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회 | 1960 샤모니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회 | 1962 빌라스 | ||
| 3회 | 1964 슈펜틀레류픔린 | 4회 | 1966 세스트리에 | |||
| 5회 | 1968 인스브루크 | 6회 | 1970 로바니에미 | |||
| 7회 | 1972 레이크플래시드 | 8회 | 1975 리비그노 | 미개최 | ||
| 9회 | 1978 슈펜틀레류픔린 | 미개최 | 10회 | 1981 하카 | ||
| 11회 | 1983 소피아 | 12회 | 1985 벨루노 | |||
| 13회 | 1987 스트르브게플레소 | 14회 | 1989 소피아 | |||
| 15회 | 1991 삿포로 | 16회 | 1993 자코파네 | |||
| 17회 | 1995 하카 | 18회 | 1997 무주·전주 | |||
| 19회 | 1999 포포라트·타트리 | 20회 | 2001 자코파네 | |||
| 21회 | 2003 타르비시오 | 22회 | 2005 인스브루크 | |||
| 23회 | 2007 토리노 | 24회 | 2009 하얼빈 | |||
| 25회 | 2011 에르주룸 | 26회 | 2013 트렌티노 | |||
| 27회 | 2015 그라나다 | 28회 | 2017 알마티 | |||
| 29회 | 2019 크라스노야르스크 | 30회 | 2021 루체른 | 취소COVID-19 | ||
| 31회 | 2023 레이크플래시드 | 32회 | 2025 토리노 | |||
| 피겨 스케이팅 기타 국제대회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3b6e; font-size: 1em;" | }}}}}}}}} | |||||
| <colbgcolor=#B7C6E1,#B7C6E1><colcolor=#000000> 스미요시 리온 [ruby(住吉,ruby=すみよし)] [ruby(りをん,ruby=りをん)] |Rion Sumiyoshi | |
| | |
| 출생 | 2003년 8월 15일 ([age(2003-08-15)]세) |
| 도쿄도 | |
| 국적 | |
| 학력 | 코바마가쿠엔고등학교 (졸업) 메이지대학 (상학부 / 재학) |
| 종목 | 피겨 스케이팅 |
| 신체 | 156cm |
| 코치 | 사토 노리코, 사토 미오, 오카지마 코지 |
| 소속 | 오리엔탈 바이오 |
| 랭킹 | 22위[1] |
1. 개요
일본의 여자 싱글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2. 선수 경력
2.1. 2017-18 시즌
주니어 가능 연령이 되었으나 허리 인대 부상으로 인해 대회에 출전하지 못했다.2.2. 2018-19 시즌
아시안 오픈 트로피 주니어 부문에서 6위를 기록했다.2018 JGP 캐나다에서 동메달을 따며 주니어 그랑프리 데뷔를 했다. 이후 대회인 2018 JGP 슬로베니아에서는 4위를 기록하며 연속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2018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에서 9위를 기록했다.
2.3. 2019-20 시즌
2019 JGP 라트비아에서 8위를 기록한 후, 발목 부상으로 인해 전일본 주니어선수권과 전일본선수권에 출전할 수 없었다.2.4. 2020-21 시즌
코로나로 인해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가 열리지 않았고, 2020 전일본 주니어선수권 5위, 2020 전일본선수권 12위를 기록했다.2.5. 2021-22 시즌
이 시즌에는 일본이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 자국 선수들을 파견하지 않았다. 2021 전일본 주니어선수권과 2021 전일본선수권에서 각각 2위와 8위를 차지했다. 따라서 시즌 후반 국제 대회 출전 자격을 얻었다.코퓨 드 쁘렝땅 시니어 부문에 출전해 2위를 차지했으며 2022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8위를 기록했다.
2.6. 2022-23 시즌
2022 그랑프리 드 프랑스에 출전하며 시니어 그랑프리 데뷔를 했다. 이 대회에서 쇼트, 프리, 총점 모두 개인 최고 기록을 경신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2 NHK 트로피에선 쇼트에서 3F+3T 컴비네이션에서 토룹에서 쿼터 판정을 받으며 68.01점을 받았다. 프리에선 첫 점프인 4T에서 다운 판정을 받으며 넘어졌고, 후반부의 3F+2T+2Lo에서 감점, 마지막 점프인 3S에서 다운 판정을 받으며 넘어져 125.11점을 받아 총점 193.12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2022 전일본선수권 쇼트에서 3F에서 다운 판정을 받으며 스텝 아웃을 하며 컴비네이션을 연결하지 못해 COMBO로 처리되었고 후반부의 3Lz에서도 스텝 아웃을 하여 57.38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4T에서 쿼터 판정을 받으며 감점[2]을 받았고 3Lo에서 스텝 아웃, 3Lz에서 다운 판정을 받으며 넘어졌으며, 후반부의 3F+2T+2Lo의 첫 번째와 마지막 점프에서 쿼터 판정, 마지막 점프인 3S에서 다운 판정을 받으며 넘어져 120.65점을 받았다. 총점 178.03점으로 14위를 기록했다.
