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장인물 · 도구 · 구성 · 도시전설 · 작가 · 최종회 애니메이션 ( TVA (1973년판 · 1979년판 · 2005년판 · 주제가 · 회차 목록) · 극장판 · 해외 공개 ) |
1. 개요2. 오프닝
2.1. 도라에몽 (닛폰 테레비판)2.2. 도라에몽의 노래2.3. 난 도라에몽2.4. 포옹해요2.5. 꿈을 이루어줘 도라에몽2.6. 도라에몽 (TV 아사히판)2.7. 이탈리아어 번역곡 및 자체곡
3. 엔딩3.1. 도라에몽 룸바3.2. 도라에몽 음도3.3. 파란 하늘은 주머니지요3.4. 둥근 얼굴의 노래3.5. 산타클로스는 어디 사람3.6. 우리들은 지구인3.7. 푸른 하늘이 너무 좋아3.8. 내일도 ♥ 친구3.9. 난 도라에몽 21123.10. 다시 만나는 날 까지3.11. 민들레의 노래3.12. 꿈같은 날씨3.13. 아 좋겠네!
4. 특별 엔딩4.1. 춤춰라 도레 도라 도라에몽 음도4.2. 퉁퉁이에게 보에보에4.3. 프렌드 오브 더 하~트4.4. 해피☆러키 버스데이!4.5. 꿈을 이루어줘 도라에몽 합창 버전4.6. 고마워, olé!
5. 캐릭터 주제곡과 배경음악6. 극장판 수록곡1. 개요
도라에몽에 등장한 오프닝, 엔딩, 삽입곡 등을 설명하는 항목. 노래의 종류가 많으니 여는노래와 닫는노래, 그밖의 특별한 노래들을 위주로 적는다.음반 발매의 경우 1990년대까지는 일본 컬럼비아에서 담당하였으나, 2000년대 이후로는 다양한 음반사에서 발매되고 있다.
2. 오프닝
2.1. 도라에몽 (닛폰 테레비판)
닛폰 테레비판 OP ドラえもん 도라에몽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나이토 하루미(内藤はるみ)와 극단 NLT |
작사 | 후지코 후지오 |
작곡 | 코시베 노부요시(越部信義) |
편곡 |
일부 음반매체에서 파치송이란 카세트테이프도 존재하는데 이는 위조품을 뜻하는 'パチもん(파치몽)'과 'Song'의 합성어로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무명가수가 무단으로 녹음해 판매한 것을 말한다. #
2.2. 도라에몽의 노래
<colbgcolor=#0168b7><colcolor=white> OP ドラえもんのうた 도라에몽의 노래 | |||
TV ver. (오오스기 쿠미코 ver. 1) | |||
{{{#!wiki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기타 일본 TV 버전 ] {{{#!wiki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168b7><colcolor=white> | ||
TV ver. (오오스기 쿠미코 ver. 2) | |||
TV ver. (오오스기 쿠미코 ver. 3) | |||
TV ver. (야마노 사토코 ver. 1) | |||
TV ver. (야마노 사토코 ver. 2) | |||
TV ver. (와타나베 미사토 ver.) | |||
TV ver. (도라에몽 애니메이션 40주년 기념 ver.) | }}}}}}}}} | ||
TV ver. (MBC ver.) | |||
{{{#!wiki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기타 한국 TV 버전 ] {{{#!wiki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168b7><colcolor=white> | ||
TV ver. (대원방송 (김현하) ver.) | |||
TV ver. (대원방송 (유선이) ver.) | |||
TV ver. (신 도라에몽 ver.) | }}}}}}}}} | ||
Full ver. (오오스기 쿠미코 ver.) | |||
{{{#!wiki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기타 Full 버전 ] {{{#!wiki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168b7><colcolor=white> | ||
Full ver. (야마노 사토코 ver.) | |||
Full ver. (도라에몽 애니메이션 40주년 기념 ver.) | }}}}}}}}} | ||
{{{#!wikistyle="margin: -16px -11px" | 노래 | <colbgcolor=white,#2d2f34><colcolor=black,white> 오오스기 쿠미코 (1979. 4. 2.-1979. 9. 29., 1981. 10. 2.-1992. 10. 2.) 야마노 사토코 (1992. 10. 9.-2002. 9. 20.) 도쿄 푸딩 (2002. 9. 20.-2003. 4. 11.) 와타나베 미사토 (2003. 4. 18.-2004. 4. 23.) AJI (2004. 4. 30.-2005. 3. 11.) 여자12악방 (2005. 4. 15.-2005. 10. 21.) 미즈타 와사비 (도라에몽 役), 오오하라 메구미 (노진구 役), 카카즈 유미 (신이슬 役), 키무라 스바루 (만퉁퉁 役), 세키 토모카즈 (왕비실 役) (2019. 4. 5., 4. 19.) | |
오상은 (MBC)[1] 김현하, 유선이[2] (대원방송) | |||
작사 | <colbgcolor=white,#2d2f34><colcolor=black,white> 쿠스베 타쿠미, 바바 스스무[3] | ||
작곡 | 키쿠치 슌스케 | ||
편곡 | |||
사용 기간 | 1979년 4월 2일~2005년 10월 21일 40주년 기념판 2019년 4월 5일~4월 19일 (오프닝) 2019년 4월 26일, 6월 7일, 6월 21일~6월 28일 (엔딩) 2023년 6월 24일~7월 1일 (엔딩) | }}} |
국민 애니메이션이라면 어느 누구라도 그렇듯, 도라에몽은 노래가 무척이나 유명하다. 도라에몽의 주제가들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곡으로 구 도라에몽이 방영된 기간 중에는 10분 편성 방송을 제외하곤 오프닝곡에서 한번도 내려온 적이 없는 위엄있는 곡이다. 참고로 일본판 버전은 3절까지 있다.놀랍게도 26년이나 여는노래를 바꾸지 않았으며 이는 곡의 높은 인기를 알 수 있게 해주는 기간이다. 이 시기 이후 아래에 설명하는 신 도라에몽 시즌의 <포옹해요>로 오프닝 곡의 바통을 넘겨준다. 일본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도라에몽의 노래> 싱글레코드는 일본에서 1987년 기준으로 150만장 이상이 팔렸다고.
