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pad> {{{#!wiki style="margin:0 auto; text-align:center; border-radius:8px; word-break:keep-all; background: linear-gradient(160deg, #4B0082, #663399, #4B0082 10%, #000, #4B0082 20%, transparent 30% 70%, #4B0082 80%, #000, #4B0082 90%, #663399, #4B0082), linear-gradient(20deg, #4B0082, #663399, #4B0082 10%, #000, #4B0082 20%, transparent 30% 70%, #4B0082 80%, #000, #4B0082 90%, #663399, #4B0082), linear-gradient(0deg, #000); color:#ddd; padding:0 5px 5px; border: 1px solid #4B0082; letter-spacing: -0.5px;" [[데블스 플랜| {{{#!wiki style="margin-top:1px;display:inline-block;min-width:20%;min-height:2em"{{{#!folding [ 시리즈 ] {{{#!wiki style="margin: -10px -1px -10px" | 시리즈 | |||
| <nopad> [[데블스 플랜(시즌 1)| 시즌 1 (2023)]] | <nopad> [[데블스 플랜: 데스룸| 시즌 2 (2025)]] | [[데블스 플랜(시즌 3)| 시즌 3 (2026)]] | }}}}}}}}}{{{#!wiki style="margin-top:1px;display:inline-block;min-width:25%;min-height:2em" {{{#!folding [ 플레이어 ] {{{#!wiki style="margin: -10px -1px -10px" | <nopad> 시즌 1 |
| <bgcolor=#201C16> 시즌 2 | ||||
| 시즌 3 | ||||
- [ 에피소드 ]
- [ 관련 문서 ]
- ||<tablebgcolor=#1c1d1f><bgcolor=#16134F><tablewidth=100%><width=10000><nopad>데블스 플랜||
공개 전 정보 · 참가 플레이어 · 에피소드 목록 · 게임 규칙 · 진행 결과 · 평가 및 반응 · 여담 · 제작진 <bgcolor=#201C16>데블스 플랜: 데스룸 공개 전 정보 · 참가 플레이어 · 에피소드 목록 · 게임 규칙 · 진행 결과 · 평가 및 반응 · 여담 · 제작진 시즌 3 공개 전 정보 · 참가 플레이어 · 에피소드 목록 · 게임 규칙 · 진행 결과 · 평가 및 반응 · 여담 · 제작진 기타 틀 · 넷플릭스 · TEO · 정종연 · 스페이스카우보이 · 벽바둑
1. 개요
데블스 플랜(시즌 1)의 7일차 내용 및 진행 과정을 정리한 문서. 본편 12화 분량에 해당한다.2. 게임 시작 전
생활동은 어느덧 두 사람만 남아 고요한 아침을 맞이한다. 아침 식사 자리에서 궤도는 스트레스 때문인지 코피를 흘렸다고 밝힌다. 하석진은 첫날에 비해서 조촐해진 식사 구성을 보고, 둘 모두 탈락자들과 빨리 재회하길 원한다. 규정 상 개인 물품으로 전자기기 반입이 불가능하기에, 하석진은 카메라도 없어 하나도 기록할 만한 걸 남기지 못한 게 아쉽다고 한다. 시간은 9시 30분, 메이크업을 위해 각자 방으로 들어가고 지난 1일차부터 개인 인터뷰와 행적이 회상된다.| 궤도: "형은 조용히 좀 이끄는 캐릭터. 그 다음에 굉장히 말을 아낍니다. 제가 뭔가 제 철학을 바탕으로 뭔가를 열심히 해낼 때, 형도 아마 형의 철학을 바탕으로 꾸준히 해 왔던 거 같아요. 이런 플레이어가 되게 두렵죠. 저는." 석진: "궤도는 처음 해 보는 게임을 본인이 마치 여러 번 해본 것 처럼 예상해 보는 능력 같은 게 되게 훌륭한 거 같아요. 게임의 특성을 파악하는 능력. 미리 어떤 코딩을 하고 방정식을 만들면서 하는 스타일이라서, 오늘도 아마 그런 능력이 발휘되지 않을까 싶고. 단점이라면 자기가 실수했을 때 그 실수에 대해서 조금 예민한 반응을 하는 부분이 조금 있긴 하더라고요." 궤도: "어떻게 보면 이 출연진 중에 가장 나이 든 두 사람에 가까운 시니어급 둘이 이제 결승에 올라왔습니다. 40대들에게도 희망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우리도 뭔가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있다." 석진: "감정적으로 휘둘리지 않는 것도 제가 나이가 들면서 세상과 실제로 겨뤄 가면서 어떨 때 내가 마음을 좀 숨겨야 하는지에 대해서 살면서 배운 것들이 저거 때문에 내가 살아남았나 싶었어요." - 결승전 상대를 바라보는 두 사람의 인터뷰 |
이후 탈락자들이 순서에 맞춰 생활동으로 입장한다.[1] 각자 하고 싶었던 말과 탈락 이후에 나온 게임에 대한 이야깃거리, 응원 들을 하며 다시 생활동이 첫날과 같이 가득해진다. 첫 만남 때처럼 소파에 앉아 돌아가며 자기 소개를 한다.
