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pad> {{{#!wiki style="margin:0 auto; text-align:center; border-radius:8px; word-break:keep-all; background: linear-gradient(160deg, #4B0082, #663399, #4B0082 10%, #000, #4B0082 20%, transparent 30% 70%, #4B0082 80%, #000, #4B0082 90%, #663399, #4B0082), linear-gradient(20deg, #4B0082, #663399, #4B0082 10%, #000, #4B0082 20%, transparent 30% 70%, #4B0082 80%, #000, #4B0082 90%, #663399, #4B0082), linear-gradient(0deg, #000); color:#ddd; padding:0 5px 5px; border: 1px solid #4B0082; letter-spacing: -0.5px;" [[데블스 플랜| {{{#!wiki style="margin-top:3px;display:inline-block;min-width:20%;min-height:2em"{{{#!folding [ 시리즈 ] {{{#!wiki style="margin: -2px -1px 0" | 시리즈 | |||
<nopad> 데블스 플랜 | <nopad> 데블스 플랜: 데스룸 | 데블스 플랜3 | }}}}}}}}}{{{#!wiki style="margin-top:3px;display:inline-block;min-width:25%;min-height:2em" {{{#!folding [ 플레이어 ] {{{#!wiki style="margin: -2px -1px 0" | <nopad> 데블스 플랜 |
<bgcolor=#201C16> 데블스 플랜: 데스룸 | ||||
시즌 3 | ||||
- [ 줄거리 ]
- [ 관련 문서 ]
- ||<tablebgcolor=#1c1d1f><bgcolor=#16134F><tablewidth=100%><width=10000><nopad>데블스 플랜||
공개 전 정보 · 참가 플레이어 · 에피소드 목록 · 게임 규칙 · 진행 결과 · 평가 및 반응 · 여담 · 제작진 <bgcolor=#201C16>데블스 플랜: 데스룸 공개 전 정보 · 참가 플레이어 · 에피소드 목록 · 게임 규칙 · 진행 결과 · 평가 및 반응 · 여담 · 제작진 시즌 3 공개 전 정보 · 참가 플레이어 · 에피소드 목록 · 게임 규칙 · 진행 결과 · 평가 및 반응 · 여담 · 제작진 기타 틀 · 넷플릭스 · TEO · 정종연 · 스페이스카우보이 · 벽바둑
1. 개요
데블스 플랜: 데스룸의 게임 규칙 및 정보를 정리한 문서.2. 게임 규칙
- 데블스 플랜은 총 14명의 참가 플레이어가 6박 7일동안 진행하는 특별한 게임이다. 모든 메인 매치가 끝난 후 피스 보유량 1, 2위가 결승전에 진출하며, 결승전에서 승리한 플레이어가 최종 우승자가 된다.
- 피스: 데블스 플랜의 게임 화폐. 플레이어 전원에게 기본적으로 1개가 제공된다. 각각의 게임 성과에 따라 얻을 수도 있고 잃을 수도 있다. 피스는 게임을 유리하게 만드는 아이템을 구매하는 데 사용하거나, 서로 간의 협상, 거래에도 이용할 수 있다. 게임 진행 중 피스를 모두 상실한 플레이어는 그 즉시 탈락한다. 플레이어 간의 피스 양도는 생활동과 감옥동 각각의 거주 공간에서만 가능하다. 즉, 메인 매치와 감옥 매치가 진행되는 게임동과 데스룸에서는 양도가 불가능하다.
앞면 뒷면 - 메인 매치: 낮에 진행되는 경쟁 게임으로, 생존한 모든 플레이어가 참가하고 게임 결과에 따라 피스를 획득 또는 상실한다.
- 상금 미션: 각 메인 매치마다 게임 과정에서 성공해야 하는 상금 미션이 다르게 주어지며, 상금 미션에 성공하면 상금을 획득할 수 있다. 게임 시작 시 최종 상금은 0원으로, 상금 최대 한도는 5억 원이다.
