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릭 리 Derrek Lee | |
본명 | 데릭 리온 리 Derrek Leon Lee |
출생 | 1975년 9월 6일 ([age(1975-09-06)]세) |
캘리포니아 주 새크라멘토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엘 카미노 펀더멘탈 고등학교 |
신체 | 196cm / 111kg |
포지션 | 1루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1993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4번, SD) |
소속팀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1997) 플로리다 말린스 (1998~2003) 시카고 컵스 (2004~2010) 애틀란타 브레이브스 (2010) 볼티모어 오리올스 (2011) 피츠버그 파이리츠 (2011) |
가족 | 부친 레온 리, 백부 레론 리 |
[clearfix]
1. 개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약한 내야수로, 포지션은 1루수다.2. 연도별 성적
데릭 리의 역대 MLB 기록 | ||||||||||||||||||
<rowcolor=#ffffff>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1997 | SD | 22 | 63 | 14 | 3 | 0 | 1 | 9 | 4 | 0 | 9 | 24 | .259 | .365 | .370 | .735 | 0.3 | 0.3 |
<rowcolor=#ffffff>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1998 | FLA | 141 | 513 | 106 | 29 | 1 | 17 | 62 | 74 | 5 | 47 | 120 | .233 | .318 | .414 | .732 | 0.5 | 0.8 |
1999 | 70 | 236 | 45 | 9 | 1 | 5 | 21 | 20 | 2 | 17 | 70 | .206 | .263 | .326 | .588 | -0.8 | -0.9 | |
2000 | 158 | 546 | 134 | 18 | 3 | 28 | 70 | 70 | 0 | 63 | 123 | .281 | .368 | .507 | .875 | 1.8 | 2.0 | |
2001 | 158 | 625 | 158 | 37 | 4 | 21 | 83 | 75 | 4 | 50 | 126 | .282 | .346 | .474 | .820 | 1.9 | 2.1 | |
2002 | 162 | 688 | 157 | 35 | 7 | 27 | 95 | 86 | 19 | 98 | 164 | .270 | .378 | .494 | .872 | 3.5 | 3.0 | |
2003 | 155 | 643 | 146 | 31 | 2 | 31 | 91 | 92 | 21 | 88 | 131 | .271 | .379 | .508 | .888 | 3.8 | 2.9 | |
<rowcolor=#ffffff>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2004 | CHC | 161 | 688 | 168 | 39 | 1 | 32 | 90 | 98 | 12 | 68 | 128 | .278 | .356 | .504 | .860 | 2.8 | 2.7 |
2005 | 158 | 691 | 199 | 50 | 3 | 46 | 120 | 107 | 15 | 85 | 109 | .335 | .418 | .662 | 1.080 | 7.0 | 7.7 | |
2006 | 50 | 204 | 50 | 9 | 0 | 8 | 30 | 30 | 8 | 25 | 41 | .286 | .368 | .474 | .842 | 0.7 | 0.8 | |
2007 | 150 | 650 | 180 | 43 | 1 | 22 | 91 | 82 | 6 | 71 | 114 | .317 | .400 | .513 | .913 | 3.3 | 3.5 | |
2008 | 155 | 698 | 181 | 41 | 3 | 20 | 93 | 90 | 8 | 71 | 119 | .291 | .361 | .462 | .823 | 2.4 | 1.9 | |
2009 | 141 | 615 | 163 | 36 | 2 | 35 | 91 | 111 | 1 | 76 | 109 | .306 | .393 | .579 | .972 | 5.2 | 5.4 | |
<rowcolor=#ffffff>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2010 | CHC/ATL | 148 | 626 | 142 | 35 | 0 | 19 | 80 | 80 | 1 | 73 | 134 | .260 | .347 | .428 | .774 | 1.4 | 1.5 |
<rowcolor=#fdb827>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2011 | BAL/PIT | 113 | 477 | 116 | 17 | 2 | 19 | 55 | 59 | 2 | 33 | 110 | .267 | .325 | .446 | .771 | 0.8 | 0.9 |
MLB 통산 (15시즌) | 1942 | 7963 | 1959 | 432 | 30 | 331 | 1959 | 1078 | 104 | 874 | 1622 | .281 | .365 | .495 | .859 | 34.4 | 34.6 |
3. 기타
- 그의 아버지인 레온 리는 NPB에서 활약하며 1970~1980년대를 풍미했던 선수고, 큰아버지인 레론 리[1]도 1977년부터 1987년까지 롯데 오리온즈에서만 뛰었던 장수 외국인 선수였다.
