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7 10:49:12

대한민국 공군/군사특기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파일:투명.png 대한민국 공군병과・특기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일반병과
파일:특기마크_조종.png 파일:특기마크_항공통제.png 파일:특기마크_방공포병.png 파일:특기마크_정보.png
조종 항공통제 방공포병 정보
운항관제 항공통제
파일:공군 군수 특기 휘장.jpg 파일:특기마크_항공안전.png 파일:특기마크_정보통신.png 파일:특기마크_기상.png
군수 정보통신 기상
항공무기정비 보급수송 항공안전
파일:특기마크_공병.png 파일:특기마크_재정.png 파일:특기마크_공보정훈.png 파일:특기마크_군악.png 파일:특기마크_의장.png
공병 재정 정훈
정훈 군악 의장
파일:특기마크_군사경찰.png 파일:특기마크_인사교육.png
군사경찰 인사교육
특수병과
파일:특기마크_항공의무.png 파일:특기마크_항공구조.png 파일:특기마크_법무.png
파일:특기마크_군종.png
의무 법무 군종
항공의무 항공구조
}}}}}}}}}}}}}}} ||
※ 둘러보기 : 육군의 병과 | 해군・해병대의 병과 | 공군의 병과


1. 개요2. 특기 체계3. 기본병과
3.1. 조종3.2. 항공통제
3.2.1. 운항관제3.2.2. 항공통제
3.3. 방공포병3.4. 정보3.5. 군수
3.5.1. 항공무기정비3.5.2. 보급수송3.5.3. 안전
3.6. 정보통신3.7. 기상3.8. 공병3.9. 재정3.10. 정훈
3.10.1. 정훈3.10.2. 군악/의장
3.11. 군사경찰3.12. 인사교육
4. 특수병과
4.1. 의무
4.1.1. 의무4.1.2. 구조
4.2. 법무4.3. 군종

1. 개요

대한민국 공군의 군사특기를 설명한 문서.

2. 특기 체계

군인사법 시행령에 규정된 병과를 세분화한 것들이 특기이고, 이러한 특기 중 비슷한 계열을 묶어 특기군을 형성한다.

특기는 각 특기와 계급에 따른 국문 명칭이 정해져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특기부호(특기번호)라 불리우는 숫자로 통칭되는 경우가 많다.

특기번호는 네 자리 혹은 다섯 자리로 구성된다. 장교 및 부사관은 네 자리, 병은 다섯 자리다. ABCDE라고 한다면, 구분 기준은 다음과 같다.
특기번호 체계 예시
A B C D E 접미어
  • AB는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특기군을 의미한다.
특기체계 제정 당시 병과가 비슷한 특기끼리 묶어 특기부호가 부여되었으므로 첫 자리인 A를 보고 대략적으로 어떤 병과에 속하는지 알 수 있다.
특기번호 첫째 자리대략적인 구분
1 전투
2 구조,안전,기상
3 정보통신
4 군수
5 공병
6 재정
7 인사교육,정훈
8 정보,군사경찰
9 특수

예를 들어 1이 붙으면 전투병과이며, 세부 구분으로 14XX라면 조종, 16XX이라면 운항관제, 18XX라면 방공포병이 된다. 이와 같이, 30XX라면 정보통신, 67XX이라면 재정, 80XX라면 (항공)정보, 81XX라면 군사경찰이다.

다만 현재 공군에서는 특기군 개념을 사용하면서 앞의 두 자리를 모두 묶어서 표현하지, 공식적으로는 첫째 자리만을 갖고 병과를 구분하지는 않는다.