- 생활동과 감옥동: 메인 매치 결과 변동된 피스 개수를 기준으로, 탈락자를 제외한 피스 개수 상위 절반의 플레이어는 생활동으로 가며 하위 절반의 플레이어들은 감옥동으로 이동한다. 모든 플레이어들은 다음 날 메인 매치 전까지 각자의 생활 공간을 벗어날 수 없다.
- 인원이 홀수일 경우 감옥동에 1명이 추가로 이동한다.
- 만약 플레이어들의 피스 보유량이 같아 인원을 절반으로 나눌 수 없는 경우, 피스가 가장 많은 플레이어가 감옥동에 이동할 플레이어를 결정한다. 가장 많은 플레이어가 여럿이라면 합의로 정한다.
- 감옥동에 수감될 경우, 개인 물품을 소지할 수 없다.[1]
- 감옥 매치: 저녁에 감옥동에 간 모든 플레이어를 대상으로 하는 게임으로, 게임 결과 최하위 1인은 탈락한다.
- 감옥 매치의 규칙은 저녁 8시 정각에 공개되며, 30분의 전략 준비 시간 이후 게임을 진행한다.
- 감옥 매치의 규칙과 게임 진행 과정은 생활동에도 실시간으로 공개된다.
- 탈락자가 소유했던 피스는 소멸한다.
- 플레이어들에게는 배신, 거짓말 등 어떠한 계획이나 전략도 허용된다. 단, 폭력과 절도는 허용하지 않는다.
2.1. 추가 정보 및 규칙
- 생활동과 감옥동에는 두 가지 보드게임이 제공된다. 하나는 2~4인용 게임인 '벽바둑', 다른 하나는 1인용 게임인 '기사의 여행'이다.
{{{#!folding 스포일러 [ 펼치기 / 접기 ]
- 시즌 1에서는 피스의 모양이 3가지로 달랐으나, 이번 시즌에서는 전부 동일한 모양이다.
- 게임 서바이벌에서 매번 화두에 오르는 '소품의 훼손(마킹) 및 분실' 사항은 게임 규칙에서 명확하게 언급되어 있으며[2], 감옥동 이동과 데스룸 진출 시 '개인 물품 소지(=필기도구) 금지' 규칙을 통해 재차 방지했다.[3]
이외 추측 및 떡밥 대한 자세한 내용은 데블스 플랜: 데스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블스 플랜: 데스룸#s-|]]번 문단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블스 플랜: 데스룸#추측 및 떡밥|추측 및 떡밥]] 부분을
3. 스튜디오
3.1. 게임동
| |
- 메인 매치 진행 중에만 출입이 가능한 공간이다. 플레이어들은 메인 매치가 끝날 때까지 게임동을 벗어날 수 없다.
- 서바이벌 게임이 인류 역사에서 전근대적인 요소를 갖고 있다고 생각해 중세 버려진 수도원 같은 느낌을 내었다고 한다.
- 화장실은 2명 이상이 동시에 들어갈 수 없는 구조로 만들었으며, 반드시 한 명씩 입장하였다.
- 게임동의 방은 부엌, 회의실, 와이너리, 창고로 구성되었다.
3.2. 생활동
|
- 게임 진행 결과 상위 플레이어들이 생활하는 공간이다. 남녀를 구분해 최고급 자재를 이용한 침대와 수납공간, 세면과 샤워, 화장실 공간 등을 구성했다고 한다.
- 거울은 평면경으로 바뀌었으며, 뒤에는 방송 녹화를 위한 카메라가 있다.