- 아버지인 레온 리가 한국과 인연이 있는데, 시카고 컵스에서 최희섭을 스카웃한 스카우터가 레온 리였고, NC 다이노스가 막 신설됐을 때 레온 리가 NC의 감독 후보 중 한명이었다.[2]
- 2017년 입후보한 명예의 전당 투표에서는 단 한 표도 얻지 못하고 그대로 광탈했다.
- 2005년에 커리어 하이를 맞은 덕분에 마구마구에서 사기스탯을 받았다. 파/컨이 무려 83/78이었다.
- MLB에서 1루 말고는 어떠한 포지션에서도 수비를 해보지 않았다. 지명타자조차 거의 해본 적 없이 1루에서만 뛰었다.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2f241d>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969년 ~ | ||||
1969 랜디 엘리엇 좌익수 / 전체 24번 | 1970 마이크 아이비 포수 / 전체 1번 | 1971 제이 프랭클린 투수 / 전체 2번 | 1972 데이브 로버츠 3루수 / 전체 1번 | 1973 데이브 윈필드 투수 / 전체 4번 | |
1974 빌 알몬 유격수 / 전체 1번 | 1975 마이크 렌츠 투수 / 전체 2번 | 1976 밥 오우친코 투수 / 전체 5번 | 1977 브라이언 그리어 외야수 / 전체 8번 | 1978 앤디 호킨스 투수 / 전체 5번 | |
1979 조 랜스포드 1루수 / 전체 14번 | 1979[1] 밥 게런 포수 / 전체 24번 | 1980 제프 파이번 외야수 / 전체 5번 | 1981 케빈 맥레이놀즈 외야수 / 전체 6번 | 1981[2] 프랭크 카스트로 포수 / 전체 26번 | |
1982 지미 존스 투수 / 전체 3번 | 1983 레이 헤이워드 투수 / 전체 10번 | 1984 셰인 맥 외야수 / 전체 11번 | 1984[3] 게리 그린 유격수 / 전체 27번 | 1985[4] 조이 코라 유격수 / 전체 23번 | |
1986 토마스 하워드 외야수 / 전체 11번 | 1987 케빈 가너 투수 / 전체 10번 | 1988 앤디 베네스 투수 / 전체 1번 | FA 브루스 허스트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90[5] 로비 베켓 투수 / 전체 25번 | |
1990[5] 스캇 샌더스 투수 / 전체 32번 | FA 크레이그 레퍼츠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91 조이 해밀턴 투수 / 전체 8번 | 1991[7] 페퍼 앤서니 투수 / 전체 31번 | FA 커트 스틸웰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
1993 데릭 리 1루수 / 전체 14번 | 1994 더스틴 허만슨 투수 / 전체 3번 | 1995 벤 데이비스 포수 / 전체 2번 | 1996 맷 할로란 유격수 / 전체 15번 | 1997 케빈 니콜슨 유격수 / 전체 27번 | |
1998 션 버로우스 3루수 / 전체 9번 | 1999[8] 빈스 페이슨 외야수 / 전체 20번 | 1999 게릭 백스터 투수 / 전체 28번 | 1999[9] 오마 오티즈 투수 / 전체 29번 | 1999[8] 케이시 번스 투수 / 전체 41번 | |
1999[9] 마이크 바이넘 투수 / 전체 49번 | 1999[12] 닉 트제스니악 포수 / 전체 51번 | 2000 마크 필립스 투수 / 전체 9번 | 2001 제이크 고트리오 3루수 / 전체 14번 | 2002 칼리 그린 유격수 / 전체 13번 | |
2003 팀 스토퍼 투수 / 전체 4번 | 2004 맷 부시 유격수 / 전체 1번 | 2005 세자르 카리요 투수 / 전체 18번 | 2005[13] 시저 라모스 투수 / 전체 35번 | 2006 맷 안토넬리 3루수 / 전체 17번 | |
2006[14] 카일러 버크 외야수 / 전체 35번 | 2007 닉 슈미트 투수 / 전체 23번 | 2007[15] 켈렌 컬바키 외야수 / 전체 40번 | 2007[16] 드류 컴벌랜드 유격수 / 전체 46번 | 2007[17] 미치 칸함 포수 / 전체 57번 | |
2007[18] 코리 룹크 투수 / 전체 63번 | 2007[19] 대니 페인 외야수 / 전체 64번 | 2008 앨런 다익스트라 1루수 / 전체 23번 | 2008[20] 제프 데커 외야수 / 전체 42번 | 2008[21] 로건 포사이드 3루수 / 전체 46번 | |
2009 도노반 테이트 중견수 / 전체 3번 | 2010 투수 / 전체 9번 | 2011[22] 코리 스판젠버그 2루수 / 전체 10번 | 2011 조 로스 투수 / 전체 25번 | 2011[23] 마이클 켈리 투수 / 전체 48번 | |
2011[24] 포수 / 전체 54번 | 2011[25] 제이스 피터슨 유격수 / 전체 58번 | 2012 맥스 프리드 투수 / 전체 7번 | 2012[26] 잭 에플린 투수 / 전체 33번 | 2012[27] 트래비스 잰카우스키 외야수 / 전체 44번 | |
2012[28] 워커 위켈 투수 / 전체 55번 | 2013 헌터 렌프로 우익수 / 전체 13번 | 2014 트레이 터너 유격수 / 전체 13번 | FA 제임스 쉴즈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16 칼 콴트릴 투수 / 전체 8번 | |
2016[29] 허드슨 포츠 유격수 / 전체 24번 | 2016[30] 에릭 라우어 투수 / 전체 25번 | 2017 맥켄지 고어 투수 / 전체 3번 | 2018 라이언 웨더스 투수 / 전체 7번 | 2018[CBA] 재비어 에드워즈 유격수 / 전체 38번 | |
2019 C.J. 에이브럼스 유격수 / 전체 6번 | 2020 로버트 하셀 3세 외야수 / 전체 8번 | 2020[CBA] 저스틴 랭 투수 / 전체 34번 | 2021 잭슨 메릴 유격수 / 전체 27번 | 2022 딜런 레스코 투수 / 전체 15번 | |
2022[CBA] 로비 스넬링 투수 / 전체 39번 | 2023 딜런 헤드 외야수 / 전체 25번 | 2024 캐시 메이필드 투수 / 전체 25번 | |||
