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px" | <tablebordercolor=#3d5bab> | }}} | ||||
[[틀:대전광역시의 급행·광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 font-size: 14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colbgcolor=#3d5bab><colcolor=#fff> 1권역 | 101[a] | 102 | 103 | 104[a] | 105 |
106 | 107[a] | 108 | 113[a] | 114[a] | ||
115 | 119[a] | |||||
2권역 | 201 | 202[a] [b] | 203[a] | 211 | 213[a] | |
216[a] | ||||||
3권역 | 301-1 | 311 | 312[a] | 314 | 315[a] | |
316[a] | 318[a] | |||||
5권역 | 501 | 511 | 512[a] | 513[a] | 514[a] | |
6권역 | 601[a] | 602[a] | 603 | 604 | 605 | |
607[a] [b] | 608[a] | 611[a] | 612[a] | 613[a] | ||
615 | 616[a] | 617[a] | 618[a] | 619[a] | ||
7권역 | 701[a] | 703 | 704 | 705 | 706 | |
707[a] | 711[a] | |||||
8권역 | 802[a] | |||||
[a] 환승 대기시간 60분 적용 노선 [b] 타 지역 시내버스와 공동배차 |
| |
1. 개요
대전운수가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 |||||
| |||||
기점 | 대전광역시 유성구 덕명동(수통골) | 종점 | 대전광역시 대덕구 송촌동(동춘당) | ||
종점행 | 첫차 | 05:45 | 기점행 | 첫차 | 05:45 |
막차 | 22:30 | 막차 | 22:30 | ||
평일배차 | 13분[1] | 주말배차 | 13분[2] | ||
운수사명 | 대전운수 | 인가대수 | 20대[3] | ||
노선 | 수통골 - 한밭대학교 - 현충원역 - 유성시외버스정류소(구암역) - 유성고등학교 - 유성온천역 - 대전교통공사 - 갈마삼거리 - 괴정네거리 - 가장네거리 - 가장교 - 태평오거리 - 오룡역 - 서대전네거리 - 중구청 - 중앙로역 - 대전역 - 원동네거리 - 대동역 - 신안동 - 우송대학교 - 가양네거리 - 대전보건대학교/한국폴리텍대학 - 송촌고등학교 - 동춘당 → 선비마을2/3단지 → 선비마을4/5단지 → 송촌고등학교 → 이후 역순 |
중간 출발 정류장 | |
동춘당 방향 | 유성온천역2번출구05:40 |
수통골 방향 | 중구청역05:40, 명석고등학교05:40 |
3. 역사
- 2008년 개편 때 구 104번 좌석버스(비래동 - 대평리)가 109번과 이 노선으로 분리되었다. 당시엔 대전역까지만 운행했고, 운수회사는 104번과 마찬가지로 충진교통에서 운행했다.
- 311을 집앞에서 못 타게 된 선비마을아파트 쪽 시민들의 민원으로 일주일 만에 송촌동 동춘당까지 루트가 연장되었다.
- 2013년 2월 15일부터 대전교통이 운행하게 되었다. 이는 같은 기점 노선인 104번도 마찬가지.
- 2013년 6월 25일에 1대가 감차되어 17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대전광역시 공지사항
- 2013년 12월 27일에 운행사가 계룡버스로 변경되었고, 인가대수도 18대로 변경되었다.
- 2015년 7월 24일에 운행사가 선진여객(현 대전운수)로 변경되었다.
- 공휴일 수통골 첫차가 5시 40분에서 평일과 동일하게 5시 45분으로 조정되었다.
- 2018년 10월 22일부터 1대가 증차되었다.