병과가 아닌 특기군 개념을 사용하는 것은, 특기 통폐합으로 인해 한 병과의 특기가 너무 세분화되어 있어 그런 것도 있고, 같은 병과임에도 생뚱맞은 특기부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2로 시작하는 구조, 안전, 기상 특기는 특기 통폐합의 결과 구조는 의무, 안전은 군수, 기상은 기상 병과로 가게 되어 특기번호 첫자리가 병과와 일치하지 않게 되었다. 다만 이들 중 구조와 안전 특기는 과거의 흔적으로 소속 병과와는 다른 고유한 특기마크를 사용하고 있다.
  • C는 AB보다 더 세분화 및 전문화된 특기 구분이다.
그러나 장교의 경우 대부분 AB단계까지만 특기가 구분되어 있어, C가 0일 경우에는 장교, 1~9를 가지고 있다면 부사관이나 병이다. 다만 조종장교의 경우 일정 계급 이상 올라가면 ‘기능(직능)특기’가 부여되기 때문에 장교라고 전부 0이 들어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460X을 가진다면 보급수송 특기의 장교이며, 461X라면 보급부사관, 462X라면 운수부사관, 463X는 차량부사관을 의미한다. 실제로도 460X의 장교들은 461X, 462X, 463X의 부사관이 소속된 중대나 대대의 지휘관을 역임한다.
  • D는 숙련도에 따른 특기 등급을 나타낸다.
숙련도라고 표현하지만 실무상 계급에 상응하는 특기 등급이 부여된다. 진급하면 특기 등급이 바뀌고 그에 따른 특기 명칭과 부호도 변경된다.
신분 특기 등급 계급
1 (견습) 이병~병장
부사관 3 (기수) 하사
4 (기사) 중사~원사
준사관 5 (감독관) 준위
장교 6 (초급장교) 소위~중위
7 (장교) 대위~소령
8 (참모장교) 중령
9 (지휘참모장교) 대령

2는 과거 병의 군생활이 36개월이던 시절에 사용했으나, 군복무기간이 단축되면서 1로 통합되었다. 그리고 2 같은 경우에는 상병에서 병장급한테 주었으며 숙련도는 "조수"였다.
  • 마지막 E는 병사에 한해서 사용하는 세부 구분이며, 별도의 세부구분이 없을 경우 0을 준다. 그리고 병사는 무조건 5자리의 특기를 가진다.
  • 또한 ABCDE 이후에도 각종 접미어를 통해 세부적인 자격을 표현한다. 대표적으로 전투기(전방석) 조종사는 F, 후방석은 W가 붙는다. 영어 어학장교/병의 경우 어(E)가 붙고, 비조종 특기 중 공중근무자의 경우 이 붙는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세 특기를 알아보자.
특기번호ABCDE접미어특기명[1]
1407F14(조종)0(조종)[2]7(장교) F(전투기)조종장교(전투기)[3]
7006어(E)70(인사교육)0(인사교육)6(초급장교) 어(E)(어학,영어)인사교육초급장교(어학,영어)[4]
2015공20(항공구조)1(항공구조)5(감독관) 공(공중근무자)항공구조감독관(공중근무자)[5]
558355(공병)8(화생방)3(기수) 화생방기수[6]
4611246(군수-보급수송)1(보급)1(견습)2(조리) 조리견습[7]

중간에 비어서 넘어가는 번호들은 과거에 존재했던 특기들이 통폐합되어서 그런 것이다.[8]

아래는 군인사법(2024.02.01.) 제5조 제1항 제3호, 군인사법 시행령(2024.02.01.) 제2조의2 제1항 제3호를 기준으로 한 공군의 병과다.
  • 기본병과
    • 조종
    • 항공통제
    • 방공포병
    • 정보
    • 군수
    • 정보통신
    • 기상
    • 공병
    • 재정
    • 정훈
    • 군사경찰
    • 인사교육
  • 특수병과
    • 의무
    • 법무
    • 군종

3. 기본병과

3.1. 조종

파일:특기마크_조종.png

3.2. 항공통제

파일:특기마크_항공통제.png

3.2.1. 운항관제

3.2.2. 항공통제

3.3. 방공포병[13]

파일:공군 방공포병 특기 휘장.png

3.4. 정보

파일:특기마크_정보.png
항공정보와 특수정보의 차이점은 완벽히 100% 구분되는 것은 아니나, 보안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간단하게 말하자면 항공정보는 일반적으로 공군항공정보단이나 일선 비행단의 보안과 같은 공군 내부에서만 돌며, 보안실무자, 보안담당관 같은 보안업무를 맡거나, 공군이 가진 여러 정보 자산을 통한 수집한 정보를 가공하는 업무를 맡지만, 특수정보는 국방정보본부(+예하 국군정보사령부(여긴 육해군 정보병들이 가서 주로 헌병들이 감), 777사령부(주로 감), 28전대), 국정원같은 무시무시한 곳들 위주로 가는 곳이라 생각하면 된다. 참고로 국군방첩사령부는 정보특기가 아니라 전 특기에서 갈 수 있으며, 해당 인원들은 특기가 정보나 항공정보운영, 특수정보로 변경되지 않고, 역시 정보특기들만 가는 곳은 아니다.