다같이 식사를 하며 이야기를 나누던 중, 승관이 다른 참가자들의 성대모사를 기가 막히는 재현을 보여줘 웃음바다를 만든다.
어느덧 시간이 다 되어 게임동으로 향하는 문이 열린다. 이전과 달리 매우 화려한 조명이 비추는 통로를 지나 두 사람은 게임동에 도착하고, 마지막 승부가 시작된다.
| 안녕하세요. 결승전까지 무사히 생존하신 두 분 축하드립니다. 그럼 '데블스 플랜' 결승전을 시작하겠습니다. |
3. 결승전
||<tablebordercolor=#8B0000><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Final Match
결승전
||결승전
| <colbgcolor=#FFF><colcolor=#000,#fff><nopad> RULE |
| 1. 결승전은 세 개의 게임으로 진행되며, 피스가 더 많은 플레이어는 모든 게임에서 베네핏을 가진다.
|
| 우승 상금 250,000,000원 |
3.1. 1회전: 나인 멘스 모리스
||<tablebordercolor=#8B0000><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Final Match 1st
나인 멘스 모리스
Nine Mens Moris
||나인 멘스 모리스
Nine Mens Moris
| <nopad> RULE |
1. <나인 멘스 모리스>는 게임판 위 직선으로 이어진 점 3곳에 자신의 말 3개를 놓아 상대 플레이어의 말을 잡아야 하는 게임이다.
|
3.1.1. 추가 정보 및 전략
나인 멘스 모리스의 핵심은 '밀(Mil, 세 말이 한 줄을 이루는 상태)'을 반복해서 만들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내는 것과, 상대 말이 3개가 되기 전에 상대의 말을 모두 막아서 이동불능으로 만드는 것이다.나인 멘스 모리스의 판 구조를 보면 말의 이동에 제약이 많다. 특히 각 사각형의 꼭짓점은 다른 사각형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말을 몰아넣고 막아버리기 좋은 구조이다.