- 플레이어들이 게임하러 나가면 스태프들이 생활동을 청소한 뒤 모든 짐을 붙박이장에 넣어놓고, 게임이 끝나면 방배정을 빠르게 했다고 한다. 언제 누가 떨어질지 모르기에 짐 옮기기를 편히 할 수 있도록 붙박이장도 통으로 설치했다고.[4]
- 침실은 2인실 2개와 3인실 1개로 구성됐다. 성별비를 고려할 때 황금 비율이라고 생각하여 진행했다고 한다.[5]
- 지난 시즌에서 랍스타가 제공되는 등 상당히 호화로운 식사가 제공된 것과 달리 이번엔 그런 장면이 보이질 않는데, 갑각류 알레르기를 가진 참가자가 있어서 랍스타는 제공하지 못했다고 한다.
- {{{#!wiki
<colbgcolor=#201C16><colcolor=#fff> 일자별 생활동 거주 플레이어 (당일 메인매치 종료 기준) | |||
DAY1 |
| ||
DAY2 |
| ||
DAY3 |
| ||
DAY4 |
| ||
DAY5 |
| ||
DAY6 |
| }}}3.3. 감옥동 | |
- 시즌 1의 '감옥'이 확장된 개념으로 게임 진행 결과 하위 플레이어들이 생활하는 공간이다.
- 감옥동 거주 공간에 플레이어들은 어떠한 개인 물품도 지참할 수 없으며, 간수의 통제 아래 기본적인 숙식만 제공된다.
- 최대 수용 인원은 7명으로 제한된다. 감옥동에 오면 입을 수 있는 옷이 별도로 있으며, 남녀 화장실에 샤워 시설이 구비되어 있다고 한다.
- {{{#!wiki
<colbgcolor=#201C16><colcolor=#fff> 일자별 감옥동 거주 플레이어 (당일 메인매치 종료 기준) | ||||
DAY1 |
| |||
DAY2 |
| |||
DAY3 |
| |||
DAY4 |
| |||
DAY5 |
| |||
DAY6 |
| }}}3.3.1. 데스룸 | | |
- 감옥동 안에 위치한 별도의 공간으로 탈락자가 결정되는 감옥매치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즉, 본작에서 부활한 데스매치가 치러지는 공간인데, 과거 1:1 매치와 달리 감옥동에 들어온 여러 명이 진행한다.
- 이글루가 연상되는 돔 형태로 지어졌으며, 모든 면이 거울로 설계됐다고 한다. 거울의 의미는 결국 '나와의 싸움'이라는 느낌을 주기 위함이었다고.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일자별 감옥매치 탈락자 | |||||
<rowcolor=#FFC370> DAY1 | DAY2 | DAY3 | DAY4 | DAY5 | DAY6 |
[1] 이 개인 물품은 기본 제공되는 노트와 팬 같이 기본 제공되는 필기도구는 물론 먹고 있던 음식(...)마저 포함된다.[2] '소품을 분실할 경우 재지급하지 않는다.', '소품을 변형해서는 안 된다'.[3] 방영 시기 상 피의 게임3의 규칙 관련 논란을 의식한 게 아니냐는 시청자들의 추측이 있으나, 촬영 기간 상 피의 게임을 의식했다고 볼 수는 없다. 또한 '소품 훼손 금지', '암기 게임에서 필기도구 사용 금지'는 더 지니어스 시절부터 꾸준히 명시하고 유지되었던 사항이다. 즉, 피겜 진행이 수준 미달인거다[4] 시즌 1 당시 메인매치 탈락자가 생활동에서 직접 짐을 정리하며 생존한 플레이어들과 작별 인사를 나눌 시간이 제공되었고, 이 과정에서 눈물을 흘리는 감정적인 상황이 나와 시청자들의 호불호는 물론 경쟁이라는 취지를 퇴색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5] 성별이 6:1 구도가 되지 않는 이상 성별대로 방을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촬영 중에는 1일차에 하마터면 성비가 6:1이 될 뻔해서 나누기 까다로워질 뻔했고 이세돌이 생존권을 강지영에게 양도하며 성비가 5:2가 되어 한숨을 돌릴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