3.5. 군수

파일:공군 군수 특기 휘장.jpg
항공무기정비·보급수송 병과는 2013년 1월 1일 군수 병과로 통합되었다.참조

3.5.1. 항공무기정비

3.5.2. 보급수송

3.5.3. 안전

파일:특기마크_항공안전.png
  • 241X 항공안전

3.6. 정보통신

파일:특기마크_정보통신.png

3.7. 기상

파일:특기마크_기상.png
251X랑 252X특기를 받으면 사이트나 포대보다도 더 외진 오지로 가거나, 육군부대에 세들어살 수 있다. 숨겨진 부사관 헬특기. 251X특기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일선 비행단에서 교대근무 해야 하는 것은 덤.

3.8. 공병

파일:특기마크_공병.png
과거에는 항공시설, 시설로 불리던 특기다. 2019년부터 공병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토목건축과 환경 특기는 공병 직렬로 따로 지원을 받아 입대했지만, 2023년 7월 입대자인 849기부터 일반 직렬에 통합되었다. 공군 갤러리에선 이젠 헌급방이 아닌 헌급공이라고 해야 되지 않냐는 소리가 많이 나왔다. 물론 실제 병과는 여전히 공병이다.

3.9. 재정

파일:특기마크_재정.png
  • 670X 재정
    • 671X 재정
      • 67110 재정

3.10. 정훈

3.10.1. 정훈

파일:특기마크_공보정훈.png
  • 720X 정훈
    • 721X 정훈
      • 72110 정훈

3.10.2. 군악/의장

파일:특기마크_군악.png
파일:특기마크_의장.png

3.11. 군사경찰

파일:공군 헌병 특기 휘장.png

3.12. 인사교육

파일:특기마크_인사교육.png구 인사행정 병과와 교육 병과가 합쳐져 인사교육 병과가 되었다. 과거 인사행정 병과의 부사관과 병은 특기명이 총무였는데[25], 아직도 이 시절의 이름대로 총무 특기라고 부르는 경우가 다소 있다.