- 2022년 5월 13일부터 동중앙로에 버스노선 경유를 요청하는 민원으로 102번, 311번과 같이 경유했던 동대전로 대신 동중앙로 경유로 변경되었다. 다만 중앙로에서 대전역지하차도를 타고 직진하지 않고 중앙시장, 대동역, 신안동으로 돌아서 간다. 관련 기사
- 2022년 9월 1일에 구암역 복합환승센터 조성에 따른 관람객들의 타 대중교통수단과의 환승체계 구축 등 편의를 위해 유성시외버스정류소(구암역)까지 단축될 예정이었으나 무기한 연기되었다. 대전광역시 공지사항
- 2023년, 2024년 대전0시축제 기간에는 대고오거리~대흥동우체국~원동네거리로 우회운행했다.
4. 특징
- 유성온천역에서 계룡로를 쭉 타고 큰마을네거리, 용문역을 거쳐서 대전역으로 가는 101번, 107번과 달리 갈마삼거리에서 갈마로상의 괴정동과 가장동, 동서대로상의 태평동을 경유하여 오룡역에서 다시 계룡로로 합류한다.
- 동춘당 연장 이후에는 배차간격이 그닥 좋은 편이 아니었지만(16분 간격), 이후 꾸준히 증차되어 지금은 13분 간격으로 줄었다. 한밭대, 유성고, 우송대/우송정보대, 한국폴리텍대학, 명석고, 송촌고 같은 학교들도 같이 경유하면서 수요도 제법 높은 편에 속한다.
- 배차간격이 은근 긴 편이다. 출퇴근시간에는 동춘당 방향이 13~14분 간격으로, 수통골 방향이 10~11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사실 실질적으로는 10~15분 내외로 꾸준한 배차를 유지하고 있는데, 특히 갈마로 구간에서 605번을 빼면 하나같이 배차가 너무 길어서 그나마 자주 오는 버스이기도 하다.
- 운행 시간을 99분을 주지만 대전 인구 증가로 인한 교통 체증으로 평시간대와 러시아워 시간대에 딸린 운행시간을 보여주어 안 그래도 긴 배차 시간이 20분 이상 벌어질 때도 있다.
- 소요시간은 수통골→동춘당이 78~92분, 동춘당→수통골이 82~103분이다. 시간표 상 편도 운행 시간은 1시간 39분으로,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중 네 번째로 길다.[7]
- 대전역~자양동 구간의 경우 102번과 방향이 반대니 주의.
- 우송대학교 서캠퍼스의 서문과 북문 및 동중앙로를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다.[8] 우송대학교 서캠퍼스는 중앙부만 높은 곳에 위치한 피라미드 형태의 지형으로, 동문과 서/북문 간 왕래에 체력이 많이 드는 편이다. 서문 인근에 위치한 철도물류대학과 보건의료대학 학생들이 주로 이용하며, 1교시 시작 시간인 9시쯤엔 대동역 기준 102번, 311번은 서서 갈 순 있지만, 103번의 경우 승차거부를 당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 중앙로에서 우송대학교 서캠퍼스의 서문과 북문을 가는데, 대전역지하차도를 통과하여 일직선으로 가지 않고, 중앙시장과 대동역, 신안동으로 돌아서 ㄷ자 모양으로 간다.[9]
- 유성온천역 정류장은 양방향으로 도안대로 중앙에 있는 정류장이 아닌 가로변에 있는 정류장에 정차하며, 유성온천역1번출구 정류장은 정차하지 않는다.