1979년 4월 2일부터 1992년 10월 2일까지 오오스기 쿠미코가 불렀다. 간토판의 경우 1979년 10월 1일 방영분부터 "난 도라에몽"으로 오프닝이 바뀌었지만, 전국 방영판은 1981년 9월 27일까지 계속 "도라에몽의 노래"를 사용하였다. 참고로 간토판과 전국판은 노래는 같지만, 영상이 다르다. 1981년 10월 2일과 1984년 4월 8일에 영상이 교체되었다. 국내에서는 대원판 도라에몽 1~10기의 오프닝으로 오오스기 쿠미코 3번째 버전(1984~1992년)의 영상을 사용하였다.
1992년 10월 9일부터 2002년 9월 20일까지 야마노 사토코가 불렀다. 1995년 4월 14일에 영상이 교체되었다. 국내에서는 MBC판 오프닝과 대원판 도라에몽 11기 이후의 엔딩으로 야마노 사토코 2번째 버전(1995~2002년)의 영상을 사용하였다.
2002년 10월 4일부터 2003년 4월 11일까지 도쿄 푸딩이 불렀다.[4] 2002년 12월까지는 3절이 사용되다가 2003년 1월부터 1절이 사용되었다.
2003년 4월 18일부터 2004년 4월 23일까지 와타나베 미사토가[5], 2004년 4월 30일부터 2005년 3월 18일까지 AJI가 불렀다.
2005년 4월 15일 신판이 시작되면서 여자 12 악방 버전이 사용되었는데 이 버전에서는 반주만 내보냈다. 국내에서는 대원판 신 도라에몽의 엔딩으로 이 버전의 영상이 사용되었다.
2019년 4월부터 6월까지 애니메이션 방송 40주년[6]을 기념하여 2대 주연성우들이 직접 부른 도라에몽의 노래를 오프닝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단 5월에는 난 도라에몽 40th를, 6월 퉁퉁이 생일 스페셜 방송분 한정으로 퉁퉁이 캐릭터송인 고마워, 올레!를 사용했다.
2019년 생일 스페셜에는 애니메이션 방송 40주년으로 초대 버전이 방송되었다. 이후 난 도라에몽, 포옹해요, 꿈을 이루어줘 도라에몽도 같이 방송되었다.
난부선 노보리토역 3번선 발차 멜로디가 이 곡. 노보리토역 근처에는 후지코 F. 후지오 뮤지엄이 있다.
작곡자는 그 유명한 키쿠치 슌스케. 일본위키백과에 수록되어 있는 도라에몽의 삽입곡과 초기 극장판 주제가도(1979~2005년판) 이 사람이 대부분 작곡했다. 키쿠치 슌스케에 대해서는 이 곳을 참조.
주로 유명한건 초대인 오오스기 쿠미코와 2대인 야마노 사토코 버전. 둘 다 우열을 가릴 수 없을 정도로 인기가 많다.[7]
만화 은혼에서는 사카타 긴토키가 귀신 때문에 겁에 질려 멘탈이 나가 직접 부르기도 하였다.
한국판 버전에서는 MBC엔 도라에몽 역할의 김서영이 불렀단 얘기가 있는데 사실이 아니고, 신비의 멤버인 오상은이 불렀다.
그리고 흔히 알려진 버전은 대원방송 시절부터 쭉 김현하 버전[8]이었다. 이름이야 잘 알려지지 않았다만 재즈계에서는 잔뼈가 굵은 가수이며, 버블시스터즈의 초기 멤버이기도 했고[9], '현하킴'이라는 이름으로 재즈 앨범을 냈었고, 국내 1세대 재즈 밴드인 최세진밴드[10]에서 재즈보컬도 한 적이 있었고, 나윤권, K, 나비, 가비엔제이의 보컬선생님이기도 했다. 제이세라가 멜론에다 리뷰를 남긴 적도 있다.
5기는 애니원 슈퍼스타 대회 2회 차에서 우승했던 시청자 유선이가 불렀다. 코믹월드 진행자 출신이라고.
2010년대 들어 돌아다니기 시작한 흔히 북한판 도라에몽 오프닝이라고 떠돌아다니는 영상이 있는데 사실 북한은 정식으로 도라에몽을 방영한 적이 없다. [11] 2002년에 북일정상회담을 마친 후 북한과 일본은 <평양학생소년예술단>의 일본 공연을 계획했는데[12] 이 과정에 해당 예술단에 속했던 김주향 양[13]이 공연 기념차 만경대학생소년궁전에서 미리 노래한 '도라에몽의 노래'를 일본 측에서 녹음해 CD로 발매한 음원이다.
2.3. 난 도라에몽
<colcolor=white> OP ぼくドラえもん (난 도라에몽) | |||
TV ver. | |||
TV ver. (도라에몽 애니메이션 40주년 기념 ver.) | |||
{{{#!wikistyle="margin: -16px -11px" | 노래 | <colbgcolor=white,#2d2f34><colcolor=black,white> 오오야마 노부요, 코오로기'73 | |
미즈타 와사비 | |||
문남숙 | |||
작사 | <colbgcolor=white,#2d2f34><colcolor=black,white> 후지코 F. 후지오 | ||
작곡 | 키쿠치 슌스케 | ||
편곡 | |||
사용 기간 | 1979년 10월 1일 ~ 1981년 9월 26일 40주년 기념판(엔딩) 2019년 5월 10일~5월 31일 2023년 6월 3일, 6월 17일 | }}} |
<도라에몽의 노래>에 버금간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유명한 곡. 작사는 후지코 F. 후지오선생이 직접 했으며 부른 가수도 도라에몽의 성우라서 여러모로 화제가 되기도 한다. 국내에선 구 도라에몽의 11기 이후 여는노래를 장식해서 많은 사람들이 익숙할 것이다. 동글동글 짜리몽땅 도라에몽이란 가사로 친숙한 그 노래다. 관동 지역에서 방영됐던 <도라에몽>의 10분짜리 방송에서는 이 곡이 오프닝곡으로 쓰였다고 한다.
