | |||
1993 자코파네 | |||
1995 하카 | |||
1997 무주·전주 | |||
1999 포포라트·타트리 | |||
2001 자코파네 | |||
2003 타르비시오 | |||
2005 인스브루크 | |||
2007 토리노 | |||
2009 하얼빈 | |||
2011 에르주룸 | |||
2013 트렌티노 | |||
2015 그라나다 | |||
2017 알마티 | |||
2019 크라스노야르스크 | |||
2023 레이크플래시드 | |||
2025 토리노 |
5.2. 여자 싱글
여자 싱글 메달리스트 | |||
대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1960 샤모니 | |||
1962 빌라스 | |||
1964 슈펜틀레류픔린 | |||
1966 세스트리에 | |||
1968 인스브루크 | |||
1970 로바니에미 | |||
1972 레이크플래시드 | |||
1981 하카 | |||
1983 소피아 | |||
1985 벨루노 | |||
1987 트르브게플레소 | |||
1989 소피아 | |||
1991 삿포로 | |||
1993 자코파네 | |||
1995 하카 | |||
1997 무주·전주 | |||
1999 포포라트·타트리 | |||
2001 자코파네 | |||
2003 타르비시오 | |||
2005 인스브루크 | |||
2007 토리노 | |||
2009 하얼빈 | |||
2011 에르주룸 | |||
2013 트렌티노 | |||
2015 그라나다 | |||
2017 알마티 | |||
2019 크라스노야르스크 | |||
2023 레이크플래시드 | |||
2025 토리노 |
5.3. 페어
페어 메달리스트 | |||
대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1962 빌라스 | |||
1966 세스트리에 | |||
1968 인스브루크 | |||
1970 로바니에미 | |||
1972 레이크플래시드 | - | ||
1983 소피아 | |||
1985 벨루노 | |||
1987 트르브게플레소 | |||
1989 소피아 | |||
1991 삿포로 | |||
1993 자코파네 | |||
1995 하카 | |||
1997 무주·전주 | |||
1999 포포라트·타트리 | |||
2001 자코파네 | |||
2003 타르비시오 | - | ||
2005 인스브루크 | |||
2007 토리노 | |||
2009 하얼빈 | |||
2011 에르주룸 | |||
2013 트렌티노 | |||
2015 그라나다 | |||
2019 크라스노야르스크 |
5.4. 아이스 댄스
아이스 댄스 메달리스트 | |||
대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1964 슈펜틀레류픔린 | |||
1966 세스트리에 | |||
1968 인스브루크 | - | ||
1970 로바니에미 | - | ||
1972 레이크플래시드 | |||
1981 하카 | |||
1983 소피아 | |||
1985 벨루노 | |||
1987 트르브게플레소 | |||
1989 소피아 | |||
1991 삿포로 | |||
1993 자코파네 | |||
1995 하카 | |||
1997 무주·전주 | |||
1999 포포라트·타트리 | |||
2001 자코파네 | |||
2003 타르비시오 | |||
2005 인스브루크 | |||
2007 토리노 | |||
2009 하얼빈 | |||
2011 에르주룸 | |||
2013 트렌티노 | |||
2015 그라나다 | |||
2017 알마티 | |||
2019 크라스노야르스크 | |||
2023 레이크플래시드 | |||
2025 토리노 |
6. 자료 출처
- Olympic World Library - FISU WINTER WORLD UNIVERSITY GAMES : 1960-2019 STATISTICS
[1] 1996년부터는 '앤서니 리우'란 이름으로 호주 선수로서 국제대회에 출전했다.[A] 히라마츠 준코의 결혼 전 이름이다.[A] [B] 사토 쿠미코의 결혼 전 이름이며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 사토 노부오와 결혼했다.[B] [6] 1964년 대회의 동메달리스트와 동일인물이다.[7] 오니시 카즈미의 결혼 전 이름이다.[8] 오사다 주리의 결혼 전 이름이다.[9] 갈리나 에프레멘코의 결혼 전 이름이다.[10] 아그네사 부릴로바의 결혼 전 이름이며 아이스하키 선수 블라디미르 부릴의 어머니이다.[11] 에블린 슈나이더 및 에블린 로수크히와 동일 인물이다.[12] 도로타 시우데크의 결혼 전 이름이며 파트너 마리우시 시우데크와 결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