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2 16:44:49

항공통제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방공관제
, 군대 관련 정보
, 군사특기
, 공군방공관제사령부
,
,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파일:투명.png 대한민국 공군병과・특기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일반병과
파일:특기마크_조종.png 파일:특기마크_항공통제.png 파일:특기마크_방공포병.png 파일:특기마크_정보.png
조종 항공통제 방공포병 정보
운항관제 항공통제
파일:공군 군수 특기 휘장.jpg 파일:특기마크_항공안전.png 파일:특기마크_정보통신.png 파일:특기마크_기상.png
군수 정보통신 기상
항공무기정비 보급수송 항공안전
파일:특기마크_공병.png 파일:특기마크_재정.png 파일:특기마크_공보정훈.png 파일:특기마크_군악.png 파일:특기마크_의장.png
공병 재정 정훈
정훈 군악 의장
파일:특기마크_군사경찰.png 파일:특기마크_인사교육.png
군사경찰 인사교육
특수병과
파일:특기마크_항공의무.png 파일:특기마크_항공구조.png 파일:특기마크_법무.png
파일:특기마크_군종.png
의무 법무 군종
항공의무 항공구조
}}}}}}}}}}}}}}} ||
※ 둘러보기 : 육군의 병과 | 해군・해병대의 병과 | 공군의 병과


파일:특기마크_항공통제.png
항공통제 병과 휘장

1. 개요2. 주요업무
2.1. 공중감시2.2. 식별2.3. 무기운영・요격통제
3. 양성교육4. 근무형태5. 계급별 특징
5.1. 장교・준사관5.2. 부사관5.3. 병
6. 둘러보기


대한민국 공군병과이자 군사특기. 병과로서는 운항관제 특기를 포함하지만, 아래 문서에서는 특기로서의 항공통제를 서술한다.

1. 개요

변경 전의 이름은 방공관제 특기. 특기번호는 장교 170X, 준사관 및 부사관 171X, 병사 17110. 군인사법 제정 이후 관제 병과로 묶여있다가, 항공통제, 방공관제를 거쳐 현재의 항공통제 병과로 운영되고 있다.

2. 주요업무

항공통제 특기는 그 특성상 대부분의 자료가 군사 2급 비밀 이상에 해당한다. 아래 서술은 대외적으로 공개된 공군교육사령부의 특기 소개 책자, 국방일보 기사 등을 인용하여 재구성한 것이다.

항공통제 특기는 영공을 침범하거나 방공식별구역(KADIZ)에 무단 진입한 항공기에 대응해 긴급발진한 전투기가 신속하게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항공기의 고도·속도·위치는 물론 항공기 특성·무장, 기상 등 공중작전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고속기동하는 아군 항공기의 최적의 이동 경로와 위치를 결정하는 등 항공작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업무를 세분화하면 아래와 같이 나눠진다.

2.1. 공중감시

MCRC와 E-737 피스아이 항공기에서 시현되는 레이다 화면을 보며 KADIZ 내 항적(공중물체)을 감시한다. E-737 항공통제기 도입 이후에는 공중근무자로서 항공기에 직접 탑승하여 저고도 원거리 적 항공기를 포착해 지상기지에 보고한다.

2.2. 식별

KADIZ 내 미식별 항적에 대한 식별을 실시한다. 비행계획서 등을 참조하고, 인접국과 정보 교류 등도 이루어진다.

2.3. 무기운영・요격통제

공중감시, 식별 결과에 따라 무기 선정 및 운영한다. 적성, 미식별, 위규 항적에 대응하기 위해 출동한 요격기를 전술적으로 유리한 위치로 접근시키는 요격통제를 수행하게 된다.

3. 양성교육

공군항공우주통제학교에서 실시한다.

4. 근무형태

5조 3교대, 3일 근무 2일 휴식의 근무형태가 일반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공군 여타 크루근무 특기와 대동소이하게 하루를 아래와 같이 나눠 교대근무를 하게 된다.
  • 모닝근무(0730~1230)
  • 애프터근무(1230~1830)
  • 스윙근무(1830~0030)
  • 미드근무(0030~0730)

5. 계급별 특징

5.1. 장교・준사관

항공통제 장교 및 준사관은 방공무기통제사로서 KADIZ를 무단 진입하거나 우리 영공을 침범한 타국 항공기에 대응하기 위해 아군 항공기를 최적의 전술적 위치로 유도하는 요격통제 임무를 담당한다.

공군 내에서 장교가 실무를 직접 수행하는 몇 안 되는 특기 중 하나라고 알려져 있다. 같은 병과인 운항관제 특기만 봐도, 장교도 같은 교육을 받지만 실제로는 중대장이나 운영계장을 맡으며 행정에 전념하고 관제 실무는 준・부사관이 맡는 것과는 대조된다.
비조종 소수 특기가 늘 그렇듯 진급 상한선은 대령으로, 방공관제사령부 예하 전대장, 참모장 등의 자리를 맡게 된다.

항공통제 준사관은 원사에서 선발되어 준사관으로 임용되는 경로 외에도 방공무기통제준사관이라는 별도의 임관 경로를 갖고 있다. 국방일보 등에 공군의 여타 감독관들과 달리 30대 준사관을 찾아볼 수 있는 이유. 해당 항목 참조.

5.2. 부사관

5.3.

대표적인 소수 엘리트 특기로, 특기적성시험 중 영어 점수 상위자의 순서대로 선발한다. 말이 상위자 순서대로이지, 사실상 영어 점수 만점자만 합격한다. 이마저도 소수특기여서 선발하지 않는 기수도 많다. 항공정보운영 특기와 함께 무무의 둘뿐인 희망. 이 외에도, 외국어 특기자의 경우 식별보조병 특별전형으로도 선발하는 편.

공군항공우주통제학교에서의 특기교육 이후에는 방공관제사령부 예하의 방공통제전대(MCRC)나 방공관제전대 예하 관제대대에 주로 보임하게 되며, 그 외에 공군본부, 작전사령부, 전투사령부 등의 지휘통제실/상황실 등에도 보임할 수 있다.

자대에 따라 아래 업무를 수행한다고 알려져 있다.
  • 자동화 방공작전 공중감시 보조수 및 항적식별보조수
  • 방공작전수행보조

6.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