<나는 도라에몽 2112>란 이름으로 한차례 어레인지돼서 <도라에몽의 탄생 2112년>의 주제가로 쓰였으며 1995년 3월 1일에 싱글이 발매됐다고 한다. 어레인지 버전은 1995년 4월 1일 ~ 2002년 9월 20일까지 30분 편성 <도라에몽>의 닫는노래를 담당하는 영광을 차지하기도 한다.[14] 한 번은 <도라에몽의 노래>를 부른 도쿄 푸링이 어레인지를 했다고 한다. 한편 한국에서 구도라 11기 이후 오프닝으로 사용된 버전이 바로 이 버전이다. 하지만 일본판과 음이 다른 부분이 존재하는데, 한국판 가사 기준 "타임머신을 타고 온 / 고양이형 로봇" 부분에서 굵게 표시된 부분이 한국어판에서는 계이름으로 '도—시시라'라고 부르게 됐지만 원본에서는 옥타브를 넘지 않고 '라'가 가장 높다.
또한 이 노래는 코오로기 '73이라는 한국인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코러스 그룹이 참여했다. 원래는 숫자 앞에 연도를 뜻하는 작은 따옴표도 하나 붙여야 하지만 링크가 깨질 수 있으니 붙이지 않았다. 이 그룹의 활동에 대해선 이 곳을 참조.
MBC판 엔딩에도 이 영상이 사용되었는데 노래는 도라에몽 구판 첫 엔딩인 "파란 하늘은 주머니지요"이다.[15]
2019년 5월 한정으로 2대 도라에몽의 성우 미즈타 와사비가 부른 40th 버전이 엔딩으로 전파를 탔다.
2019년 도라에몽 생일 스페셜에서는 도라에몽의 노래 다음으로 나왔다.
난부선 노보리토역 1번선 발차 멜로디로 사용중.
2.4. 포옹해요
OP | ||
제목 | ハグしちゃお (포옹해요) | |
풀버전 제작진 표시가 없는 버전 | ||
가수 | 나츠카와 리미 | |
작사 | 아키 요코 | |
작곡 | 우자키 류도 | |
편곡 | 쿄다 세이이치 | |
사용 기간 | 2005년 10월 28일 ~ 2007년 4월 20일 |
신 도라에몽 시즌에 들어서도 오프닝곡은 전 시즌에 이어서 계속 <도라에몽의 노래>가 쓰였지만 후에 해당곡으로 변경됐다. 일본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도라에몽의 오프닝곡이 바뀐 것은 1979년 이후로 처음 있는 일이었다고 한다. 덧붙여 노래 이름에 '도라에몽'이란 단어가 들어가지 않는 첫번째 노래가 됐다.
해당 곡은 국내 방영분에서는 쓰이지 않았다. 오프닝곡에서 <도라에몽의 노래>가 쓰이지 않은 건 애니메이션 제2작 1기를 포함해서 방영 개시한 26년 반으로 2번째 있는 일. 노비타와 공룡 2006과 신 마계대모험은 이 오프닝을 썼다.
2019년 도라에몽 생일 스페셜에서는 난 도라에몽 다음으로 나왔다. 다만 TV판 일부 구간만 짧게 방송되었다.
여담이지만, 풀버전과 TV판의 도입부가 약간 다르다. 풀버전의 도입부를 전부 담기에는 무리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도입부를 약간 축약하여 TV판 오프닝으로 만들어야 했다.
2.5. 꿈을 이루어줘 도라에몽
OP | ||
제목 | 夢をかなえてドラえもん (꿈을 이루어줘 도라에몽) | |
영상 | 풀버전 2007년 버전 2010년 버전 2017년 버전 | |
가수 | mao[16] / 코러스: 히마와리 키즈 | |
이재현[17] | ||
작사 | 쿠로스 카츠히코 | |
작곡 | ||
편곡 | 오오쿠보 카오루 | |
사용 기간 | 오프닝 2007년 5월 11일~2018년 4월 13일 엔딩 2011년 12월 30일~2015년 10월 23일[18] 2018년 9월 14일, 12월 31일 2019년 3월 15일 2022년 10월 1일~12월 10일, 12월 31일[연말] 2023년 5월 13일~5월 20일 2023년 9월 9일, 11월 25일, 12월 31일[연말] 2024년 11월 9일~ |
2007년 5월 11일부터 두번째 오프닝곡에 해당하는 '꿈을 이루어줘 도라에몽'으로 바뀌었다. 국내에서 신 도라에몽의 오프닝곡으로 익숙한 이 곡은 바뀌지 않고 이어지고 있다.[21] 또한 <도라에몽의 노래>처럼 신 도라에몽 극장판[22]의 여는 노래를 담당했다. 또한 일본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멜로디의 일부에 <도라에몽의 노래>가 쓰였다고 한다.
2009년 5월 1일 방영분부터 원작 40주년과 애니메이션 30주년을 맞이해 원작의 그림체를 쓴 오프닝 영상으로 바뀌었으며, 2009년 10월 16일 방영분부터 영화 30주년을 기념해 그동안 개봉된 극장판의 명장면의 영상이 방영되었다. 2010년 4월 23일부터 다양한 비밀 도구들이 나오는 영상으로 교체해 2017년 7월까지 방영되었다.
2011년 5월부터 앞부분과 후렴구의 일부분을 잘라낸 오프닝이 쓰이고 있으며, 2011년 12월 30일부터는 엔딩곡에도 가끔씩 사용되고 있다. 2008년부터는 다른 엔딩을 내보낼 경우 이 오프닝이 쓰이지 않는다.
해당 곡의 커플링 곡으로 발표된 <춤춰라 춤춰 도라 도라에몽 온도 2007(踊れ・どれ・ドラ ドラえもん音頭2007)>은 이 시기의 엔딩곡으로 쓰였고 이 곡은 신 도라에몽의 도라에몽 담당 성우인 미즈타 와사비와 도라코대(ドラっ子隊)가 불렀으며 코러스는 모리노키 아동합창단(森の木児童合唱団)이 참가했다고. 덧붙여 미즈타가 맡은 도라에몽의 첫번째 캐릭터 테마송이 됐다고 한다.
2014년 5월 16일부터 5월 30일까지 이 노래의 합창 버전이 엔딩에 쓰였다. 사용한 영상은 2010년판 영상.
2014년 6월 6일 방영분부터 8월 말까지 STAND BY ME 도라에몽의 영상이 쓰였다.
2014년 10월 17일부터 도라에몽 영화 개봉 35주년을 맞아서 그 동안 개봉된 극장판들 명장면의 영상을 내보내고 있다. 노래는 도라에몽, 노진구, 신이슬, 비실이, 퉁퉁이의 성우가 불렀다.