* [1] FA 데렐 토마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 FA 데이브 윈필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 FA 러퍼트 존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4] FA 에드 윗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5] FA 마크 데이비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5] [7] FA 잭 클락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8] FA 케빈 브라운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9] FA 켄 캐미니티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8] [9] [12] FA 스티브 핀리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3] FA 데이비드 웰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4] FA 라몬 에르난데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5] FA 우디 윌리엄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6] FA 데이브 로버츠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7] FA 박찬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8] FA 앨런 엠브리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9] FA 라이언 클레스코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0] FA 더그 브로케일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1] FA 마이크 캐머런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2] 카스텐 윗슨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23] FA 조 갈랜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4] FA 요빗 토렐바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5] FA 케빈 코레이아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6] FA 히스 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7] FA 애런 하랑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8] 브렛 오스틴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29] FA 이안 케네디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0] FA 저스틴 업튼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CBA] [CBA] [CBA] | }}}}}}}}} |
데릭 리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
2003 |
2003년 내셔널 리그 1루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토드 헬튼 (콜로라도 로키스) | → | 데릭 리 (플로리다 말린스) | → | 토드 헬튼 (콜로라도 로키스) |
2005년 내셔널 리그 1루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토드 헬튼 (콜로라도 로키스) | → | 데릭 리 (시카고 컵스) | → | 알버트 푸홀스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2007년 내셔널 리그 1루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알버트 푸홀스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데릭 리 (시카고 컵스) | → | 아드리안 곤잘레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2005년 내셔널 리그 1루수 부문 실버 슬러거 | ||||
알버트 푸홀스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데릭 리 (시카고 컵스) | → | 라이언 하워드 (필라델피아 필리스) |
데릭 리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27번 | ||||
스캇 샌더스 (1993~1996) | → | 데릭 리 (1997) | → | 케빈 브라운 (1998) | |
플로리다 말린스 등번호 27번 | |||||
케빈 브라운 (1996~1997) | → | <colbgcolor=#009aa6> 데릭 리 (1998) | → | 케빈 오리에 (1999) | |
플로리다 말린스 등번호 25번 | |||||
토드 질 (1998) | → | 데릭 리 (1998~2003) | → | 최희섭 (2004) | |
시카고 컵스 등번호 25번 | |||||
트로이 오리어리 (2003) | → | 데릭 리 (2004~2010) | → | 윌 베나블 (2018~2019) |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27번 | |||||
디오리 에르난데스 (2010) | → | 데릭 리 (2010) | → | J.C. 보스칸 (2011) | |
볼티모어 오리올스 등번호 25번 | |||||
조쉬 벨 (2010~2011) | → | 데릭 리 (2011) | → | 루이스 엑스포시토 (2012) | |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25번 | |||||
케빈 하트 (2010) | → | 데릭 리 (2011) | → | 다니엘 맥커친 (2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