- 대전운수가 운영하는 시내 노선 중 충전 문제로 인해[10] (수소)전기버스 신차를 투입하지 않으며, 311번이나 316번 등에서 쓰던 차량만 차돌리기 형식으로 투입한다.[11] 원래는 전 차량 저상이었으나, 2022년부터 기존 저상버스의 대폐차로 인해 고상버스가 다시 투입되고 있으며, 현재는 7대의 고상버스가 운행중이다. 한 때 311번 출신 고상 차량들 중 전면과 측면에 동물원 랩핑을 한 차량이 2대 있었으나 2024년 6월에 일렉시티로 대차되어 311번으로 복귀하며 사라졌다. 또한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중 가장 마지막까지 2012년식 차량을 운행했던 노선이다.[12]
4.1. 노선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선비마을3단지 50980 | |||||
선비마을4단지 51060 | ← | 종점 | 동춘당 50960 | |||
이상 회차 구간 | ||||||
송촌고등학교 51050 | ↓ | ↑ | 송촌고등학교 51040 | |||
금성백조아파트 51600 | 금성백조아파트 51610 | |||||
길치근린공원 51620 | ↓ | ↑ | 길치근린공원 51640 | |||
명석고등학교 11690 | 명석고등학교 51630 | |||||
한국폴리텍대학 11640 | ↓ | ↑ | 한국폴리텍대학 11650 | |||
대전보건대학 11610 | 대전보건대학 11630 | |||||
가양동우체국 11570 | ↓ | ↑ | 가양네거리 11580 | |||
흥룡초등학교 11560 | 대주파크빌 11590 | |||||
대주파크빌 14870 | ↓ | ↑ | 자양동 14860 | |||
우송대학교서캠퍼스 14850 | 우송대학교서캠퍼스 14840 | |||||
대성여자중고등학교 14830 | ↓ | ↑ | 우송중고등학교 14820 | |||
신안동 11400 | 신안동 11470 | |||||
대동역3번출구 11180 | ↓ | ↑ | 대동역2번출구 11170 | |||
대전화병원 11390 | 이스트시티아파트 11380 | |||||
중앙시장 10060 | ↓ | ↑ | 중앙시장 10030 | |||
목척교 12450 | 대전역 12470 | |||||
으능정이거리 20060 | ↓ | ↑ | 중앙로역1번출구 20040 | |||
중앙로역6번출구 20300 | 중앙로역6번출구 20680 | |||||
중구청역 20170 | ↓ | ↑ | 중구청 20600 | |||
대전충남병무청 21240 | 대전충남병무청 22250 | |||||
서대전네거리역5번출구 21200 | ↓ | ↑ | 서대전네거리역4번출구 21400 | |||
중도일보 21190 | 중도일보 21390 | |||||
오룡역3번출구 21300 | ↓ | ↑ | 오룡역2번출구 21290 | |||
태평1동주민센터 21550 | 태평1동주민센터 21580 | |||||
태평오거리 21460 | ↓ | ↑ | 태평오거리 21470 | |||
가장교 31540 | 가장교 31530 | |||||
가장네거리 31500 | ↓ | ↑ | 가장네거리 31480 | |||
한민시장 31710 | 한민시장 31700 | |||||
괴정네거리 31360 | ↓ | ↑ | 괴정네거리 31670 | |||
KT인재개발원 31350 | KT인재개발원 31340 | |||||
푸른아파트 31890 | ↓ | ↑ | 갈마아파트3단지 31880 | |||
둔산소방서 31870 | 한밭고.갈마중입구 31840 | |||||
동산아파트입구 31850 | ↓ | ↑ | 갈마삼거리 31830 | |||
갈마네거리 31770 | 갈마네거리 31750 | |||||
대전일보사 32760 | ↓ | ↑ | 대전일보사 32750 | |||
월평삼거리 32730 | - | |||||
대전교통공사 32690 | ↓ | ↑ | 대전교통공사 32720 | |||
만년교 41380 | 만년교 41370 | |||||
유성온천역3번출구 41300 | ↓ | ↑ | 유성온천역2번출구 41280 | |||
봉명동 41240 | 봉명동 41250 | |||||