- 2014년 10월 17일 방영분 : 1980년, 1988년, 1996년, 2004년, 2012년작
- 2014년 10월 24일 방영분 : 1981년, 1989년, 1997년, 2006년, 2013년작
- 2014년 10월 31일 방영분 : 1982년, 1990년, 1998년, 2007년작
- 2014년 11월 07일 방영분 : 1983년, 1991년 ,1999년, 2008년작
- 2014년 11월 14일 방영분 : 1984년, 1992년 ,2000년, 2009년작
- 2014년 11월 21일 방영분 : 1985년, 1993년 ,2001년, 2010년작
- 2014년 11월 28일 방영분 : 1987년, 1994년 ,2002년, 2011년작
- 2014년 12월 5일 방영분 : 1986년, 1995년 ,2003년, 2014년작
2015년 12월 금영에 43988로 등록되었다. TJ번호는 28174
2017년 7월 28일부터 리뉴얼이 되면서 오프닝 영상이 교체되었다. 곡도 2011년 이전 길이로 다시 늘어났다.
2019년 4월부터는 40주년 기념으로 도라에몽의 노래로 오프닝이 변경되어 사용하지 않고 있다가 2022년 10월 1일부터 엔딩으로 부활되었다. mao가 부른 게 아닌 2014년에 부른 주연 5인방이 부른 노래가 송출. 영상은 2007, 2009, 2010, 2017년판 오프닝을 섞어 쓰며, 2017년판의 비중이 가장 높다.
2019년 도라에몽 생일 스페셜에서는 포옹해요 다음으로 나왔다. 다만 TV판 일부 구간만 짧게 방송되었다.
2024년 개봉된 극장판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지구 교향곡에서 삽입된 차페크의 "지구 교향곡" 3악장에 이 오프닝 곡의 첫 소절이 사 장조로 조옮김된 채 인용되었다.
도라에몽 극장판 45주년 기념으로, 2024년 11월 9일부터 역대 극장판의 명장면들을 모은 스페셜판으로 오프닝/엔딩에 사용되고 있다.
오다큐 오다와라선 노보리토역 3번선[23], JR 동일본 난부선 슈쿠가와라역 2번선[24] 발차 멜로디로 나온다. 이 역들이 후지코 F. 후지오 뮤지엄과 지척에 있어서 특별히 후지코 F. 후지오 작품들의 삽입곡들을 발차 멜로디로 쓰고 있다.
2.6. 도라에몽 (TV 아사히판)
자세한 내용은 ドラえもん(음반) 문서 참고하십시오. OP (2019년 10월 5일 ~ 2024년 11월 2일) ドラえもん 도라에몽 | |
TV 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호시노 겐 |
작사 | |
작곡 | |
편곡 |
초반의 카툰 효과와 후반의 도라에몽 3D CG가 돋보이는 오프닝. 요다 노부타카가 만들었다.
이 오프닝은 2018년에 개봉된 진구의 보물섬 주제가로 나온 곡인데, 극장판 엔딩이 정식 TV판 오프닝으로 쓰인 건 처음.
한국판 오프닝은 여전히 꿈을 이루어줘 도라에몽인데, 호시노 겐의 도라에몽이 11월 2일에 일본에서 사용 종료되는 것으로 추정할 때 한국에서는 아예 사용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역대 오프닝 영상 최초로 도라에몽 로고가 나오지 않는다.
2.7. 이탈리아어 번역곡 및 자체곡
Il Gatto Doraemon 고양이 도라에몽(이탈리아 자체 버전 1) | |
Doraemon 도라에몽(이탈리아 자체 버전 2) | |
La canzone di Doraemon ぼくドラえもん 번역 버전 | |
의외로 이탈리아에서도 도라에몽이 히트를 쳤는데, 대부분의 오프닝을 번역하는 대신 직접 만들어서 쓰는 이탈리아 애니메이션 시장의 특성상 도라에몽도 예외가 아니었다. 나는 도라에몽의 번역곡도 존재하나, 가장 유명한 곡은 애니 전문 가수 크리스티나 다베나가 부른 버전(상단 틀 2번째)이다.
3. 엔딩
엔딩은 오프닝에 비해 많이 바뀌었다. 위키백과의 해당항목 참고.3.1. 도라에몽 룸바
닛폰 테레비판 ED ドラえもんルンバ 도라에몽 룸바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나이토 하루미(内藤はるみ) |
작사 | 요코야마 요이치(横山陽一) |
작곡 | 코시베 노부요시(越部信義) |
편곡 |
3.2. 도라에몽 음도
ED | ||
제목 | ドラえもん音頭 (도라에몽 음도) | |
가수 | 오오야마 노부요 | |
작사 | 타카다 히로오 | |
작곡 | 키쿠치 슌스케 | |
편곡 |
3.3. 파란 하늘은 주머니지요
ED | ||
제목 | 青い空はポケットさ (파란 하늘은 주머니지요) | |
영상 | | |
가수 | 오오스기 쿠미코 | |
오상은 | ||
작사 | 타카다 히로오 | |
작곡 | 키쿠치 슌스케 | |
편곡 | ||
사용 기간 | 1979년 4월 8일 ~ 1981년 9월 27일 |
2001년~2002년에 MBC판을 방영할 당시에는 이 엔딩을 차용했다.
3.4. 둥근 얼굴의 노래
ED | ||
제목 | まる顔のうた (둥근 얼굴의 노래) | |
가수 | 오오야마 노부요 | |
작사 | 타카다 히로오 | |
작곡 | 키쿠치 슌스케 | |
편곡 | ||
사용 기간 | 1981년 10월 2일 ~ 1983년 11월 11일 1984년 1월 6일 ~ 3월 30일 |
3.5. 산타클로스는 어디 사람
ED | ||
제목 | サンタクロースはどこのひと (산타클로스는 어디 사람) | |
가수 | 오오야마 노부요 | |
작사 | 타카다 히로오 | |
작곡 | 키쿠치 슌스케 | |
편곡 | ||
사용 기간 | 1983년 11월 18일 ~ 12월 30일 |
여담으로 이 엔딩 영상은 2018년 8월 이전까지 완전히 보존이 되어있던 영상이 나오지 않았다. 이유는 초반 부분이 훼손되었기 때문. 2018년 8월달에 방송국에서도 구하지 못한 거의 원형 상태를 유지한 필름이 나오게 되어 이로써 방송으로 나온 역대 엔딩 영상이 다 나오게 되었다. 참고로 이 엔딩은 40년 애니 역사상 가장 짧은 방영기간을 가졌다. (1개월 12일)
3.6. 우리들은 지구인
ED | ||
제목 | ぼくたち地球人 (우리들은 지구인) | |
1984년에 잠깐 쓰인 버전 | ||
이후 1988년까지 쓰인 버전 | ||
가수 | 호리에 미츠코 | |
작사 | 미나모토 타카시 | |
작곡 | 키쿠치 슌스케 | |
편곡 | ||
사용 기간 | 1984년 4월 6일 ~ 1988년 4월 8일 |
방송 초기에는 다른 영상이 사용되었다. 엔딩 내내 지구 위에서 돌고 도는 주인공들만 나온다.