4. 특수병과

4.1. 의무

4.1.1. 의무

파일:특기마크_항공의무.png

4.1.2. 구조

파일:특기마크_항공구조.png

4.2. 법무

파일:특기마크_법무.png

4.3. 군종

파일:특기마크_군종.png



[1] 복무확인서나 전역증명서 등 문서상에 기록되는 공식적인 특기 풀네임이다.[2] 아직 기능특기를 분류받지 않은 경우.[3] 대위~소령급의 전투기 전방석 조종사이다.[4] 소위~중위급의 인사교육 특기 영어 어학장교이다.[5] SART 준위이다.[6] 화생방특기 하사이다.[7] 급양병이다.[8] 예를 들면 40710 전자광학장비정비가 40110 항공전자장비정비에 통합되었다. 그래서 사진병들이 졸지에 항전 특기를 받고 공군군수1학교에서 정비 교육을 받은 일이 있었다. 지금은 보통 30010 정보체계관리 특기를 받는다.[접미어] 실제로는 14XX 덜렁 끝이진 않고, 각자의 주 기종에 따른 알파벳 접미어가 달려있다. F(전투기 전방석), C(수송기), H(헬리콥터), O(전선통제기), W(전투기 후방석), T(전술항공), R(수송기 동승조종사) 등이 있다.[기능특기] 세 번째 자리에는 상술하였듯 기능특기가 들어간다. 조종장교 전문화 인사관리 제도에 따라 소령(임관 15~16년차) 때 ‘정보·작전’, ‘정책·전략’, ‘전력’, ‘인사·조직’, ‘조종전문’ 중 하나의 기능(전문) 특기를 부여 받고 그에 따른 숫자가 들어간다. 아직 기능특기를 부여받지 않은 대위 이하 조종장교의 경우 경우 0이 들어간다.[11] 준사관이 되면 1615 운항관제 특기로 바뀐다[2020년] 특기분리 및 신설[13] 본래는 육군의 특기였다가 1991년 여름 육군에서 공군으로 이관되었다.[14] 과거에는 181X 단거리유도무기운용과 182X 중거리유도무기운용이 따로 있었으나 통합되었다. 병사 특기코드에 남은것이 그 흔적이다.[15] 전문하사 지원 시 유압반은 4083, 전기반은 4103으로 전직[16] 병사는 기체에서 장구반 인원을 선발한다. 장구반 병사가 전문하사를 지원하면 4153으로 전직한다.[17] NDI반은 전문하사 지원 시 4193으로 전직[18] 전문하사 지원시 4213, 4223, 4233 중 선택가능하나, 단기전환을 생각하지 않는다면 별 의미 없다. 6개월이나 1년만 한다면 사실상 행정병이나 당직담당, 선탑담당이 된다.[19] 각 관제사이트/감시대에 있는 장거리 레이더와 비행단에 있는 저고도/접근 레이더, 그린파인 레이더를 정비하는 특기이다. 방공유도무기레이다정비는 정비특기(400X)로 분류돼 있지만 지상레이다체계정비는 재미있게도 정비특기가 아닌 정보통신특기로 분류돼 있다. 게다가 사이트는 인력 부족이 심각해 레이더 정비/수리 관련 업무뿐만 아니라 돌리는 방법도 모두 숙지해야 하고 장비 무중단을 위한 24시간 근무 당직도 틈틈이 해야 한다. 사실상 레이더를 돌리기 위한 모든 것을 배우고 있다고 보면 된다. 치명적인 단점으로 전역 후 방위사업청이나 제작사 같은 곳에 취업하지 않는 한 사회에서 레이더를 만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재취업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이름이 알려진 기피특기인 헌급방이나 (특수)정보에 숨겨진 상당한 헬특기다.[20] 전문하사 지원시, A·B반 특기는 ‘304X 광역전송체계정비’로, C~F반 특기는 ‘306X 무선통신체계정비’로 특기가 바뀐다.[21] 전문하사 지원시 556X 소방구조로 변경된다. 즉 소방구조 특기 병사가 전문하사 지원했을 때랑 특기가 같아진다.[22] 전문하사 지원시 555X 기계설비로 변경된다. 즉 기계설비 특기 병사가 전문하사 지원했을 때랑 특기가 같아진다.[23] 과거에 네 번째 자리 숫자는 이, 일병은 1, 상, 병장은 2였다고 한다. 그래서 81110은 "헌병견습"으로 표시되었고 짬이 차면 81120 "헌병"으로 표기가 변경되었다고. 지금도 여전히 81110은 "군사경찰견습"으로 표기되나, 짬이 찼다고 해서 81120으로 바뀌지는 않는다.[24] "운전"이라고 해서 혹하면 안 된다. 기동소대에서 같이 근무를 하기 때문에 이름만 운전병이지 사실상 교대근무하는 운전병이라고 보는게 맞다.(일단 운전이라고 해서 보급수송이 아닌 특기번호를 군사경찰이랑 공유하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논외로 군사경찰 내에서 경장갑차를 제외한 순찰차 등을 운전하는 운전병은 보급수송에서 차출하는 것이 아닌 군사경찰 특기를 가진 병사 중에서 차출해간다. 운전병의 수는 한정되어 있고, 티오도 일정하게 나는 편이 아니라서 운이 따라야 운전병을 할 수 있다. 운전병이라고 교대근무를 안 하는 것은 아니지만 더울 때 시원한 곳에서 대기하고, 추울 때 따뜻한 곳에 대기하는 것만으로도 꿀통이라고 할 수 있다.[25] 장교의 경우 병과명과 동일하게 특기도 인사행정이었다.[26] 군의관(군의/치의), 수의사관, 간호장교, 의무행정이 모두 뒤섞여있다. 과거에는 모두 별개의 특기였으나 헌재는 940X 뒤에 특별한 알파벳으로 각 사람이 어떤 직책인지 표시하며, 별도의 표시가 없다면 행정 장교이다.[27] 특정 면허를 소지한 실무자일 수도 있고, 면허가 전혀 없는 일선 의무행정 부사관일 수도 있다.[28] 군종병은 ‘인사교육’ 특기를 받고 자대에 배치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55 (이전 역사)
문서의 r8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