3.1.2. 게임 진행
- 1라운드 (하석진 - 궤도)
| 턴 | 하석진 | 궤도 | 남은 말 |
| 선공 / 백돌 | 후공 / 백돌 | 9:9 | |
| 말 놓기 단계 | |||
| 1 | D6 | F4 | 9:9 |
| 2 | D5 | D7 | 9:9 |
| 3 | C4 | C5 | 9:9 |
| 4 | D2 | G4 | 9:9 |
| 5 | E4 | G7 | 9:9 |
| 6 | A7 | G1 G1-G4-G7/xD2 | 8:9 |
| 7 | A4 | A1 | 8:9 |
| 8 | B4 A4-B4-C4/xA1 | A1 | 8:8 |
| 9 | D1 | D2 | 8:8 |
| 이동 단계 | |||
| 10 | B4-B6 | D2-F2 | 8:8 |
| 11 | B6-B4 A4-B4-C4/xF4 | G4-F4 | 8:7 |
| 12 | B4-B2 | F4-G4 G1-G4-G7/xC4 | 7:7 |
| 13 | E4-F4 | F2-D2 | 7:7 |
| 14 | B2-B4 | C5-C4 | 7:7 |
| 15 | B4-B6 | C4-B4 | 7:7 |
| 16 | F4-F6 B6-D6-F6/xD7 | G7-D7 | 7:6 |
| 17 | D5-E5 | D7-G7 G1-G4-G7/xD1 | 6:6 |
| 18 | E5-D5 | D2-D1 A1-D1-G1/xD5 | 5:6 |
| 19 | D6-D7 | B4-C4 | 5:6 |
| 20 | D7-D6 B6-D6-F6/xC4 | D1-D2 | 5:5 |
| 21 | A7-D7 | G4-F4 | 5:5 |
| 22 | D6-D5 | F4-G4 G1-G4-G7/xD7 | 4:5 |
| 23 | D5-D6 B6-D6-F6/xD2 | G4-F4 | 4:4 |
| 24 | A4-B4 | F4-G4 G1-G4-G7/xB4 | 3:4 |
| 25 | B6-D1 | A1-A4 | 3:4 |
| 26 | F6-D2 | A4-B4 | 3:4 |
| 27 | D2-F4 | B4-B2 | 3:4 |
| 28 | D6-D2 | B2-B4 | 3:4 |
| 29 | D2-B2 | B4-C4 | 3:4 |
| 30 | D1-D2 | C4-C3 | 3:4 |
| 31 | D2-D3 | C3-C4 | 3:4 |
| 32 | B2-D1 | C4-C3 | 3:4 |
| 33 | F4-D2 D1-D2-D3/xC3 | G7-F4 | 3:3 |
| 편집됨 | |||
- 2라운드
| 턴 | 궤도 | 하석진 | 남은 말 |
| 선공 / 백돌 | 후공 / 백돌 | 9:9 | |
| 말 놓기 단계 | |||
| 1 | F4 | D2 | 9:9 |
| 2 | D6 | F6 | 9:9 |
| 3 | B2 | E4 | 9:9 |
| 4 | D5 | D7 | 9:9 |
| 5 | C4 | A4 | 9:9 |
| 6 | C5 | E5 | 9:9 |
| 7 | C3 C3-C4-C5/xD7 | D7 | 9:8 |
| 8 | E3 | D3 | 9:8 |
| 9 | D1 | A1 | 9:8 |
| 이동 단계 | |||
| 10 | B4-B6 | D7-A7 A1-A4-A7/xE3 | 8:8 |
| 11 | D6-D7 | F6-D6 | 8:8 |
| 12 | F4-F6 | A4-B4 | 8:8 |
| 13 | D1-G1 | A1-D1 xB6 | 7:8 |
| 14 | F6-F4 | D2-F2 | 7:8 |
| 15 | D7-G7 | F2-D2 xF4 | 6:8 |
| 16 | G7-D7 | D2-B2 | 6:8 |
| 17 | D7-G7 | B2-D2 xG7 | 5:8 |
| 18 | G1-G4 | D2-F2 | 5:8 |
| 19 | G4-F4 | F2-D2 xF4 | 4:8 |
- 3라운드 (하석진 - 궤도)
| 1 | d6 | f4 |
| 2 | e4 | b4 |
| 3 | d2 | a4 |
| 4 | c4 | b2 |
| 5 | b6 | f6 |
| 6 | f2 | d5 |
| 7 | d1 | d3 |
| 8 | g4 | c5 |
| 9 | e5 | a7 |
| 10 | d1-a1 | a7-d7 |
| 11 | e4-e3 | a4-a7 |
| 12 | d2-d1 | d3-d2 |
| 13 | g4-g1xd7 | b4-a4 |
| 14 | g1-g4 | a7-d7 |
| 15 | d7-a7xf4 | b2-b4 |
| 16 | f2-f4 | |
| 17 | d2-b2 | g1-g4 |
| 18 | d7-g7 g4-g1xa4 b2-d2 | |
| 19 | f4-e4xg7 f6-f4 | |
| 20 | e3-d3 b4-b2 | |
| 21 | d3-e3xd2 b2-d2 | |
| 22 | g3-d3 f4-g4 | |
| 23 | d3-e3xd2 ?5-d2 | |
| 24 | e4-f4 ?5-e4 | |
| 25 | f4-f6xg4 |
하석진의 승리가 사실상 확정됨에 따라 후반부가 편집당했는데, 두 개의 ?5 중 하나는 c5이고 다른 하나는 d5이다.