모토히라 료 감독 체제에 마지막으로 교체된 엔딩이기도 하며,이후 감독은 1985년부터 시바야마 츠토무가 맡게 된다.
후기 버전은 스페인[25], 인도네시아 등의 많은 나라로 수출되었다.
3.7. 푸른 하늘이 너무 좋아
ED | ||
제목 | 青空っていいな (푸른 하늘이 너무 좋아) | |
영상 | ||
김현하판 이은지판 | ||
가수 | 호리에 미츠코 | |
김현하 이은지(5, 9기) | ||
작사 | 타카다 히로오 | |
작곡 | 키쿠치 슌스케 | |
편곡 | ||
사용 기간 | 1988년 4월 15일 ~ 1992년 10월 2일 |
1988년 4월 15일부터 1992년 10월 2일까지 사용된 구도라의 다섯 번째 엔딩곡으로 한국에서는 구도라 1기부터 10기까지 사용되었다.
시바야마 츠토무 감독 체제에 처음으로 바뀐 엔딩이다.
특이사항으로 9기 한정으로,[26] 부르는 사람은 김현하가 아닌 시청자 '이은지'라는 사람이 불렀는데 애니원 슈퍼스타 대회에 참가해서 우승한 노래라고 한다.[27] 또 미묘하게 반주가 살짝 다르다.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이 도라에몽의 엔딩곡 하면 떠올렸던 곡이다.
3.8. 내일도 ♥ 친구
ED | ||
제목 | あしたも♥ともだち (내일도 ♥ 친구) | |
가수 | 니시와키 유이 | |
작사 | ||
작곡 | ||
편곡 | 토비사와 히로모토 | |
사용 기간 | 1992년 10월 9일 ~ 1995년 4월 7일 |
이 엔딩부터 스탭 롤의 서체가 변경되었다.
3.9. 난 도라에몽 2112
ED | ||
제목 | ぼくドラえもん2112 (난 도라에몽 2112) | |
가수 | 오오야마 노부요, 코오로기'73 | |
작사 | 후지코 F. 후지오 | |
작곡 | 키쿠치 슌스케 | |
편곡 | ||
사용 기간 | 1995년 4월 14일 ~ 2002년 9월 20일 |
1995년 3월, 2112년 도라에몽 탄생 개봉 기념으로 엔딩에 채택되었다.[28] 보컬은 기존의 난 도라에몽을 일부 고쳐 재활용하였으며, 편곡은 새로 했다.
3.10. 다시 만나는 날 까지
ED | ||
제목 | またあえる日まで (다시 만나는 날 까지) | |
2002년까지 쓰인 버전(2002년 10월 5일 パパの夢をかなえよう) 2003년 1월부터 쓰인 버전 | ||
가수 | 유즈 | |
작사 | 어드벤처 캡의 아이들, 키타가와 유우진 | |
작곡 | 키타가와 유우진 | |
편곡 | 유즈&테라오카 요히토 | |
사용 기간 | 2002년 10월 4일 ~ 2003년 4월 11일 |
2002년 12월까지 쓰인 버전과 2003년 1월부터 쓰인 버전이 있다. 둘의 차이점은 2003년 이후 버전이 뒷부분의 동작이 더 동적으로 바뀌었다.
3.11. 민들레의 노래
ED | ||
제목 | タンポポの詩 (민들레의 노래) | |
테레비 아사히 로고 변경 이전 테레비 아사히 로고 변경 이후 | ||
가수 | The Alfee | |
작사 | 타카미자와 토시히코 | |
작곡 | ||
편곡 | ||
사용 기간 | 2003년 4월 18일 ~ 10월 3일 |
사용 중 테레비 아사히의 로고가 변경되었다.
3.12. 꿈같은 날씨
ED | ||
제목 | YUME日和 (꿈같은 날씨) | |
풀버전 | ||
가수 | 시마타니 히토미 | |
작사 | 오바타 히데유키 | |
작곡 | 미야자키 아유미 | |
편곡 | 宗像仁志 | |
사용 기간 | 2003년 10월 10일 ~ 2004년 5월 28일 |
도라에몽 극장판 노비타의 완냥시공전의 엔딩으로도 쓰인 그 노래 맞다.
3.13. 아 좋겠네!
ED | ||
제목 | あぁ いいな! (아 좋겠네!) | |
가수 | W | |
작사 | 층쿠 | |
작곡 | ||
편곡 | 스즈키 Daichi 히데유키 | |
사용 기간 | 2004년 6월 4일 ~ 2005년 3월 18일 |
유독 메기가 많이 나오는 것이 특징.[29] 오오야마판 도라에몽 애니메이션의 마지막 엔딩이기도 한다. 이후 미즈타판 도라에몽 애니메이션에서는 엔딩을 내보내지 않고 있으며, 특정 시즌에만 특별 엔딩을 내보내고 있다.[30]
4. 특별 엔딩
특별 엔딩에 대한 내용.4.1. 춤춰라 도레 도라 도라에몽 음도
ED | ||
제목 | おどれ・どれ・ドラ・ドラえもん音頭 (춤춰라 도레 도라 도라에몽 음도) | |
제목은 일본어 특유의 언어유희. 오도레(踊れ)에서 오를 빼고 레를 라로 바꿔서 '도라'로 만든 것이다. 제목처럼 춤이 있다.
2005년부터 여름 시즌 한정으로 엔딩으로 나온다. 2006년에는 나오지 않다가 2007년부터 2013년까지는 2007년 버전으로 리뉴얼되어 나왔고, 2017년부터 2019년까지 2017년 버전으로 리뉴얼되어 나왔다.
