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9 17:22:57

도전자 결정전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 파일:Chess Kb.svg체스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adfc1,#fadfc1> 체스 게임
<colcolor=#8f5432,#8f5432> 구성 체스판 · 기물() · 체스 시계
규칙 경기 방법 · 기보 표기법(FEN 표기법)
특수 규칙
캐슬링 · 프로모션(언더프로모션) · 앙파상
진행 오프닝(목록 · ECO 코드) · 미들게임 · 엔드게임
전술 및 용어 전술(정리 희생 · 트랩) · 폰 구조 · 갬빗 · 배터리(알레킨의 총) · 체크메이트(풀스 · 스콜라 · 백랭크 · 스머더드 · 스왈로우테일) · 스테일메이트 · 블런더 · 체크(무한체크) · 탁월수
파생 게임 변형 체스(체스 960 · 버그하우스 · 그랜드 체스 · 안티 체스) · 변형 체스 기물() · 체스 퍼즐 · 체스 복싱
타임 컨트롤 스탠다드 · 래피드 · 블리츠 · 불렛 · 하이퍼불렛 · 울트라불렛 · 아마겟돈 · 통신 체스
체스 대회
기관 세계체스연맹(FIDE) · 유럽체스연맹(ECU) · 아시아체스연맹(ACF) · 아메리카체스연맹(CCA) · 아프리카체스연맹(ACC) · 대한체스연맹
주요 대회 월드 체스 챔피언십(2024년) · 도전자 결정전 · FIDE 월드컵 · FIDE 그랑프리 · 체스 올림피아드 · 월드 블리츠 체스 챔피언십 · 월드 래피드 체스 챔피언십 · 유로피안 개인 체스 챔피언십 · 아시아 체스 챔피언십 · FIDE 그랜드 스위스
랭킹 Elo 레이팅 · 타이틀(GM · IM · FM · CM) · 체스 세계 챔피언(역대 챔피언) · 여자 체스 세계 챔피언(역대 챔피언)
주요 선수 체스 선수 목록 · 체스 선수 세계 랭킹
활동중인 선수
딩리런 · 구케시 디 · 망누스 칼센 · 파비아노 카루아나 · 이안 네폼니아치 · 히카루 나카무라 · 노디르벡 압두사토로프 · 알리레자 피로우자 · 허우이판 · 비스와나탄 아난드 · 쥐원쥔 · 비비사라 아사우바예바 · 웨슬리 소 · 웨이이 · 앤드류 탕 · 베셀린 토팔로프
20c 선수
바비 피셔 · 가리 카스파로프 · 미하일 보트비닉 · 미하일 탈 · 티그란 페트로시안 · 알렉산더 알레킨 · 호세 라울 카파블랑카 · 파울 케레스 · 아론 님조비치 · 엠마누엘 라스커
19c 이전 선수
빌헬름 슈타이니츠 · 폴 모피 · 아돌프 안데르센 · 하워드 스턴튼 · 루이 로페즈 데 세구라 · 지크베르트 타라쉬 · 앙드레 필리도르
기타
체스 사이트 Chess.com · Lichess · Chess24 · Chessle · Pychess
체스 엔진 딥 블루 · 드래곤 · 코모도 · 스톡피시
기타 명언 · 나무위키 체스 프로젝트 }}}}}}}}}


1. 개요2. 규정

1. 개요

도전자 결정전은 월드 챔피언에게 도전할 단 한 명의 선수를 뽑는 대회로, 2년마다 월드 챔피언십이 있기 최소 6개월 전에 개최된다.

2. 규정

  • 타임 컨트롤은 월드 챔피언십과 동일하게 120분 + 40수에 30분 + 41수 이후 30초 증초로 진행된다.
  • 8명의 선수가 참여하여 모든 선수들과 각각 2번씩 경기하는 더블 라운드 로빈(Double Round Robin) 방식으로 진행된다. 즉, 출전한 모든 선수들은 각각의 선수들과 흑, 백으로 각각 한 번씩 경기하게 된다.
  • 총 14경기를 진행하여, 가장 높은 승점을 획득한 선수가 다음 월드 챔피언십의 도전자가 된다.
  • 동점자가 발생할 경우, 소네본-베르거 점수(S.B.)가 높은 순서대로 앞 등수를 차지한다. 만약 1위 동점자가 발생할 경우, 세부 지표를 고려하지 아니하고 래피드/블리츠 타이브레이크를 진행하여 1위를 가려낸다.
  • 만일 기존 월드 챔피언이 타이틀을 자진 포기할 경우, 도전자 결정전 1위와 2위가 차기 월드 챔피언십에 참가한다. 이때 2위로써 받는 페널티는 없다.[1]
  • 경기는 3일 경기 후 1일 휴식일을 갖는 일정으로 진행된다.

[1] 과거 바비 피셔가 타이틀을 자진 포기할 당시에는 이러한 룰이 없어서 도전자 결정전 우승자 아나톨리 카르포프가 자동으로 챔피언 자격을 승계했는데, 이 점이 한동안 논란이 되어 도입된 룰이다. 이 룰이 적용된 사례는 2023년 대회가 유일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