3.2. 2회전: 헥사곤
||<tablebordercolor=#8B0000><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tablecolor=#000,#fff>
Final Match 2nd
헥사곤
Hexagon
||헥사곤
Hexagon
| <nopad> RULE | ||||||||||
{{{#!wiki style="margin: -10px 0px -10px"
| ||||||||||
| <nopad> | A | B | C | <nopad> | ||||||
| <nopad> | D | E | F | G | <nopad> | |||||
| H | I | J | K | L | ||||||
| <nopad> | M | N | O | P | <nopad> | |||||
| <nopad> | Q | R | S | <nopad> | }}} 1. 라운드가 시작되면 제한 시간 30초 동안 앞면이 공개된다. 1. 제한 시간이 지나면 게임판은 뒷면으로 바뀌고, 해당 라운드의 타겟 넘버가 공개된다. 1. 플레이어들은 가로/대각선 일렬로 이어진 세 칸의 앞면에 적힌 숫자의 합이 타겟 넘버가 되는 조합을 찾아야 한다.[2] 1. 정답을 아는 플레이어는 버저를 눌러 제한 시간 10초 안에 해당되는 조합을 알파벳으로 말한다. 1. 정답이면 +1점, 오답이면 -1점을 획득한다. 해당 라운드에 이미 나온 답을 선언한 경우, 숫자로 선언한 경우, 제한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도 오답 처리한다. 1. 선언한 구역의 앞면은 공개되지 않으며, 선언된 정답 역시 별도로 표기되지 않는다. 1. 라운드 별 정답의 갯수는 공개되지 않으며, 모든 정답이 나오거나 90초간 아무도 버저를 누르지 않으면 라운드가 종료된다. 1. 게임은 총 10라운드로 진행되며, 새 라운드가 시작되면 새로운 게임판과 타겟 넘버가 공개된다. 1. 게임 종료 시 승점이 더 많은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동률일 경우, 연장 라운드를 진행한다.) 1. 피스 베네핏: 게임 시작 시 1점 획득}}} | |||||
3.2.1. 추가 정보 및 전략
'알파벳 패널을 뒤집어 정답을 맞춘다'는 구조에서 같은 숫자 찾기와 같은 그림 찾기를, '3개 구역을 지정해서 정답을 선언한다'는 구조에서 결! 합!을 연상시킨다. 전부 더 지니어스에서 3번 이상 사용된 게임이라 제작진이 각각의 한계를 보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같은 숫자 찾기의 (임윤선이 지적했던) 타겟 공개 방식을 해결하고자 딜러의 수작업에서 전광판 공개로 바뀌었으며, 같은 그림 찾기는 타일 배치로 인한 운적 요소를 제거하고자 라운드마다 전체 패널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결! 합!은 결을 넘겨주지 않으려는 플레이로 인해 90초 자동 라운드 종료 규칙을 넣었다.여러 조정 끝에 순수한 암기+연산+순발력 게임으로 바꾸는 데 성공했으나 문제는 암기 난이도가 너무 높아졌다.[3] 암기해야 할 패널은 16개에서 19개로 증가한데다가 매 라운드마다 전체 패널이 바뀌어 사실상 190개를 외워야 하는 상황이다. 선언 시 선택한 패널이나 이미 선언된 정답이 무엇인지 공개되지 않기에, 라운드 진행 중 암기를 보완할 수단도 전혀 없었다. 시청자들 사이에선 각 줄마다 합계를 암기하는 등 이런저런 전략이 제시되었으나, 사실 19개 패널을 전부 외울 정도면 필요 없다는 점(...)을 반박하지 못했다.