2020년과 2021년에는 나오지 않다가 2022년 8월 말에 2017년 버전이 다시 사용되었다.
이후엔 반주 버전이 브금으로 사용된다.
4.2. 퉁퉁이에게 보에보에
2012년부터 2013년까지 퉁퉁이 생일 스페셜 엔딩으로 사용. 첫 공개는 2011년 6월.4.3. 프렌드 오브 더 하~트
원판 |
더빙판 |
4.4. 해피☆러키 버스데이!
4.5. 꿈을 이루어줘 도라에몽 합창 버전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우주영웅기: 스페이스 히어로즈의 도라에몽 오프닝곡.가사 및 파트 분배 |
ALL 노진구 도라에몽 신이슬 왕비실 만퉁퉁 心の中 いつもいつもえがいてる(えがいてる) 코코로노 나카 이츠모 이츠모 에가이테루(에가이테루) 마음 속에서 언제나 늘 그리고 있어 (그리고 있어) 夢をのせた自分だけの世界地図(タケコプタ〜) 유메오 노세타 지분다케노 세카이치즈(타케코프타~) 꿈을 실은 나만의 세계지도를 (대나무 헬리콥터~) 空を飛んで時間を越えて 遠い国でも ドアをあけてほら行きたいよ 今すぐ(どこでもドア〜) 도아오 아케테 호라 이키타이요 이마 스구 (도코데모 도아~) 자, 문을 열고 가고 싶어 지금 당장 (어디로든 문!~) 大人になったら忘れちゃうのかな? 오토나니 낫타라 와스레챠우노카나? 어른이 되면 잊어 버리는 걸까? そんな時には思い出してみよう Shalalalala 僕の心に Shalalalala 보쿠노 코코로니 Shalalalala 내 마음 속에서 いつまでもかがやく夢 이츠마데모 카가야쿠 유메 영원토록 반짝일 꿈을 ドラえもん そのポケットで かなえさせてね 도라에모응 소노 포켓토데 카나에사세테네 도라에몽 그 주머니로 이루어 줘 Shalalalala 歌をうたおう Shalalalala 우타오 우타오-- Shalalalala 노래 부르자 みんなでさあ手をつないで 민나데 사아 테오 츠나이데 다 함께 자, 손을 잡고 ドラえもん 世界中に 夢を そうあふれさせて 도라에몽 세카이쥬니 유메오 소 아후레사세테 도라에몽 온 세상에 꿈이 그래, 넘치게 해줘 やりたいこと 行きたい場所 見つけたら(みつけたら) 야리타이 코토 이키타이 바쇼 미츠케타라 (미츠케타라) 하고 싶은 일 가고 싶은 곳을 찾았으면 (찾았으면) 迷わないで 靴を履いて 出かけよう (タイムマシン〜) 마요와나이데 쿠츠오 하이테 데카케요-- (타이무마신~) 망설이지 말고 신발 신고 밖으로 나가자 (타임머신~) 大丈夫さ ひとりじゃない 僕がいるから キラキラ輝く 宝物探そうよ(四次元ポケット〜) 키라키라 카가야쿠 타카라모노 사가소--요 (요지겐 포케토) 반짝반짝 빛나는 보물을 찾으러 가자 (4차원 주머니~) 道に迷っても 泣かないでいいよ 秘密の道具で 助けてあげるよ Shalalalala 口笛吹いて |
4.6. 고마워, olé!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퉁퉁이 생일 스페셜 엔딩으로 사용.5. 캐릭터 주제곡과 배경음악
그 밖에도 캐릭터 테마송이 제법 유명하다. 역대 도라에몽 앨범 삽입곡 중에 노진구와 신이슬, 왕비실, 만퉁퉁의 담당 성우들이 부른 테마송도 존재한다.[31]신 도라에몽 시즌에 들어서도 이는 마찬가지라서 2005년 12월을 시작으로 테마송을 발매하였다. 2012년 11월에 퉁퉁이와 비실이의 듀엣곡인 《프렌드 오브 더 하~트》를 발표해서 한동안 엔딩곡을 담당하기도 했다. 신 도라에몽에선 캐릭터 테마송을 애니메이션 배경음악으로 삽입해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신 도라에몽의 캐릭터 주제곡 및 배경음악 종류. 아래 외에도 수많은 테마송이 발매되었다.
5.1. 신 도라에몽
주제가 · 삽입곡 ドラえもん はじまるよ 도라에몽 시작해요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미즈타 와사비(도라에몽) |
작사 | 젠 소이치로(善聡一郎) |
작곡 | 미상[32] |
편곡 |
주제가 · 삽입곡 まんまる ボクがドラえもん 동그란 나는야 도라에몽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미즈타 와사비(도라에몽) |
작사 | 스기야마 아키히코(杉山昭彦) |
작곡 | 사와다 칸 |
편곡 |
주제가 · 삽입곡 ドラえもん ひみつ道具の数えうた 비밀도구 세는 노래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미즈타 와사비(도라에몽) 숲속의 나무 아동 합창단(森の木児童合唱団) |
작사 | 스기야마 아키히코(杉山昭彦) |
작곡 | 사와다 칸 |
편곡 |
주제가 · 삽입곡 すすめ!ドラえもんマーチ 나아가라! 도라에몽 행진곡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미즈타 와사비(도라에몽) 숲속의 나무 아동 합창단(森の木児童合唱団) |
작사 | 스기야마 아키히코(杉山昭彦) |
작곡 | 사와다 칸 |
편곡 |
주제가 · 삽입곡 ドラえもん・七不思議~其の一~ 도라에몽・7대 불가사의~ 그 첫째~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미즈타 와사비(도라에몽) 호리우치 노리(堀内法利)[A]/호리우치 아이사치(堀内愛祥)[A] 숲속의 나무 아동 합창단(森の木児童合唱団) |
작사 | 스기야마 아키히코(杉山昭彦) |
작곡 | 사와다 칸 |
편곡 |
주제가 · 삽입곡 ドラえもん・七不思議~其の二~ 도라에몽・7대 불가사의~ 그 둘째~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미즈타 와사비(도라에몽) 타니카와 리코(谷川莉子) 오무라 치호(小村知帆)[35] 숲속의 나무 아동 합창단(森の木児童合唱団) |
작사 | 스기야마 아키히코(杉山昭彦) |
작곡 | 사와다 칸 |
편곡 |
주제가 · 삽입곡 踊れ・どれ・ドラ ドラえもん音頭 춤춰라・춰라・도라・도라에몽 음두[36]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미즈타 와사비(도라에몽) 숲속의 나무 아동 합창단(森の木児童合唱団) |
작사 | 스기야마 아키히코(杉山昭彦) |
작곡 | 사와다 칸 |
편곡 |