유성고등학교 41610 | ↓ | ↑ | 유성고등학교 41600 | |||
유성구보훈회관 41580 | 유성구보훈회관 41590 | |||||
정보통신공사협회 41540 | ↓ | ↑ | - | |||
유성시외버스정류소 41570 | 유성시외버스정류소 41560 | |||||
천양원 41480 | ↓ | ↑ | 천양원 41490 | |||
현충원역3번출구 41450 | 현충원역1번출구 41460 | |||||
구암8통 41430 | ↓ | ↑ | 구암8통 41440 | |||
덕명네거리 41410 | 주유소 41420 | |||||
- | ↓ | ↑ | 덕명네거리 41400 | |||
운암네오미아/신협연수원 41750 | 하우스토리/신협연수원 41740 | |||||
삼성화재연수원 41710 | ↓ | ↑ | 삼성화재연수원 41730 | |||
한밭대학교 41680 | 한밭대학교 41690 | |||||
수통골삼거리 41660 | ↓ | ↑ | 수통골삼거리 41670 | |||
수통골기점지 41650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선비마을로 | |
선비마을4단지 ▼ | ▲ | |
계족산로 | 동춘당로114번길 | |
송촌고등학교 ▼ | ▲ 선비마을3단지 | |
동춘당로 | ||
금성백조아파트 ▼ | ▲ 송촌고등학교 | |
우암로 | ||
흥룡초등학교 ▼ | ▲ 가양네거리 | |
동대전로 | ||
대주파크빌 ▼ | ▲ 대주파크빌 | |
동중앙로 | ||
신안동 ▼ | ▲ 우송중고등학교 | |
계족로 | ||
대동역3번출구 ▼ | ▲ 신안동 | |
동대전로 | ||
중앙시장 ▼ | ▲ 이스트시티아파트 | |
대전로 | ||
목척교 ▼ | ▲ 중앙시장 | |
중앙로 | ||
서대전네거리역5번출구 ▼ | ▲ 대전충남병무청 | |
계룡로 | ||
오룡역3번출구 ▼ | ▲ 중도일보 | |
동서대로 | ||
가장교 ▼ | ▲ 태평오거리 | |
갈마로 | ||
갈마네거리 ▼ | ▲ 갈마삼거리 | |
계룡로 | ||
유성온천역3번출구 ▼ | ▲ 만년교 | |
도안대로 | ||
봉명동 ▼ | ▲ 유성온천역2번출구 | |
유성대로654번길 | ||
정보통신공사협회 ▼ | ▲ 유성구보훈회관 | |
유성대로 | ||
천양원 ▼ | ▲ 유성시외버스정류소 | |
현충원로 | ||
덕명동운암네오미아 ▼ | ▲ 덕명네거리 | |
동서대로 | ||
수통골기점지 ▼ | ▲ 수통골기점지 |
4.2. 일평균 승차인원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2년 | 6,071명 | - |
2013년 | 5,238명 | ▽ 833 |
2014년 | 7,536명 | △ 2,298 |
2015년 | 7,169명 | ▽ 367 |
2016년 | 6,826명 | ▽ 343 |
2017년 | 4,955명 | ▽ 1,871 |
2018년 | 7,232명 | △ 2,277 |
2019년 | 9,815명 | △ 2,583 |
2020년 | 7,001명 | ▽ 2,814 |
2021년 | 7,280명 | △ 279 |
2022년 | 7,826명 | △ 546 |
2023년 | 7,826명 | - |
2024년 | 8,264명 | △ 438 |
※ 하차 인원 미포함 |
- 2012년 자료는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8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교통 데이터 DW 시스템
5. 연계 철도역
대전 도시철도 1호선: 현충원역, 구암역, 유성온천역, 갑천역[A], 오룡역, 서대전네거리역, 중구청역, 중앙로역, 대전역, 대동역
일반 철도역: 대전역(SRT,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6대 명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7ec384,#3c8142><colcolor=#fff> 수제비와 수통골 여행버스 | 11, 103, 104 |
한방백숙과 계족산 여행버스 | 74, 311 | |
전통냉면과 식장산 여행버스 | 611 | |