그리고 이번 라운드는 피스 베네핏이 꽤 크다. 라운드 대부분 정답 개수가 4개 이하였고, 이에 점수가 낮은 플레이어가 한 라운드에서 두 개 이상을 맞추기 위해서는 19개 패널 대부분을 외울 필요가 있다. 정답 개수 제한이 있어 무한정 점수를 쌓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오답일 가능성이 있는경우 말하지 않는 작전이 매우 유용하다.
정답의 개수는 미리 말해주지 않았지만 대충 어느 정도는 유추할 수 있었다. 결!합!에서 합으로 말할 수 있는 종류가 84가지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적으로 합은 5~6개 정도 존재하였고 가장 합이 많은 라운드가 12개의 합이 존재하는 라운드였다. 이번 게임은 답으로 말할 수 있는 종류가 27개 이므로[4] 평균적으로 정답의 개수가 이보다 훨씬 작음을 예측 할 수 있었다. 이에 한 라운드에 쌓을 수 있는 승점의 수엔 제한이 있고 플레이어들은 승점을 잃는 것을 경계해야했다. 정답을 맞추는 것 보다 오답을 외치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하석진의 분석은 정확했다.
3.2.2. 게임 진행
||<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nopad><rowbgcolor=#000><rowcolor=#CD5C5C> 진행 || 게임판 || 궤도 || 하석진 ||
| 0점 | 1점[피스베네핏] | |||||||||||||||||||||||||||||||||||||||||||||||||||||
| 1R |
| QRS 정답 HIJ 오답 | ADH 정답 IJK 오답 | ||||||||||||||||||||||||||||||||||||||||||||||||||||
| 0점 | 1점 | |||||||||||||||||||||||||||||||||||||||||||||||||||||
| 2R |
| NOP 정답 | ROK 정답 | ||||||||||||||||||||||||||||||||||||||||||||||||||||
| 1점 | 2점 | |||||||||||||||||||||||||||||||||||||||||||||||||||||
| 3R |
| FGL 오답 CGL 오답 | |||||||||||||||||||||||||||||||||||||||||||||||||||||
| -1점 | 2점 | |||||||||||||||||||||||||||||||||||||||||||||||||||||
| 4R |
| NOP 정답 JKL 정답 ROK 오답 JOS 오답 | JOS 정답 | ||||||||||||||||||||||||||||||||||||||||||||||||||||
| -1점 | 3점 | |||||||||||||||||||||||||||||||||||||||||||||||||||||
| 5R |
| HIJ 정답 LPS 정답 EIM 오답 CGL 오답 | AEJ 정답 | ||||||||||||||||||||||||||||||||||||||||||||||||||||
| -1점 | 4점 | |||||||||||||||||||||||||||||||||||||||||||||||||||||
| 6R |
| JKL 정답 | - | ||||||||||||||||||||||||||||||||||||||||||||||||||||
| 0점 | 4점 | |||||||||||||||||||||||||||||||||||||||||||||||||||||
| 7R |
| NOP 정답 HMQ 정답 | - | ||||||||||||||||||||||||||||||||||||||||||||||||||||
| 2점 | 4점 | |||||||||||||||||||||||||||||||||||||||||||||||||||||
| 8R |
| HMQ 정답 | IJK 정답 | ||||||||||||||||||||||||||||||||||||||||||||||||||||
| 3점 | 5점 | |||||||||||||||||||||||||||||||||||||||||||||||||||||
| 9R |
| EFG 정답 GKO 정답 NJF 정답 | HIJ 정답 | ||||||||||||||||||||||||||||||||||||||||||||||||||||
| 6점 | 6점 | |||||||||||||||||||||||||||||||||||||||||||||||||||||
| 10R |
| DEF 오답 | AEJ 정답 | ||||||||||||||||||||||||||||||||||||||||||||||||||||
| 5점 | 7점 | |||||||||||||||||||||||||||||||||||||||||||||||||||||
===# 3회전: 주사위 포커 #===
||<tablebordercolor=#8B0000><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Final Match 3rd
주사위 포커
Dice Poker
||주사위 포커
Dice Poker
| <colbgcolor=#FFF><colcolor=#000,#fff><nopad> RULE |
| (게임 규칙 미확인) |
1,2회전 결과 2:0으로 게임이 종료되어 자동적으로 등장하지 못했다.