주제가 · 삽입곡 夢をきかせて 꿈을 들려줘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미즈타 와사비(도라에몽) |
작사 | 스기야마 아키히코(杉山昭彦) |
작곡 | 사와다 칸 |
편곡 |
주제가 · 삽입곡 ドラガオじゃんけん 도라 얼굴 가위바위보 | |
도라에몽 & 노진구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미즈타 와사비(도라에몽), 오오하라 메구미(노진구), 카카즈 유미(신이슬), 세키 토모카즈(왕비실), 키무라 스바루(만퉁퉁) |
작사 | 스기야마 아키히코(杉山昭彦) |
작곡 | 사와다 칸 |
편곡 |
주제가 · 삽입곡 のび太くん0点 노비타 군의 0점(feat. 도라에몽)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오오하라 메구미(노진구), 미즈타 와사비(도라에몽) |
작사 | 스기야마 아키히코(杉山昭彦) |
작곡 | 사와다 칸 |
편곡 |
주제가 · 삽입곡 おとなりのプリンセス 이웃집 공주님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카카즈 유미(신이슬) |
작사 | 스기야마 아키히코(杉山昭彦) |
작곡 | 사와다 칸 |
편곡 |
주제가 · 삽입곡 スネ夫のおぼっちゃマンボ 스네오 도련님 맘보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세키 토모카즈(왕비실) 숲속의 나무 아동 합창단(森の木児童合唱団) |
작사 | 스기야마 아키히코(杉山昭彦) |
작곡 | 사와다 칸 |
편곡 |
주제가 · 삽입곡 そこのけ!ジャイアンさまだ 저기! 자이안 님이다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키무라 스바루(만퉁퉁) |
작사 | 스기야마 아키히코(杉山昭彦) |
작곡 | 사와다 칸 |
편곡 |
주제가 · 삽입곡 ジャイアン ボエボエ 자이안 보에보에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키무라 스바루(만퉁퉁) |
작사 | 스기야마 아키히코(杉山昭彦) |
작곡 | 사와다 칸 |
편곡 |
주제가 · 삽입곡 キミのなかののび太 네 안의 노비타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호리에 미츠코 |
작사 | 스기야마 아키히코(杉山昭彦) |
작곡 | 사와다 칸 |
편곡 |
주제가 · 삽입곡 Ding! Dong!クリスマスの魔法 Ding!Dong! 크리스마스 마법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미즈타 와사비(도라에몽), 오오하라 메구미(노진구), 카카즈 유미(신이슬), 세키 토모카즈(왕비실), 키무라 스바루(만퉁퉁) |
작사 | 스기야마 아키히코(杉山昭彦) |
작곡 | 사와다 칸 |
편곡 |
주제가 · 삽입곡 Happy ☆ Lucky Birthday 해피 ☆ 러키 버스데이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미즈타 와사비(도라에몽), 오오하라 메구미(노진구), 카카즈 유미(신이슬), 세키 토모카즈(왕비실), 키무라 스바루(만퉁퉁) |
작사 | 스기야마 아키히코(杉山昭彦) |
작곡 | 사와다 칸 |
편곡 |
주제가 · 삽입곡 フレンド・オブ・ザ・ハート 프렌드 오브 더 하트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세키 토모카즈(왕비실) 키무라 스바루(만퉁퉁) |
작사 | 스기야마 아키히코(杉山昭彦) |
작곡 | 사와다 칸 |
편곡 |
주제가 · 삽입곡 びっくりラッキーマンボ! 깜짝 러키 맘보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미즈타 와사비(도라에몽), 오오하라 메구미(노진구), 카카즈 유미(신이슬), 세키 토모카즈(왕비실), 키무라 스바루(만퉁퉁) |
작사 | 미즈노 무네노리(水野宗徳) |
작곡 | 타나카 아키요시(田中章喜) |
주제가 · 삽입곡 たけしのズンドコ節 타케시의 즌도코부시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키무라 스바루(만퉁퉁) |
작사 | 미상 |
작곡 | 미상[38] |
편곡 | 미즈모리 히데오(水森英夫) |
주제가 · 삽입곡 ありがとう、オーレ! 고마워, 올레!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키무라 스바루(만퉁퉁) |
작사 | |
작곡 | 키노시타 류헤이(木下龍平) |
편곡 |
주제가 · 삽입곡 ジャイアントドリーム 자이언트 드림! | |
Full ver. | |
<colbgcolor=#0168b7><colcolor=#ffffff> 노래 | 키무라 스바루(만퉁퉁) |
작사 | |
작곡 | 키노시타 류헤이(木下龍平) |
편곡 |
5.2. 관련 문서
- Moonlight Blue
- Friend of the heart
6. 극장판 수록곡
극장판이 개봉할 시기가 되면, 극장판 홍보를 위해서 기간한정으로 엔딩곡을 해당시즌 극장판 테마곡으로 바꾸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2013년 2월 1일부터 도라에몽의 엔딩곡으로 3월 9일 개봉된 극장판 '노비타의 비밀도구 박물관'의 메인테마인 Perfume의 未来のミュージアム이 쓰였다. 2014년 1월 17일부터 5월 2일까지 도라에몽의 엔딩곡으로 3월 8일에 개봉된 극장판 '신 노비타의 대마경'의 메인테마인 kis-my-ft2의 빛의 신호가 쓰였다.2014년 12월 30일부터 도라에몽의 엔딩곡으로 2015년 3월 7일에 개봉되는 극장판 '노비타의 우주영웅기'의 메인테마인 미와의 360°가 쓰였다.6.1. 살아가고 살아가네
https://youtu.be/mulwlSEC2pc2012년 극장판 엔딩.
6.2. 미래 박물관
https://youtu.be/s8_vqfjYpBg2013년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비밀도구 박물관에서 사용한 엔딩
6.3. 빛의 시그널
https://www.youtube.com/watch?v=I1ZqeNDOHXU2014년 극장판 엔딩.