2023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쇼트에서 클린하며 72.58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4T에서 언더 판정을 받으며 넘어졌고, 트리플 러츠에서 한번 더 넘어졌으며, 3-3 컴비네이션 점프의 연결 트리플 토룹과 마지막 트리플 플립을 더블로 처리했다. 이외에도 3개의 언더 판정을 더 받아 118.90점을 받아, 총점 191.48점으로 최종 4위를 차지했다.
2.7. 2023-24 시즌
2023 그랑프리 드 프랑스에 출전해 쇼트에서는 더블 악셀에 쿼터 판정을 받고 넘어졌으며, 레이백 스핀에 레벨 2, 스텝 시퀀스와 플라잉 카멜 스핀에 레벨 3을 받아 61.72점을 기록했다. 프리에서는 쿼드러플 토룹을 성공했다. 이후 트리플 러츠에는 쿼터 판정을 받았으며, 살코 점프를 더블링하고 비점프 레벨을 놓친 것 이외에는 준수한 수행을 펼쳤다. 프리 136.04점, 총점 197.76점으로 프리, 총점에서 개인 최고점을 경신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3 그랑프리 오브 에스포에서는 190.21점으로 은메달을 획득에 2023-24 그랑프리 파이널에도 진출했으나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180.39점으로 6위를 기록했다.2023 전일본선수권에서는 10위를 차지하며 선수권 대회에는 출전하지 못했고, B급 대회인 탈린크 호텔스 컵에서 우승했다.
2.8. 2024-25 시즌
2024 그랑프리 드 프랑스 쇼트에서 트리플 플립 스텝 아웃을 함과 동시에 언더 판정을 받아 66.88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쿼드러플 토룹에 다운 그레이드, 연결 트리플 토룹에 언더, 트리플 플립에 쿼터 판정을 받아 134.47점을 받았다. 총점 201.35점으로 개인 최고점을 경신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2024 컵 오브 차이나 쇼트에서 모든 요소를 클린하며 70.48점을 받아 개인 최고점을 경신했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룹에서 넘어지고, 3연속 점프의 첫 점프인 트리플 플립에 쿼터 판정을 받아 감점 1점을 포함해 131.97점을 받았다. 총점 202.45점으로 4위를 차지했다.
2024 전일본선수권 쇼트에서 더블 악셀에서 스텝 아웃을 하며 69.58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살코에서 넘어지고 3번의 언더, 1번의 쿼터 판정을 받아 감점 1점을 포함해 127.95점을 받았다. 총점 197.53점으로 8위를 기록했다.
2025 토리노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쇼트에서 트리플 러츠 스텝아웃을 하고, 3-3 점프의 첫 트리플 플립에 쿼터 판정을 받아 65.89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쿼드러플 토룹을 시도했으나 다운 그레이드 판정을 받고, 트리플 룹에서도 언더 판정을 받았다. 프리 점수 138.40점을 받았으며 총점 204.29점으로 세계대학경기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2025 챌린지 컵에서도 은메달을 땄다.
2.9. 2025-26 시즌
2025 CS 롬바르디아 트로피 쇼트 3-3 점프의 첫 트리플 러츠에서 회전이 풀려 오버턴을 했고, 68.87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쿼드러플 토룹을 시도했으나 스텝아웃을 하며 다운 그레이드 판정을 받고, 플라잉 체인지 풋 컴비네이션 스핀에서 레벨 3V를 받아 140.72점을 기록했다. 총점 209.59점으로 프리와 총점에서 개인 최고점을 경신하며 우승했다.3. 기술 및 특징
일본 선수답게 유려한 스케이팅이 장점이며, 스핀 역시 견고하면서도 포지션이 다양하다.고난도 점프로는 쿼드러플 토룹 점프를 연마하고 있으며, 연습 끝에 2023 그랑프리 드 프랑스에서 성공했다. 러츠 점프와 플립 점프의 엣지가 모두 올바르고 토픽 사용도 준수하지만[3] 아직 전반적인 점프의 컨시가 나쁘다.