보리밥과 보문산 여행버스 | 802 | |
손두부와 장태산 여행버스 | 22 | |
호떡과 만인산 여행버스 | 501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천혜의 가로수길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87cefa><colcolor=#fff,#191919> 해물칼국수와 벚꽃 여행버스 | 703, 705 |
산채비빔밥과 벚꽃 여행버스 | 107 | |
송어회와 벚꽃 여행버스 | 30, 31, 32 | |
산림욕과 물놀이 여행버스 | 501 | |
민물매운탕과 단풍 여행버스 | 72, 73 | |
대청호 카페와 억새 여행버스 | 60, 61 | |
복수한우와 눈꽃 여행버스 | 34 |
[1] 수통골 출발 79회, 동춘당 출발 76회[2] 수통골 출발 75회, 동춘당 출발 72회[3] 토요일 / 공휴일에는 18대로 운행.[4] 유성구-서구-중구-동구-대덕구[5] 101, 107번은 한쪽만 지나간다.[6] 폐선노선까지 합치면 109번도 지나지 않았다.[7] 자주 운행하지 않는 외곽 노선을 제외하고, 시간표상 편도 운행 시간이 긴 순서로 1위 202번, 2002번(1시간 46분), 공동 2위 703번, 704번(1시간 42분), 4위 103번(1시간 39분), 5위 316번(1시간 38분), 6위 802번(1시간 36분), 7위 705번(1시간 35분), 8위 514번(1시간 34분), 9위 311번(1시간 33분), 10위 119번(1시간 32분), 공동 11위 213번, 603번(1시간 30분) 순이다. 본래 1위는 705번(1시간 54분)이었으나, 2023년 11월 24일 이후 종점이 대전역동광장에서 시청환승지로 다시 단축됨에 따라 편도 운행 시간이 19분 감소하여 편도 1시간 35분으로, 7위로 떨어졌다.[8] 원래는 102번, 311번과 같이 우송대학교 서캠퍼스의 동문 및 동대전로를 경유하였으나, 2019년에 대주파크빌과 대전역동광장을 연결하는 동중앙로가 개통되고, 이 도로를 경유하는 버스 노선이 아예 없어 이 도로 인근 주민과 우송대학교, 우송 중·고등학교 학생 등의 버스노선 경유 요청으로 인해 2022년 5월 13일에 동대전로를 경유하는 102번, 103번, 311번 중 103번을 빼서 동중앙로를 경유하게 노선을 조정하였다. 관련 기사[9] 이미 중앙시장, 신안동, 대동역 방면으로 지나가는 노선이 102번, 311번, 317번, 605번, 608번, 616번 등등 많은데 왜 굳이 돌아서 가는지는 의문이다. 배차 간격도 평일 기준 19분 이상인 317번, 608번, 616번을 제외하면 102번, 311번, 605번에 크게 밀리는지라 굳이 돌아서 갈 만한 메리트가 특별히 없다. 차라리 311번을 변경하는 게 나았다. 311번이 경유하는 중앙로와 우암사적공원은 동중앙로를 거쳐 직진만 해도 갈 수 있으니 만약 본 노선이 중앙로에서 대전역지하차도를 타고 직진해서 빠르게 간다면 중앙로에서 311번보다 비래동, 송촌동을 훨씬 더 빠르게 가게 되므로 311번의 수요 분산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듯 싶다.[10] 공차거리가 긴 607번, 612번에는 수소전기버스를 투입했다.[11] 103번에서 운행하는 차량이 대차 시기가 되면 그 차량을 신차로 대차해 다른 노선으로 보내서 그 노선에 있던 차량과 트레이드를 하는 방식이다. 산호교통의 618번, 619번도 103번과 마찬가지로 신차를 잘 투입하지 않는 편이며, 타 노선에서 쓰던 차량으로 차돌리기를 한다. 그래서 103번을 포함한 이들 노선에는 유독 오래된 차량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다.[12] 해당 차량 대차 후 "대전시내버스 최고령 차량" 타이틀을 물려받은 2014년 5월식 차량도 현재 103번에서 운행중이다.[13] 수통골 기점 노선은 안산동에 가서 하는데 회차지 기준으로 하는 의외의 경우이다. 이는 신대공영차고지가 자사 차고지이기 때문.[A] 수통골 방면 월평삼거리 하차 5분/동춘당 방면 대전교통공사 하차 11분 도보