하석진의 QnA에서 밝히길, 회식자리에서 제작진이 대략적인 규칙을 참가자들에게 알려줬다고 한다. 세부적인 사항은 불명이지만 '탈락자들의 개입이 가능한 게임'이었다고. 하석진은 '더 지니어스 결승전에서도 탈락자의 아이템 지원이 있었다'며 탈락자의 개입에 대해서 별달리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지 않았다. 결승전 전체 룰에서 '심리전 게임'이라는 데블의 언급을 보아 베팅 가위바위보 같은 정치+심리 게임으로 추정된다.
시즌 2 종영 이후에도 게임 규칙은 밝혀지지 않았다.
4. 최종 결과
||<-3><tablebordercolor=#8B0000><tablealign=center><tablewidth=500><tablebgcolor=#fff>
Final Match Results
최종 결과
||최종 결과
| 궤도 | 게임 | 하석진 |
| 패배 | 1회전: 나인 멘스 모리스 | 승리 |
| 패배 | 2회전: 헥사곤 | 승리 |
| 미진행 | 3회전: | 미진행 |
| 준우승 | 최종 결과 | 우승 |
| {{{#!wiki style="margin: 10px" |
4.1. 엔딩
| 제가 우승한 게 아니라 우리 모두가 다 우승했다고 생각을 하고 그냥 마지막에 그중에 대표로 저희가 대결하는 모습을 보여 줬다라고 생각을 해요. 승부는 났으니까 저는 이대로 기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우승자 하석진 소감 |
| 동재: 데블스 플랜은 진짜 작은 사회 같은 느낌? 석진: 정말 훌륭한 인격체이자 브레인들이 모여서 사는 하나의 마을 같은 연우: 와, 인생에는 또 이렇게 다양한 사람들이 있고 동주: 사람의 본성을 건드리는 석진: 그걸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고 궤도: 연합을 만들긴 했어도 서로 헐뜯고 타인과 교류를 하지 않고 누구 하나 그런 사람이 없었어요 승관: 사람의 따뜻함도 느꼈고 경림: 좋은 사람들과 행복한 시간을 만들어서 너무 좋고 시원: 값지고 다양한 경험을 하고 기욤: 좋은 사람들 많이 만나게 돼서 추억이 돼 버렸어요 유민: 이 게임은 끝났지만 앞으로도 좋은 인연으로 남았으면 좋겠어요 준빈: 이게 내 집이지. 내가 어딜 가 승관: 경쟁을 이렇게 멋있게 담아낼 수 있을까 하는 프로그램인 거 같아요 기욤: 많이 배웠고 많이 재밌었고 혜성: 제가 한 뼘 더 성장할 수 있는 기회였던 거 같아요 동재: 저를 성장할 수 있게 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유민: 지금 드는 생각은 너무 행복하고 궤도: 너무 행복했고 동재: 제가 있는 어떤 공간보다 제일 행복했던 거 같아요 데블스 플랜이 준빈: 이 꿈같은 일주일을 어떻게 이제 잊어 갈 것인가 참 걱정이 많이 됩니다 석진: 진짜 인생을 알고 갑니다. 출연자로서 - 참가자들의 마지막 소감 |
5. 에피소드 평가