4. 기록
5. ISU 공인 최고 점수
| <colbgcolor=#B7C6E1,#4a5976><colcolor=#000000,#B7C6E1> ISU 공인 최고 점수 | |
| 쇼트 | 71.03(2025 그랑프리 드 프랑스) |
| 프리 | 145.03(2025 그랑프리 드 프랑스) |
| 총점 | 216.06(2025 그랑프리 드 프랑스) |
6. 프로그램
| <colcolor=#000000,#000000><rowcolor=#000000,#000000> 시즌 | 쇼트(SP) | 프리(FS) | 갈라(EX) |
| <colbgcolor=#B7C6E1,#B7C6E1> 2025-2026 | Alba Lullaby by 막심 므라비차, Tonči Huljić | 아디에무스 • Tininnalubumn • In Caelum Fero • Hymn • Adiemus • Rain dance by 칼 젠킨스, Mike Ratledge | |
| 2024-2025 | Concerto pour la fin d'un amour (Love Is a Funny Thing OST) by Francis Lai | 뮬란 OST • Ancestors • Mulan & Honghyu Fight by 해리 그렉슨윌리엄스 • Reflection by Samel Kim | |
| 2023-2024 | Blood in the Water by KSHMR | Enchantress by Two Steps From Hell | Better When I'm Dancin' by 메간 트레이너 |
| 2022-2023 | White Flowers Take Their Bath by Mari Samuelsen, Meredi, Scoring Berlin, Jonathan Stockhammer | ||
| 2021-2022 | Je suis malade by Alice Dona, Serge Lama | 뮬란 OST • Ancestors • Mulan & Honghyu Fight by 해리 그렉슨윌리엄스 • Reflection by Samel Kim | The Rose by Amanda McBroom |
| 2020-2021 | The Rose by Amanda McBroom | 로슈포르의 숙녀들 by 미셸 르그랑 | |
| 2019-2020 | |||
| 2018-2019 | East of Eden by Lee Holdridge | Black Swan by Clint Mansell | |
| 2017-2018 | El Choclo by Cello Project | Friend Like Me | |
| 2016-2017 | 아메리칸 패트롤 by F. W. Meacham | 아메리칸 패트롤 by F. W. Meacham |
7. 커리어
| 세계대학경기대회 | ||
| 금메달 | 2025 토리노 | 여자 싱글 |
| 국제대회:시니어 | ||||||||||||
| 대회 | 14–15 | 15–16 | 16–17 | 17–18 | 18–19 | 19–20 | 20–21 | 21–22 | 22–23 | 23–24 | 24–25 | 25–26 |
| GP 파이널 | 6th | |||||||||||
| GP 컵 오브 차이나 | 4th | |||||||||||
| GP 그랑프리 오브 에스포 | 2nd | |||||||||||
| GP NHK 트로피 | 3rd | |||||||||||
| GP 그랑프리 드 프랑스 | 3rd | 3rd | 3rd | 3rd | ||||||||
| CS 롬바르디아 트로피 | 1st | |||||||||||
| 챌린지 컵 | 2nd | |||||||||||
| 탈린크 호텔스 컵 | 1st | |||||||||||
| 세계대학경기대회 | 4th | 1st | ||||||||||
| 코퓨 드 쁘렝땅 | 2nd | |||||||||||
| 국제대회:주니어, 노비스 | ||||||||||||
| 주니어 세계선수권 | 8th | |||||||||||
| JGP 라트비아 | 8th | |||||||||||
| JGP 슬로베니아 | 4th | |||||||||||
| JGP 캐나다 | 3rd | |||||||||||
| 아시안 오픈 트로피 | 6th J | |||||||||||
| 바바리안 오픈 | 3rd N | |||||||||||
| 국내대회 | ||||||||||||
| 전일본선수권 | 12th | 8th | 14th | 10th | 8th | |||||||
| 전일본 주니어선수권 | 13th | 9th | 5th | 2nd | ||||||||
| 전일본 노비스선수권 | 15th B | 15th A | 1st A | |||||||||
| 동일본선수권 | 9th J | 2nd J | 1st J | 1st J | ||||||||
| 도쿄 지역예선 | 9th B | 3rd A | 1st A | 3rd J | 1st J | 1st J | 2nd | 1st | 2nd | |||
|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J=주니어, N=노비스, A/B=레벨 | ||||||||||||
[1] 2025년 10월 25일 기준 ISU World Standings 2025/2026 Women[2] 그래도 처음으로 공식 대회에서 쿼드러플 토룹의 랜딩에 성공했다.[3] 풀블레이드 도약이 아닌 올바른 토픽 사용을 이용한 여성 4회전 점퍼는 어쩌면 이 선수가 처음일 수 있다.[4] 안도 미키 -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 엘리자벳 뚜르진바예바 - 카밀라 발리예바 - 알리사 리우 - 안나 셰르바코바 - 미아 칼린 - 베로니카 질리나 - 소피야 사모델키나 - 아나스타샤 지니나 - 소피야 아카티예바 - 마야 흐로미흐 - 본인 순.[5] 안도 미키 - 본인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