6.4. 360°
https://youtu.be/65DnmpAEpDw2015년 극장판 엔딩.
6.5. 해바라기의 약속
ED | ||
제목 | ひまわりの約束 (해바라기의 약속) | |
가수 | 하타 모토히로 | |
작사 | ||
작곡 | ||
사용 에피소드 | 도라에몽: 스탠바이미 |
6.6. 운타카 댄스
2016년 극장판 삽입곡.6.7. 하늘로
https://youtu.be/xe0yINT52ZM2016년 극장판 엔딩.
6.8. 파오파오 댄스
2017년 극장판 삽입곡. "꿈을 이루어줘 도라에몽"을 부른 mao가 노래.6.9. 내 마음을 만들어 줘
2017년 극장판 엔딩.6.10. 도라에몽
https://youtu.be/ypRTzt1KrF82018년 극장판 엔딩이며 이후 2019년 10월부터 오프닝 곡으로 쓰이게 된다.
6.11. THE GIFT
https://youtu.be/ECe0KBlN0a82019년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달 탐사기 엔딩.
6.12. Birthday
https://youtu.be/qVSxBNLr2dw2020년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신 공룡 엔딩.
6.13. 무지개
https://youtu.be/hkBbUf4oGfA2020년 개봉된 도라에몽: 스탠바이미 2 엔딩.
6.14. Universe
https://youtu.be/6lnS-8FVod42021년 극장판 엔딩. 코로나로 인한 개봉연기로 인해 2022년 5월까지 사용되었다.
6.15. Paradise
ED | ||
제목 | Paradise | |
가수 | NiziU | |
작사 | AKIRA 방찬, 창빈, 한(3RACHA) | |
작곡 | 방찬, 창빈, 한(3RACHA) 베르사최(VERSACHOI) | |
삽입한 영화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하늘의 유토피아 | |
사용 기간 | 2023년 1월 7일 ~ 5월 6일 |
2023년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하늘의 유토피아 엔딩.
[1] 아이돌 그룹 신비의 멤버. 도라에몽의 성우 김서영이 불렀다는 정보도 있지만 잘못된 정보다.[2] 5기, 극장판 일부[3] 보조 작사.[4] 여담으로 이 버전은 흑역사다. 오오스기 쿠미코, 야마노 사토코 버전과의 괴리감이 너무 심해 6개월밖에 못 쓰고 갈아치웠다.[5] 도라에몽 애니메이션 25주년 기념 오프닝이다.[6] 니혼TV판 제외[7] 참고로 이 둘은 미미의 컴퓨터 여행이라는 애니메이션에서 오오스기가 엔딩, 야마노가 오프닝을 부르기도 했다.[8] 오상은 버전은 통통 튀는 하이톤이고, '도라에몽'이라고 부르는데, 김현하 버전은 뭔가 짬이 있는(...) 톤으로 '도라에몽'을 밑에서 위로 솟구치며 부르는듯한 모습을 보이는 차이점이 있다.[9] 영지가 있던 그 버블시스터즈 맞다. 정작 데뷔 명단에는 오르지 않았는데, 아마도 재즈 장르 때문에 이견 차이를 보이다가 데뷔 직전 탈퇴한 것으로 보인다.[10] 한국 원로 재즈드러머 최세진(1931~2008)이 만든 밴드 이름이다.#[11] 이와는 별개로 북한은 2004년, 당시 새로 방영을 시작한 교통 관련 공익성 TV 프로그램에 도라에몽 애니메이션 속 장면들을 무단으로 가져다 삽입했었는데 역설적으로 북한은 2003년에 저작권 보호를 위한 국제 협약인 베른 협약에 가입한 바 있다. 일본은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건가[12] 참고로 공연 직전에 북한에서 일방적으로 취소하면서 무산되었다.[13] 당시 10세 남짓으로, 2년 전인 2000년에 예술단 공연차 방남해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공연했었고 2018년엔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당시 북측 축하 공연차 방남해 공연했었다. # 성장과정 올림픽 축하공연 당시 북노자키 아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여담으로 김주향은 김정은 위원장의 아내인 리설주의 금성학원 후배이기도 하다.[14] 또한 이 곡은 도라에몽의 엔딩곡 중 가장 오래 쓰인 엔딩곡으로 기록되어 있다.[15] 또한 이 노래는 14~16기에 오프닝으로 한 번 더 사용되었다.[16] 원래는 데모 버전만 녹음할 예정이었으나, 좋은 평가를 얻게 되어 정식 데뷔를 하게 되었다는 비하인드가 있다.[17] 본편에서 퉁퉁이 엄마 역을 맡았다.[18] 오프닝이 나오지 않을 때 엔딩으로 쓰였다.[연말] 연말 스페셜로, 음악만 내보냄[연말] [21] 반주곡이 대원 측에서 자체 편곡한 모양이다. 기존 반주에 일본어 코러스가 있어서 그런 것으로 추정.[22] 단, 진구의 공룡대탐험(2006), 진구의 마계대모험: 7인의 마법사의 오프닝은 '포옹해요'이다.[23] 첫 소절[24] 후렴구[25] 스페인 일부는 PAL 지역에 맞게 음원이 변형되었다.[26] 5기 일부에서도 이 엔딩이 나온다.[27] 9기 엔딩에선 부른 사람과 다르게 김현하가 불렀다고 쓰여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28] 2112년 도라에몽 탄생의 엔딩도 이 노래.[29] 또한 오오야마판 도라에몽의 마지막인만큼 엔딩 마지막에 주역들이 손을 흔들고 있다.[30] 예를 들면 극장판 시즌. 이 경우 극장판의 엔딩이 나간다.[31] 다만, 이들 중 신이슬은 노무라 미치코가 아닌 다른 사람이 테마송을 불렀다.[32] 독일 민요.[A] 숲속의 나무 아동 합창단에 소속된 아이들로 추정.[A] [35] 음반사 콜롬비아에 소속했었던 어린이 동요 가수로, 현재는 오페라 가수로 성장했다.[36] 축제에서 여러 사람이 주거니 받거니 하며 흥겹게 부르는 합창곡 또는 노래에 맞춰 추는 춤을 말한다.[37] 신이슬은 암컷 고양이를 키운다는 이유로 참여하지 않았다.[38] 일본제국 해군 속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