서사적인 측면에선 완성도가 높은 마무리였다. 게임 시작 전 각 플레이어들의 인터뷰에서 드러나듯 '공리주의를 원하는 다수 연합의 리더'와 '실력주의를 바라는 소수 연합의 언더독'의 대결 구도로, 상이한 철학으로 대립하는 두 사람의 승부가 매력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정작 경기에서 크게 호평받을 부분을 보여주지 못했다. 1일차부터 지속적으로 두뇌 게임이란 제목이 무색한, 참가자들의 부진한 실력 문제를 끝내 벗어나지 못한 마무리였다.1회전은 첫날부터 선공개된 추상전략게임으로 참가자들의 연습 실력을, 2회전은 참가자들의 순수한 두뇌 능력(암기,연산)을 가리는 경기였다. 3회전은 자세한 규칙이 공개되지 않았으나 작중 설명과 비하인드를 통해 심리전과 정치력을 가리는 경기로 추측할 수 있다. 각 게임 모두 피스가 많은 쪽에게 작은 베네핏을 제공해 전체적인 게임 성적이 더 우수한 쪽에게 유리함을 제공하려 했다.[6]
각기 다른 능력을 요구하며, 피스 베네핏도 납득할 수 있는 의도였으나, 정작 플레이어들의 수준 낮은 경기로 인해 게임 밸런스가 더욱 나빠졌다. <나인 멘스 모리스>는 두 플레이어 모두 연습을 별로 안 한 게 티가 나는 착수 실수가 자주 잡혔으며, <헥사곤>은 단 한 번도 모두 정답을 찾은 라운드가 없을 정도로 기억력이 부진했다.
작중 발언과 비하인드를 통해 궤도가 전날부터 몸 상태가 좋지 못했고, 이것이 부진한 경기로 이어졌음이 확인된다. 전날 하석진이 새벽부터 히든 스테이지에 도전하고, 메인매치에서 오랜 시간 장기전을 거치고도 승리한 상황과는 대조된다. 결국 결승전의 승패를 가른 건 정신력과 체력 관리라는 점에서 두뇌 게임이란 제목이 무색해졌다. 또한 참가자들의 화기애애한 모습으로 엔딩을 장식했는데, '게임으로 참가자들을 타락시키려는 악마의 계획이 실패했다'고 해석되며 혹평을 받았다.
6. 여담
- 역대 두뇌 게임 서바이벌 프로그램 중, '3판 2선승제 + 1:1 승부' 구성에서 처음으로 탈락자 관전자가 전혀 개입하지 않는 경기가 되었다.
- 주사위 포커의 규칙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이를 제외하면 운/정치 요소가 전혀 들어가지 않은 결승전이기도 하다.
[1] 기욤 / 이혜성,김동재 / 조연우,이시원 / 박경림,승관,서유민,곽준빈 / 서동주. 탈락한 일자별로 동시에 입장했다. 다만 서동주는 3위이기에 나름대로 대우를 한 것인지, 한꺼번에 5명이 동시에 들어오면 혼잡할 걸 예상했는지 따로 입장했다.[2] 작중에서 방향까지 정확하게 맞혀야 하는지는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정답 유무와 상관없이 방향을 정확히 맞춰서 선언하는 것을 보면 가운데 위치한 알파벳을 먼저 부를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정답이 ABC라면 CBA로 불러도 되지만, BCA나 ACB처럼 가운데 놓인 알파벳의 위치를 바꿔서 부를 수 없다.)[3] 정확히는 암기 자체는 충분히 가능하나, 헥사곤은 암기한 정보를 떠올려서 다시 계산을 해내야 한다는 점과 육각형 구도가 난이도를 높였다.[4] 오히려 단일 숫자 대신 계산 결과를 외우는 것도 방법이다. 물론 30초 안에 27개 조합을 모두 계산 및 암기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지만, 일부만 외운 후 해당 범위 내에서 답이 나온다면 안정적으로 승점을 얻을 수 있다.[피스베네핏] 피스를 더 많이 보유하여 승점 1점으로 시작한다.[6] 이는 시즌 2 이후 정종연 PD의 인터뷰 통해 '전반적인 게임 성적'에 중점을 둔 사실이 검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